은행권 보유기업 M&A 급류
하이닉스반도체, 현대건설 등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지분매각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산업은행과 우리금융 등 정부 소유 금융회사의 민영화를 앞당기기로 하면서 이들 회사가 갖고 있는 기업의 새주인 찾기 작업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외환, 산업, 우리, 신한은행 등으로 구성된 하이닉스반도체 주주단 운영위원회는 지난 주말 회의를 열어 하이닉스 지분 처리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회의에서는 하이닉스 매각 자문사인 크레디트 스위스(CS)가 지난해 9월부터 4개월 동안 실시한 조사 결과를 보고 받았다. CS는 올 1·4분기를 하이닉스 지분 매각을 시작할 적기로 제시했으며, 국내 기업 가운데 잠재적 매수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했다.현재 시장에서는 LG그룹과 현대그룹, 현대중공업 등을 잠재적 인수자로 거론하고 있다. 운영위는 하이닉스 지분을 조기에 매각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으며, 매각 시기는 CS의 최종 보고서를 검토한 뒤 다시 협의하기로 했다. 같은 날 현대건설 주주협의회도 운영위원회를 갖고 현대건설 인수·합병(M&A)과 관련된 협의를 가졌다. 현대건설의 예상 몸값은 하이닉스와 비슷한 5조∼6조원 수준. 이 자리에서 주관은행인 외환은행은 현대건설의 영업과 주가상황 등을 감안, 올 1분기 중 주간사 선정을 시작으로 M&A를 추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은행이 주채권은행인 대우조선해양은 현대건설이나 하이닉스반도체보다 먼저 매각 작업이 시작될 전망이다.산업은행은 이미 지난해 말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한 검토 작업을 마쳤으며, 산업은행 민영화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마무리될 경우 빠른 시일 내에 매각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스코를 비롯해 동국제강,GS그룹, 두산그룹,STX 등이 대우조선해양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 인수 대상자 선정에 어려움이 없다. 채권단 관계자는 “은행자본이 기업 지분을 계속 가지고 가는 것은 시장 논리에 맞지 않다.”면서 “새 정부 출범 직후인 올 1분기 안으로 M&A가 활기를 띨 것”이라고 말했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