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외국인·임원 배만 불려
정부의 유동성 지원을 받게 된 시중은행들이 그동안 과도한 이익잔치를 벌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7대 시중은행은 연간 10조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벌어들이면서 주주들에게 수조원대 배당을 지급하는 대신 사회공헌활동에는 순이익의 1% 남짓에 그치고 있다.●7대 시중은행 年 이익 10조원 육박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SC제일, 하나, 신한, 국민, 씨티, 외환 등 7개 시중은행은 2005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 총 26조 110억원(이익)을 벌었다.2005년과 2006년 순이익은 각각 8조 5712억원,8조 766억원으로 8조원대에서 작년에는 9조 363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올해 상반기 순이익도 4조 4886억원으로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주로 주택담보대출과 중소기업대출 등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이다. 그러나 수익의 대부분은 외국인 주주들에게 퍼주고 있다.7대 시중은행이 2005년부터 작년까지 주주들에게 지급한 배당총액은 6조 8000억원. 이중 외국인 배당금액이 4조 4000억원으로 65%에 달한다. 2005년에는 총 배당금 1조 3659억원의 44%인 6139억원만 외국인 배당금으로 지급했으나 2006년에는 3조 21억원의 68%인 2조 620억원, 작년에는 2조 4341억원의 71%인 1조 7345억원을 각각 외국인 배당금으로 지출했다. 은행들은 또 정부가 세워준 높은 진입장벽 안에서 막대한 돈을 벌면서 임원들에게 최대 20억원의 연봉을 지급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신학용(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국민은행장이 성과급을 포함해 20억 2500만원의 연봉을 받는 등 4대 시중은행장의 연봉은 6억~20억원에 달했다. 임원 평균연봉도 국민은행이 5억 22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4억 3100만원), 우리은행(3억 3500만원), 하나은행(1억 7700만원) 순이었다.4대 시중은행의 감사 연봉도 4억~7억원대로 다른 금융회사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사회공헌 활동은 ‘쥐꼬리’ 은행들의 빈약한 사회공헌 활동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7개 시중은행들의 지난해 순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은 1%가 조금 넘어 상장사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게다가 사회공헌활동에 나서고 있는 은행들도 비용의 30%를 홍보나 마케팅 성격이 강한 문화, 스포츠, 예술 분야에 지출해 순수성을 의심받고 있다. 시중은행의 작년 재무제표상 기부금은 총 1111억원으로 전체 순이익의 1.18%에 그쳐 상장사 평균 2.6%에 크게 못 미친다. 더구나 외국계 은행들이 특히 기부에 인색하다.SC제일은행과 씨티은행은 작년 이익금 대비 기부율이 각각 0.38%, 0.64%에 그쳤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가 최대주주인 외환은행은 0.29%로 주요 은행들 중에 가장 낮았다. 우리은행(1.04%)과 하나은행(2.09%), 국민은행(1.14%), 신한은행(1.85%) 등 4대 시중은행도 모두 상장사 평균에는 못 미쳤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국민들의 혈세를 지원 받은 은행들의 사회공헌활동이 지나치게 빈약하다.”면서 “이번 정부의 유동성 지원을 계기로 은행의 사회적 책임경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