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이두걸
    2025-10-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516
  • 환율 1$=1500선 코앞

    환율 1$=1500선 코앞

    원·달러 환율이 엿새째 급등하면서 1460원선마저 돌파,1500선이 코 앞에 다가왔다. 원·엔 환율은 장중 100엔당 1600원대를 돌파, 대일 무역적자 심화의 우려를 더하고 있다. 2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25.3원 폭등한 1467.8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10년 7개월 만에 최고치로 최근 엿새 동안 상승폭은 무려 152.8원에 달한다. 전일보다 32.5원 뛰어오른 1475.0원으로 출발, 장중 1495원까지 상승했지만 당국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나오면서 1460원대 후반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날 환율 상승의 원인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순매도 때문이다. 한편 원·엔 환율은 한때 1600원을 돌파한 뒤 이날 3시 현재 1536.96원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에는 1991년 원·엔 고시환율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인 1546.09원을 기록했다. 증시는 그나마 상황이 나았다. 국민연금을 주축으로 하는 기관이 1645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장중 한때 코스피 지수가 1000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52.71포인트(5.57%) 오른 999.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금리가 크게 떨어졌던 채권시장은 이날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이날 지표물인 국고채 3년물과 5년물은 각각 전날보다 0.04,0.08% 상승한 4.52%,4.62%를 기록했다.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도 6.05%로 전날에 비해 0.01% 상승했다. 조태성 이두걸기자 cho1904@seoul.co.kr
  • [기로에 선 금융위기] 정부·한은 내년까지 200조원 공급

    [기로에 선 금융위기] 정부·한은 내년까지 200조원 공급

    정부와 한국은행이 금융시장 안정과 불황 극복을 위해 투입했거나 내년까지 지원 또는 공급하기로 한 금액이 모두 20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과 정부에 따르면 지원 또는 공급되는 원화는 44조원에 이르며 해외 차입에 대한 지급보증을 포함한 달러 지원규모는 151조원에 이른다. 둘을 합하면 195조원으로 올해 정부 예산(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포함)인 220조원의 89%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시중 유동성은 더욱 불어날 예정이어서 물가 상승의 원인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 24일 증시안정을 위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에 2조원을 공급했다. 한은은 환매조건부채권(RP) 방식으로 증권금융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했다. 또 지난 23일 통안증권 중도환매를 위한 입찰을 통해 7000억원을 시장에 투입했다. 한은은 중소기업에 저리로 공급하는 총액한도대출 규모를 기존의 6조 5000억원에서 9조원으로 2조 5000억원 증액했다.27일에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RP 방식으로 은행채와 특수채를 5조∼10조원 정도 사들이기로 했다. 정부는 자금난에 빠진 건설사들의 미분양 주택이나 보유토지를 공공기관에서 매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건설사들에 9조원 안팎의 유동성을 직접 지원키로 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 9월 4조 5000억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했다. 경기의 급강하를 막고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8년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감세로 인한 효과는 올해 1조 9000억원, 내년에는 6조 2000억원에 이른다.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내년에 13조원 수준의 감세를 통해 가처분 소득을 늘리고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감세 규모는 애초 세제개편안보다 7조원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공급했거나 지원할 예정인 외화는 모두 450억달러에 이른다. 이는 정부가 이달 외환 스와프 시장에 공급한 100억달러와 수출입은행을 통해 지원한 50억달러에다 지난 19일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통해 추가로 풀기로 한 300억달러(정부 200억달러, 한은 100억달러)를 합한 것이다. 정부는 추가 200억달러 가운데 170억달러는 수출입은행을 통해 경쟁입찰 방식으로 지원하고 나머지 30억달러는 무역금융에 공급하기로 했다. 한은은 100억달러를 외환스와프 시장에서 경쟁입찰 방식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올 평균 환율인 1달러당 1041.6원으로 환산하면 약 47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정부가 은행의 대외 채무에 대해 지급보증을 하기로 한 1000억달러까지 포함하면 약 151조원이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박사는 “현재 급선무는 신용경색으로 막힌 부분을 뚫는 것”이라면서 “정부의 유동성 공급 규모가 많고 적음을 따지기보다는 정책적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기로에 선 금융위기] 숨통 트게 된 중기·시중銀

    한국은행은 27일 기준금리 대폭 인하 외에도 외화대출 용도제한 완화와 은행채 매입이라는 ‘결단’을 내렸다. 키코 거래 손실에 따른 파산과 유동성 고갈이라는 위기에 직면한 키코 가입 중소기업과 시중은행들의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서다. 이날 한은이 밝힌 ‘외화대출 용도제한 완화 방안’에 따르면 키코 등 통화옵션 거래 결제자금에 대해 외화대출이 허용됨으로써 중소기업들은 원화가 아닌 외화로 키코 계약 대금을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최근 급격한 환율 인상으로 키코에 가입한 중소기업들의 거래·평가손실이 급증하고 도산 가능성도 높아지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키코 계약잔액은 101억달러. 이번 조치의 허용대상은 수출면허를 취득하고 관세청에 수출품목을 신고한 업체 중 키코 등 통화옵션 계약일 당시 수출실적이 있는 곳이다. 허용대상 거래도 키코 등 환헤지 목적 통화옵션거래로 제한된다. 또한 운전자금용도로 나간 외화대출의 상환기간도 추가로 연장된다. 대상은 지난해 8월10일 이전에 취급된 운전자금 외화대출이고, 연장 기간은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났다. 이에 대해 중소기업들은 일제히 환영하고 있다. 환헤지 피해기업 공동대책위원회 소속 중소기업 관계자는 “키코 관련 손실 자체가 없어지진 않겠지만 수출 등을 통해 충당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겨 최악의 상황은 벗어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은행채 매입은 은행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와 같이 유동성 완화의 효과를 갖는다. 거래가 끊긴 은행채를 한은이 사주게 되면 일종의 자금 수혈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은행채와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의 금리 인하도 기대할 수 있다. 결국 은행채 수요 증가→은행채 금리 하락→CD금리 하락→대출금리 하락의 연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국민은행 자금 담당자는 “은행채가 국고채 등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돼 투자자나 자산운용사들의 불안 심리를 안정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 채권 시장에서 은행채가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아 특별한 반응은 없고, 한은에서 실제로 은행채를 매입하는 시점에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엔화 초강세에도 엔화대출 급증

    엔화에 대한 원화 가치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엔화대출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급등한 원·엔 환율이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으로 보이지만 원·엔 환율 상승세가 장기화되면 환차손을 입을 수 있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5개 주요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23일 현재 9289억엔으로 지난달 말보다 158억엔 급증했다. 이달 말까지 증가세가 지속되면 증가 폭이 지난 4월 161억엔을 넘어서며 연중 최대폭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은행의 엔화대출은 6월말 이후 석 달간 증가한 뒤 지난달 8억엔 줄었지만 이달 들어 다시 늘기 시작했다. 엔화 대출이 증가한 것은 이달 들어 급등한 원·엔 환율의 하락 반전을 기대한 신규 대출 수요가 유입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원화 대출 금리가 급등한 점도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엔화대출에 수요가 몰리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원·엔 환율이 추가 상승하면서 대출자들이 환차손을 입을 가능성도 있다. 최근 엔화가 달러화에 대해 13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지만 원화는 위험자산으로 인식되면서 달러화에 대해 10년4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의 급등을 초래하고 있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채권시장 일단 진정

    채권시장 일단 진정

    27일 한국은행의 전격적인 기준금리 대폭 인하에 따라 채권시장은 안정을 되찾는 분위기다. 국고채 3년물 등 지표물은 0.3%포인트 이상 하락하고,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도 0.14%포인트나 떨어졌다. 시중금리를 끌어내려 서민의 고통을 덜고 연체 급증을 막겠다는 이번 조치의 목적이 어느 정도 실현된 셈이다. 그러나 채권 가격이 오후 들어 오전에 비해 다시 높아지고, 회사채 금리는 변동이 없거나 소폭 하락하는 등 효과가 크지 않아 금융당국의 추가 조치가 뒤따라야 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적지 않다. ●주택대출 금리 하락 기대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은 4.52%,5년물은 4.62%로 떨어졌다. 전날보다 각각 0.32%포인트,0.28%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금리가 떨어진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높아진다는 뜻으로,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는 전날보다 0.14%포인트 하락한 6.18%를 기록했다.CD금리는 지난 10일 연 5.98%에서 줄곧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12영업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28일 우리와 신한은행 변동형 주택대출 금리는 전날보다 0.03%포인트씩 하락한 7.03~8.33%,6.93∼8.23%가 적용된다. 하나은행의 경우 7.14∼8.44%로 전날보다 0.14%포인트 내린다. 전문가들은 국고채 하락 폭보다 덜 빠진 만큼, 앞으로 추가적인 금리 하락의 여지가 크다고 내다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에 따라 서민들의 이자 부담도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회사채 등은 금리인하 반영 안 돼 그러나 상황을 낙관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이날 국고채와 CD 등 채권금리는 오전에는 크게 하락했다가 오후 종가에는 다시 상승했다. 채권 시장에 대한 불신감이 완전히 가시지 않았다는 뜻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오전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의 소식에 과민하게 반응하다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국내 증시 하락 등의 악재에 따라 판단 유보의 결론을 내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 회사채가 금리인하 호재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것 역시 불안감을 씻지 못하게 하는 요소다. 기업어음(CP) 91일물 금리는 이례적으로 전날 7.21%에서 제자리걸음을 했다.31일만에 상승세가 멈추긴 했지만 금리 인하로 이어지지 않았다. 회사채(무보증 3년)AA- 금리 역시 국고채 등보다 낮은 0.23%만 떨어지며 7.87%에 머물렀다. 당장은 기업 자금사정의 개선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하나대투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회사채나 은행물이 국고채 등보다 매력이 낮은 데다 특히 회사채는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움직이는 폭 역시 제한적”이라면서 “다만 아랫목이 일단 뜨거워진 만큼 회사채 등 윗목도 서서히 데워질 것이고, 앞으로 경제상황이 좋지 않으면 국민연금 등 정부기관이 우량 회사채를 사들이는 등 추가 대책이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뛰는 금리에 깊어가는 서민주름

    뛰는 금리에 깊어가는 서민주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원화 유동성 부족 현상으로 은행권 대출금리가 껑충 뛰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 대출자들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은행들이 은행채 등 시장성 수신 대신 예금금리 인상을 통해 유동성 확충에 나서면서 연이율 7%대 상품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 덕분에 이번 달 들어서만 13조원이 넘는 시중자금이 은행예금으로 몰렸다. ●CD금리 11거래일 연속상승… 한달새 0.39%P 폭등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출 금리는 변동금리형과 고정금리형,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가릴 것 없이 전방위로 뛰고 있다. 이번 주 국민은행의 변동형 주택대출 금리는 6.92~8.42%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2004년 금리 체계를 변경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신한과 우리은행의 주택대출 금리도 이번 주 초 6.96~8.26%와 7.06~8.36%로 지난주 초보다 0.08%포인트씩 상승했다. 하나는 7.28~8.58%로 0.08%포인트, 기업은 7.11~8.41%로 0.06%포인트 올랐다. 우리은행의 3년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번 주 초 8.89~9.99%로 지난주 초보다 0.12%포인트 상승하는 등 장기 고정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도 8.69~9.39%로 0.26%포인트 급등했다. 신용대출 금리 역시 상승세에서 빠지지 않는다. 씨티은행은 지난 2일 2년제 직장인신용대출 금리를 0.70%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20일에도 11.80%로 0.10%포인트 추가 인상했다. 스마트론, 닥터론도 12.80%와 11.90%로 3주새 각각 0.35%포인트 인상했다. ●이달 들어 시중자금 13조원 은행예금으로 대출금리가 전방위로 상승하고 있는 것은 기준 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 등 시장성 수신 금리가 급등하고 있기 때문.CD금리는 지난 10일 이후 11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24일 현재 6.18%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한달 동안 무려 0.39%포인트나 폭등했다. 대신 은행들은 시중 자금을 끌어모으기 위해 예금 금리를 7%대까지 올렸다. 은행들은 겉으로는 낮은 금리를 내세우면서도 영업점장 전결, 본부 승인 내지는 1000만원 이상 등의 조건을 내걸어 7%대 중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7%대 후반까지도 제시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그 결과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외환 등 6개 주요은행은 지난 23일 기준으로 이번 달에만 11조 1615억원의 시중자금을 빨아들였다. 우체국금융과 농협을 합치면 예금 증가액은 13조 4416억원에 달한다. 금융기관 별로는 하나은행이 이달 들어 4조 2464억원을 모은 데 이어 ▲신한 3조3994억원 ▲우리 1조 3673억원 ▲농협 1조6218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코스피 한달만에 35% 폭락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라 이번 달 코스피지수가 35%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주식형펀드 평가손실이 올해 들어 68조원에 달하고, 이번 달에만 27조 3000억원이 증발됐다. ●대형 우량주도 예외없어 26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1448.06으로 마감했던 코스피지수는 지난 24일 1000선이 무너지며 938.75까지 주저앉아 월간 하락률이 무려 35.17%에 달하고 있다. 이는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5월 월간 최대 하락률 기록인 21.17%를 10년 만에 경신하는 수치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IT버블이 붕괴했던 2000년 10월(-16.10%)과 카드 사태 직전인 2002년 12월(-13.42%) 등에도 하락률이 높았지만 2003년 이후에는 올해 1월(-14.36%)까지 월 하락률이 10%를 넘은 적이 없었다. 또 코스피지수는 지난 6월 이후 5개월 연속해서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카드사태 직후인 2004년 3~7월 이후 처음이다. 경기변동에 강한 대형 우량주인 블루칩 역시 증시 폭락세에서 예외가 아니다.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은 최근 한달(9월24일~10월24일)동안 평균 31.38% 하락했다. 반토막 이상이 난 종목도 23개나 됐다. 건설업황 우려와 악성 루머에 시달린 대림산업 주가는 지난 한달간 7만 9600원에서 2만 6400원으로 무려 66.83% 떨어지며 하락률 1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그나마 오른 종목은 SK텔레콤,LG텔레콤뿐이었다. ●주식형펀드 이달 들어 27조 증발 이는 주식형펀드의 폭락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주식형펀드의 순자산총액은 23일 기준 80조 2547억원으로 작년 말 137조 1867억원에 비해 56조 9320억원 줄었다. 국내주식형은 25조 3909억원, 해외주식형 31조 5411억원의 감소를 보였다. 올해 들어 환매액을 제하고도 국내주식형 10조원, 해외주식형 1조 3000억원 등 모두 11조 3000억원이 주식형펀드로 순유입된 것을 감안하면 주식형펀드 전체 평가손실은 국내형 35조 4000억원, 해외형 32조 8000억원 등 총 68조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달 들어서만 전체 주식형펀드에서 27조 2999억원이 사라졌다. 펀드의 평가손실이 단기간에 커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등 해외발 악재로 불안심리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기 때문.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이 집계한 국내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4일 현재 -42.76%, 해외주식형은 -52.99%로 추락한 상태다. 제로인 이수진 펀드애널리스트는 “사실상 국내외 주식형펀드의 절반가량이 올해 들어 반 토막이 난 상태”라면서 “증시 불안이 지속되고 있어 평가손실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기로에 선 금융위기] 한국경제 97년 환란때와 같은점·다른점

    [기로에 선 금융위기] 한국경제 97년 환란때와 같은점·다른점

    우리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면서 외환위기가 재현되는 게 아닌가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환율과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율 등 금융시장의 상황이 11년 전과 유사하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와 비교했을 때 외환보유액이 7배에 달하고, 외환위기를 불러 왔던 기업의 건전성이 개선된 만큼, 당시와 비교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시장만 놓고 본다면 환란 때와 유사한 모습이 재현되고 있다. 외환위기가 일어난 1997년 원·달러 환율은 1월3일 843.4원에서 12월31일 1695원으로 두배 이상 뛰었다. 올해는 1월2일 936.9원에서 지난 24일 1424.0원으로 52% 상승한 상태다. 기간 대비 속도로만 따지면 97년 상황 못지않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올해 6월 기준으로 41.8%를 기록,97년 6월의 48%에 육박한 상태다. 특히 국민소득(GNI) 대비 총외채 비율은 지난해 말 39.3%로 지난 97년의 33.9% 수준을 넘어섰다. 경상수지 적자 역시 올해 8월까지 126억달러에 달하면서 97년 82억 9000만달러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이에 따라 정부의 대외신인도를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의 경우 한국(5.57%)은 태국(4.14%)이나 말레이시아(4.22%)보다 낮다.CDS는 채권이 부도가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 주는 계약으로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부도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찮다.97년 6월 말 당시 외환보유액은 333억달러에 불과했지만 올해 9월 말에는 2396억달러로 세계 6위의 보유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68.1%로 외환위기 당시 264%에 비해 크게 낮다.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은 92.5%로 지난 97년 말 424.5%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은행 BIS 자기자본비율 역시 올해 3월 말 현재 11.0%로 97년 말 7%에 비해 상승했다. 또한 CDS 프리미엄에 대해서도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태국은 경상수지가 올해 흑자이고, 외채도 한국보다 적다.”면서 “한국의 수출입 비중이 높다 보니까 국제적으로 신용이 경색되면 타격을 많이 입을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한화, 대우조선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확정

    한화가 현대중공업을 제치고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대우조선 매각 주간사인 산업은행은 24일 오후 산은 7층 대회의실에서 “한화 컨소시엄과 현대중공업 컨소시엄의 본입찰제안서에 대한 평가 결과 대우조선해양 주식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한화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산은은 지난 13일 한화컨소시엄과 현대중공업 컨소시엄으로부터 본입찰제안서를 접수해 종합적인 심사를 진행했다. 한화컨소시엄은 입찰가격과 입찰자의 경영능력, 인수 후 발전계획 및 시너지, 자금조달계획, 노사관계 안정계획 등의 평가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산은은 매각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주 대표 3인과 외부 전문위원 3인으로 구성된 공동매각 추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했으며 선정 기준은 본입찰 마감 전에 확정했다고 밝혔다. 산은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화컨소시엄과 조만간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11월 초부터 약 3~4주 동안 확인실사가 끝나면 가격조정 협상을 거쳐 올해 안에 최종 매매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산은은 매각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6조원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송금 수수료’ 은행마다 천차만별

    ‘송금 수수료’ 은행마다 천차만별

    서울 강남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김병민씨는 얼마 전 밤 시간대에 자동화기기(ATM)로 타행이체를 하다가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10만원을 타행이체했을 때 어떤 은행은 1000원을 받지만 다른 은행은 1600원이나 수수료로 받았다. 김씨는 “비슷한 지역에서 비슷한 종류의 ATM기로 이체를 했는데 수수료를 더 내야 하는 게 이해할 수 없다.”면서 “마치 같은 물건을 바가지 쓰고 산 기분”이라고 꼬집었다. 은행권의 과도한 수수료 수익에 대해 여론의 따가운 시선이 쏠리면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당행·타행 입출금과 송금수수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월 청와대의 송금수수료 인하 요구 이후 일부 은행들만 수수료를 내렸을 뿐 상당수 은행들은 여전히 높은 수수료를 고집하고 있어 경제난에 시달리는 서민들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타행이체 수수료 부담 가장 커 24일 은행연합회 등에 따르면 수수료 부담이 가장 큰 부분은 타행이체. 은행별 수수료도 천차만별이다.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ATM기의 경우 10만원 이하 금액은 은행 영업시간 전에는 국민과 기업,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의 수수료가 600원으로 가장 저렴하다. 마감시간 뒤에는 국민과 기업은행이 1000원을 받는 반면 외환과 한국씨티은행은 1600원이나 부과된다. 대신 씨티은행 등은 10만원 이상 금액에서도 같은 수수료를 받는다. 인터넷 뱅킹의 경우 모든 은행에서 500원의 수수료를 일괄 부과한다. 우리은행만 300원을 받는다. 수수료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부문은 창구를 이용한 타행이체 수수료.SC제일과 신한, 외환, 하나은행 등은 3000원이나 받는다. 그러나 국민과 기업, 우리은행은 1000원에 불과하다. 노령층 등 상당수의 은행 고객들이 여전히 ATM기나 인터넷뱅킹 대신 창구를 애용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지적이다. ●우수고객 되거나 수수료 면제 상품 가입 당행이체는 타행이체보다 차이가 덜하다. 모든 은행에서 당행 ATM 이체는 영업시간에는 무료다. 마감 뒤에는 우리, 신한, 기업은행은 수수료를 받지 않지만 다른 은행들은 300~600원을 부담해야 한다. 다만 창구를 이용했을 때는 격차가 심하다.SC제일과 외환, 하나은행 등은 당행이체인데도 불구하고 수수료를 1500원이나 받는다. 반면 국민과 신한은행은 면제, 우리와 기업은행은 500원씩 부과된다. 같은 은행에서 ATM기를 통해 돈을 인출할 때 영업시간 전에는 모든 은행에서 수수료를 받지 않지만 영업시간 뒤에는 500~600원의 수수료를 모두 받는다. 다른 은행에서 인출할 때 대부분의 은행들은 영업시간 전에는 1000원, 영업시간 뒤에는 12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한다. 국민과 한국씨티 등은 각각 600원,800원의 저렴한 수수료만 받는다. 인터넷뱅킹은 모두 무료다. 수수료를 아끼는 방법도 있다. 주거래은행의 우수고객이 되면 수수료 면제폭이 크다. 최근에 출시되는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면 대부분 수수료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모바일 등 창구를 이용하지 않는 거래를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인터넷뱅킹 타행이체 수수료는 ATM이나 창구 수수료의 절반 이하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금융위기→실물위기 악순환] “증시·환율 일시적 쇼크 반복될 것”

    [금융위기→실물위기 악순환] “증시·환율 일시적 쇼크 반복될 것”

    갈수록 증폭되는 금융위기의 종착역은 어디일까. 23일 현장 전문가들에게 이번 위기의 원인과 전망, 그리고 대응법에 대해 물었다. 증시폭락과 환율 폭등이 연일 이어지는 상황에서 아무도 쉽게 입을 열려고 하지 않았다. 그만큼 무거운 분위기였다. 금융위기와 실물위기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신용경색 현상이 한층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증시와 환율 등 금융시장은 쇼크 상황을 반복적으로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연말쯤 어느 정도 안정 찾을 것 서명석 동양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실물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가 크기 때문에 지금은 저점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계속 고비를 타고 넘어야 한다.”면서 “지금 상황으로 봐서는 특별히 어떤 상황이나 대책이 나온다고 마무리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선진국의 금융위기가 이머징시장의 침체로 이어지고 여기에다 개도국들의 디폴트 선언까지 나오고 있어 심리가 극도로 얼어붙었다는 얘기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여기에다 국내적 요인을 추가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요인 외에도 은행들의 과도한 해외차입과 부동산 대출 등의 문제가 겹치면서 국내적 요인에 따른 위기감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하·부동산 추가대책 예상 그러면 언제쯤 위기가 어느 정도 진정이 될까.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연말쯤에는 안정되리라는 전망을 내놨다. 아무리 불안하다 해도 한국 증시와 환율이 지금처럼 반응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는 반응들이다. 박종현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연말쯤 무역수지 개선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환율이나 주가 모두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장은 “단기 상황을 전망하는 게 무의미하지만 아무리 봐도 터무니없다는 생각은 든다.”면서 “증시는 쉽지 않지만 외환시장이 먼저 안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지금 단계에서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일까. 모두들 입을 모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건설·부동산 관련 추가 대책을 예상했다. 지금 상황에서라면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겠지만 신용경색을 풀고 실물경기를 어느 정도 살려 놓는 데는 이보다 좋은 방법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도덕적 해이도 줄여야 한다. 신 실장은 “예를 들어 한은이 은행의 금융채를 살 때도 금융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금리보다 약간 작은 금액을 사들이는 등 가능한 한 시장 가격의 기능을 고려한 수준에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도 빼놓을 수 없다. 신 실장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재정정책 확대도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라면서 “다만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경기를 부양할 수 있는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거나 내년 초에 예정돼 있는 재정사업을 올해 말로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태성 이두걸기자 cho1904@seoul.co.kr
  • 시중은행 외국인·임원 배만 불려

    정부의 유동성 지원을 받게 된 시중은행들이 그동안 과도한 이익잔치를 벌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7대 시중은행은 연간 10조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벌어들이면서 주주들에게 수조원대 배당을 지급하는 대신 사회공헌활동에는 순이익의 1% 남짓에 그치고 있다.●7대 시중은행 年 이익 10조원 육박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SC제일, 하나, 신한, 국민, 씨티, 외환 등 7개 시중은행은 2005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 총 26조 110억원(이익)을 벌었다.2005년과 2006년 순이익은 각각 8조 5712억원,8조 766억원으로 8조원대에서 작년에는 9조 363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올해 상반기 순이익도 4조 4886억원으로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주로 주택담보대출과 중소기업대출 등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이다. 그러나 수익의 대부분은 외국인 주주들에게 퍼주고 있다.7대 시중은행이 2005년부터 작년까지 주주들에게 지급한 배당총액은 6조 8000억원. 이중 외국인 배당금액이 4조 4000억원으로 65%에 달한다. 2005년에는 총 배당금 1조 3659억원의 44%인 6139억원만 외국인 배당금으로 지급했으나 2006년에는 3조 21억원의 68%인 2조 620억원, 작년에는 2조 4341억원의 71%인 1조 7345억원을 각각 외국인 배당금으로 지출했다. 은행들은 또 정부가 세워준 높은 진입장벽 안에서 막대한 돈을 벌면서 임원들에게 최대 20억원의 연봉을 지급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신학용(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국민은행장이 성과급을 포함해 20억 2500만원의 연봉을 받는 등 4대 시중은행장의 연봉은 6억~20억원에 달했다. 임원 평균연봉도 국민은행이 5억 22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4억 3100만원), 우리은행(3억 3500만원), 하나은행(1억 7700만원) 순이었다.4대 시중은행의 감사 연봉도 4억~7억원대로 다른 금융회사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사회공헌 활동은 ‘쥐꼬리’ 은행들의 빈약한 사회공헌 활동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7개 시중은행들의 지난해 순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은 1%가 조금 넘어 상장사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게다가 사회공헌활동에 나서고 있는 은행들도 비용의 30%를 홍보나 마케팅 성격이 강한 문화, 스포츠, 예술 분야에 지출해 순수성을 의심받고 있다. 시중은행의 작년 재무제표상 기부금은 총 1111억원으로 전체 순이익의 1.18%에 그쳐 상장사 평균 2.6%에 크게 못 미친다. 더구나 외국계 은행들이 특히 기부에 인색하다.SC제일은행과 씨티은행은 작년 이익금 대비 기부율이 각각 0.38%, 0.64%에 그쳤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가 최대주주인 외환은행은 0.29%로 주요 은행들 중에 가장 낮았다. 우리은행(1.04%)과 하나은행(2.09%), 국민은행(1.14%), 신한은행(1.85%) 등 4대 시중은행도 모두 상장사 평균에는 못 미쳤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국민들의 혈세를 지원 받은 은행들의 사회공헌활동이 지나치게 빈약하다.”면서 “이번 정부의 유동성 지원을 계기로 은행의 사회적 책임경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금융권 스톡옵션 ‘모럴해저드’

    금융권 스톡옵션 ‘모럴해저드’

    신한금융지주 라응찬 회장 등 신한금융 주요 경영진이 지금까지 1인당 100억원 넘는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 차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스톡옵션 반납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스톡옵션의 ‘모럴 해저드’에 대한 사회적 반감이 거센 상황이라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임기중 스톡옵션 행사에 사회적 반감 커 23일 금융감독원과 시중은행 등에 따르면 라응찬 신한금융회장은 지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부여받은 스톡옵션 29만여주를 지난해 3월23일 모두 행사했다. 당시 신한금융 주가 5만 5431원을 기준으로 세전 109억 9000만원, 세후 67억 6000만원의 수익을 거뒀다. 신상훈 신한은행장도 작년 4월19일 15만 5000여주에 대한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70억 5900만원, 세금 납부 뒤 43억 4100만원의 차익을 올렸다. 하나금융지주 김승유 회장도 2002년 4월에 부여받은 7만 5000주의 스톡옵션을 올 1분기쯤에 행사한 것으로 추정된다.3월 말 주가 4만 500원을 적용할 때 예상 수익은 15억 5000만원에 달한다. 김종열 행장도 비슷한 시기에 1만 5000주의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3억 1000만원 정도의 차익을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라 회장과 신 행장의 스톡옵션 행사 시점이 2002년 부여분은 올해 5월,2003년과 2004년 부여분은 각각 2009년 5월과 3월까지 상당 기간 남아 있었다는 점. 스톡옵션은 자사 주식을 액면가 또는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매입, 일정 기간이 지나 임의로 처분하거나 차익을 회사로부터 받는 권리다. 파는 시점의 주가에 따라 스톡옵션 규모는 천차만별로 벌어질 수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임기 중의 스톡옵션 권리 행사는 일종의 ‘도덕적 해이’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경영진은 해당 회사의 경영 정보에 대해 누구보다 밝기 때문에 현직에 있을 때 스톡옵션 권리를 행사하면 ‘주가가 가장 높은 시점에 최고 수익을 거뒀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10억 넘는 연봉에 웬 스톡옵션? 현재 금융권에서 가장 많은 스톡옵션 권리를 가진 경영진은 강정원 국민은행장으로 무려 61만주나 된다. 그러나 스톡옵션 행사가격이 5만 600원으로 현재로서는 무용지물에 가깝다.KB금융지주의 주가는 이날 3만 6800원으로 행사가격 이상으로 올라야 그 차익만큼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다만 7만원 중반대였던 지난해 하반기 수준으로 주가가 다시 회복된다면 100억원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라응찬 신한금융회장과 신상훈 신한은행장은 현재 각각 28만주,21만 6000주 정도의 행사하지 않은 스톡옵션을 여전히 갖고 있다. 이중 라 회장과 신 행장은 각각 9만 9447주,8만주를 행사할 수 있다. 현재 신한금융 주가 3만 4500원을 감안하면 평가차익은 각각 5억원,4억원 정도다. 그러나 나머지 스톡옵션은 내년 이후에나 행사할 수 있는 데다 행사가격이 현 주가보다 높은 상태다. 김승유 하나금융회장과 김정태 하나은행장은 하나금융 스톡옵션을 각각 23만 2000주,13만주 보유하고 있지만 행사가격이 현재가보다 무려 두 배나 높다. 그러나 금융사의 스톡옵션 자체에 대한 비난도 거세다. 자금이 부족한 벤처 기업 등에서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된 만큼,10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는 금융기관 경영진에게까지 주는 것은 원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단기 성과에 매몰될 여지도 크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경영진이 뒷감당은 생각하지 않고 주택담보대출과 중소기업대출에 ‘올인’하면서 자산 경쟁과 주가 올리기에 급급한 것도 스톡옵션 분이 감안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제2금융권 돈가뭄에 운다

    제2금융권 돈가뭄에 운다

    신용경색의 파도가 은행을 넘어 카드사와 캐피탈,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까지 덮치고 있다. 이들이 느끼는 자금난은 1금융권인 은행 수준을 넘어선다. 시중금리 상승으로 제2금융원의 자금조달 비용이 껑충 뛰어올랐고, 그나마도 돈줄이 말라 조달규모가 크게 줄면서 일부 여신전문회사는 모기업의 자금수혈을 받게 됐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지주는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열 할부 금융사인 우리파이낸셜에 3000억원 규모의 자금 수혈을 하기로 했다. 자금시장 경색으로 캐피탈사의 주요 자금조달처인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의 발행이 힘들어지고 은행권 차입도 막히면서 모기업이 자금수혈에 나선 것이다. 할부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캐피탈사의 채권 발행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자금조달 창구가 막힌 상태”라고 전했다. 카드사들은 그나마 채권을 발행하고 있지만 조달금리가 8% 중반까지 뛰어올랐다. 삼성카드는 이달 20일 2년 만기 회사채 100억원어치를 금리 8.53%로 발행했다. 이 카드사는 2년물 회사채를 지난달 16일에 7.48%(200억원), 6월26일에 6.85%(100억원), 4월21일에는 6.00%(200억원)에 각각 발행했다.6개월 만에 카드채 발행금리가 2.53% 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저축은행들은 고객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앞다퉈 금리를 올려 이제는 9%에 육박한다. 삼화저축은행의 15개월 정기예금은 인터넷으로 가입할 경우 복리기준 수익률이 8.82%에 달한다. 비제도권 금융회사인 대형 대부업체들은 주로 저축은행이나 할부금융사에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들이 대출을 줄이는 바람에 역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대부소비자금융협회에 따르면 45개 중대형 대부업체의 월간 신규대출은 7월 1886억원에서 8월 1627억원, 9월 1105억원으로 급감하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실물경제로 번지는 금융위기] 은행장 연봉 삭감이 고통분담?

    [실물경제로 번지는 금융위기] 은행장 연봉 삭감이 고통분담?

    국내 시중은행 수장들이 22일 정부의 지급보증과 유동성 지원에 대한 자구책으로 연봉삭감 등의 내용을 담은 결의문을 내놓았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스톡옵션 반납 등이 논의되고 있다고 언급, 은행장들을 압박하고 있다. 은행들은 별도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도 적극적으로 내놓기로 했다. 그러나 자구책은 개별 은행들이 이미 발표한 수준인 데다 진정한 반성의 목소리도 담겨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국민들이 은행의 방만경영을 뒷감당하게 됐는데도 매년 수조원 단위의 순이익에 비해 ‘새발의 피’인 연봉 삭감으로 고통 분담을 운운하는 것은 무성의하다는 비난도 나온다. ●직원들은 자발적 임금동결 유도 은행들은 이날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연합회 주도로 열린 18개 사원은행장 회의에서 정부의 유동성 지원과 관련해 책임을 다하고 국민들과 고통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임원 연봉 삭감과 중소기업 지원, 가계고객 보호 등을 결의했다. 은행들은 결의문을 통해 은행장 등 임원들의 연봉을 삭감하고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임금 동결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또 영업비용 절감, 자금조달과 운용 효율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지원 방안을 적극 발굴하고, 이달 초 발표된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한편 내년 6월 말까지 만기 도래하는 중기 대출에 대해서는 만기를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은행연합회 유지창 회장을 비롯해 산업은행 민유성 행장, 기업은행 윤용로 행장, 국민은행 강정원 행장, 우리은행 이종휘 행장, 하나은행 김정태 행장 등이 참석했다. 그러나 이날 은행장들의 결의문에 대한 시중의 반응은 차갑다. 주택대출 금리 인하는 원가 절감을 통해서는 효과가 거의 없다. 대신 양도성예금증서(CD), 은행채 등 대출 기준금리인 은행물 금리 하락이 필수적인데, 이는 금융당국이 검토 중인 은행채 매입이 현실화되면 저절로 떨어진다. 은행으로서는 ‘손 안 대고 코 푸는’ 셈이다. 임원 임금 삭감이나 중기대출 만기 연장 등은 대부분의 은행들이 이미 발표한 내용이다. 이마저도 중기대출 만기 연장의 경우 기술보증기금 등 보증기관들의 보증이 담보되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리스크가 적을 뿐 아니라 이자수익 증대까지 기대할 수 있다. 10% 임금 삭감 역시 임원들이 스톡옵션 등 각종 성과금을 포함해 막대한 금액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새발의 피’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지난해 성과급을 포함,20억 25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하나은행장의 연봉이 10억 8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우리은행장과 신한은행장은 각각 9억 400만원과 6억 8100만원(성과급 제외)이었다. 임원 평균연봉은 국민은행 5억 2200만원, 우리은행 3억 3300만원, 신한은행 4억 3100만원, 하나은행 1억 7700만원이었다. 강만수 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이와 관련해 “금융위와 은행들이 (스톡옵션 반납에 대해) 협의 중인데 그런 방안도 포함해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대형 은행들의 순이익은 1조~2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럼에도 순익을 헐어 위기 극복에 쓰겠다는 언급도 빠져 있다. ●위기초래 책임소재 엄격히 가려야 한 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번 은행권 지원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과 은행권 인사들이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했던 ‘금융기관이 아닌 금융산업’이라는 말은 더 이상 쓰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은행권이 진정으로 현 상황에 대해 반성한다면 글로벌 신용위기가 잠잠해진 뒤 책임 소재를 엄격하게 가리고, 몸집 경쟁을 위한 ‘묻지마 대출’ 등 위기의 단초를 제공한 영업 행태를 근절할 수 있는 근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실물경제로 번지는 금융위기] 주가 급락 환율 급등

    [실물경제로 번지는 금융위기] 주가 급락 환율 급등

    주가가 장중에 1110선이 깨졌다. 환율은 한때 1400원선을 돌파했다. 정부가 금융·실물 시장 안정 대책을 잇달아 내놓았음에도 환율과 증시가 악영향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금융시장의 혼란이 계속됐다. 22일 코스피지수는 61.51포인트(5.14%) 폭락한 1134.59로 장을 마쳤다. 장 출발부터 하락세로 시작해 오후 2시 이후 매도가 쏟아져 전날보다 100포인트 이상 빠진 1095.56까지 내려갔다. 막판에 국민연금의 1000억원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간신히 1100선을 넘겼다. 외국인은 여전히 3624억원을 순매도했다. 이날 코스피 급락의 주된 원인은 해외 국가들의 연이은 금융위기설이었다. 아르헨티나 정부가 민영 연기금의 국유화를 발표했다는 소식에 2001년 아르헨티나의 디폴트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됐다. 증시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환율도 폭등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42.9원 급등한 136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39.90원 오른 1360.00원으로 거래를 시작, 역외 매수세가 폭주하면서 곧바로 1400.00원으로 치솟았다. 이후 차익성 매물이 몰려 1350원대로 급락했지만 장 막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370원선으로 고점을 높이기도 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국내 증시가 급락한 영향으로 환율이 급등했다고 전했다. 외국인들의 순매도세가 환시장에서의 매수세를 불러일으켰다. 뉴욕 증시 급락으로 역외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는 등 환율에 악영향으로 작용했다. 채권시장은 통화정책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표물인 국고채 5년 금리는 전날보다 0.2%포인트나 낮은 4.84%까지 떨어졌다. 이는 2006년 12월13일 4.83%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국고채 3년물 역시 전날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한 4.80%를 나타내면서 지난해 4월2일 4.78%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변동금리식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9일째 상승하며 전날보다 0.1%포인트 오른 6.15%에 이르렀다. 조태성 이두걸기자 cho1904@seoul.co.kr
  • 고금리 예금 들어볼까

    고금리 예금 들어볼까

    은행들이 시중 자금 흡수를 위해 앞다퉈 고금리 예금 상품을 내놓고 있다. 하반기 들어 금리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급기야 시중 은행들은 연이율 7%, 저축은행들은 8%대 이자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권의 역마진 경쟁 때문에 자칫 부담을 키우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는 이미 1년 기준으로 정기예금 연 이율이 7%대가 대세다.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 곳은 하나은행. 이번 달까지 ‘김인경 LPGA 우승 기념 정기예금’ 6개월 상품 금리로 7.19%까지 제공한다. 또 모집금액이 60억원이 넘으면 금리를 연 7.21%나 주는 온라인 전용 예금 ‘e-플러스 공동구매 정기예금’을 오는 26일까지 판매한다. 기업은행 역시 실세금리정기예금 연 금리를 7.14%까지 지급한다. 우리, 외환은행 등도 본점 승인 등을 거쳐 7%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과 신한은행 역시 6.8~6.9%로 7%에 육박하는 고금리를 내세워 수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은행의 고금리 경쟁은 수신 실적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달 들어 지난 16일까지 6개 주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은 9조 5957억원이나 불어났다. 특히 ▲하나 3조 7354억원 ▲신한 2조 8548억원 ▲우리 1조 6095억원 ▲외환 1조 624억원 등은 1조원 이상의 자금을 유치했다. 은행권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 9월 말에도 316조 6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권은 1년 기준으로 8%대의 상품을 앞다퉈 내놓으며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대영저축은행은 복리로 무려 연 8.4%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정기예금을 내놓았다.8%의 금리 혜택을 주는 곳도 업계 1위인 솔로몬저축은행을 비롯해 HK, 영풍 등 4곳에 이른다. 그러나 과도한 예금금리 인상이 일부 금융자산가를 제외하고는 고객들에게 꼭 유리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행들이 은행채나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은행물에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자 고금리 예금으로 자금을 끌어들이지만 이는 조달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결국 대출이자 상승 등 고객들에게 부담이 전가된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안에서도 수익성 악화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은행채를 막기 위해서라도 어떻게든 자금을 끌어들여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당분간 수신과 여신 금리 동반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정규직 평균 7800만원·임원 20억원 넘기도

    정규직 평균 7800만원·임원 20억원 넘기도

    신한·국민·하나 등 시중은행 임·직원들의 연봉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은행들이 고임금 구조를 유지한 채 정부지원을 받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는 21일 이명박 대통령의 언급이 아니더라도 은행권의 연봉은 다른 업종 수준을 훌쩍 넘어선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직장 생활까지 가능하다는 장점까지 맞물리면서 최근에는 ‘은행 고시’라는 말까지 나왔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은행권의 공동 자구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이날 금융권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외환,SC제일, 씨티은행 등이 올해 회계연도 반기보고서에 공개한 지난 상반기 남성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복리후생비 포함)는 3913만원이었다. 여직원들은 계약직 숫자가 많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은행 정규직의 평균 예상 연봉은 7800만원 정도 되는 셈이다. 은행별 예상 연봉은 외환과 씨티은행이 각각 1억 360만원,1억 140만원으로 ‘억대 연봉’ 대열에 들어선다. 이어 ▲SC제일 9800만원 ▲하나 8260만원 ▲신한 7740만원 등의 순이다. 은행권 최저인 우리은행의 예상 연봉도 6666만원이나 된다. 지난 7월 감사원 조사에 따르면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평균 연봉도 각각 9237만원,822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외환은행 관계자는 “상반기에 평가급 등이 몰려 있어 다른 은행보다 임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임원들의 임금 수준은 훨씬 높다. 신한금융과 신한은행의 올 상반기 등기 상근임원(감사 제외)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장기성과연동보상금 등을 포함해 각각 10억 5200만원,10억 4200만원이다. 연봉만 20억원이 넘는다는 뜻이다. 이어 하나금융 9억 6800만원, 국민은행 8억 4900만원 등의 순이다. 다른 업종과도 차이가 확연하다. 기업정보 전문사이트인 재벌닷컴 조사에 의하면 은행원 평균 연봉은 6808만원으로 증권사(7640만원)와 더불어 업종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평균 5170만원보다 1600여만원, 업계 최하위인 섬유업종(2964만원)의 두배 이상이다. 이에 따라 18개 시중은행장들은 2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정부의 국제금융시장 불안 극복방안에 대한 ‘은행권의 다짐’ 결의문을 채택해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가 외화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은행에 지급 보증 등의 지원을 하기로 한 데 대해 일각에서 도덕적 해이 논란을 제기하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은행이 구조조정 등 강도높은 자구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은행권의 임금 삭감도 이어지고 있다. 하나금융은 전 계열사 임원 130여명의 임금을 이달부터 10% 반납할 예정이다. 기업은행도 임원 연봉을 15% 이상 삭감하고 각종 경비 10% 이상 절감을 목표로 긴축 운용에 들어갔다. 이에 앞서 국민은행은 강정원 행장을 비롯한 임원 60여명의 연봉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5% 삭감하기로 결정했다. 우리, 신한은행 등도 임금 삭감과 더불어 경비·비용 절감 등의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주택금융公, 직원엔 펑펑 서민엔 찔끔

    서민을 대상으로 하는 주택금융 신용보증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서민을 대상으로는 까다롭게 대출을 하면서 직원들을 대상으로는 각종 자금 특혜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최근 대학들이 등록금을 크게 올리면서 학자금대출 연체율과 연체 학생들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정무위원회 신학용(민주당) 의원이 20일 주택금융공사와 감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택금융공사는 2007년 이후 경영상 어려움과 조달금리 상승을 이유로 서민 전세 대출자금인 보금자리론 금리를 대폭 인상하고,9월 초부터 무주택자의 주택 신규자금 구입을 제외한 상환·보전용도 대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9월 중 보금자리론 공급액은 2831억원으로 전달의 4342억원에 비해 34.8% 정도 감소했다. 그러나 금융공사는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71명의 직원(이 중 53명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에게 임차사택으로 80억 5900만원을 들여 아파트를 빌리도록 해주고,25명에게는 아파트 구입자금으로 22억 9900만원을 대출해준 것으로 밝혀졌다. 또 주택자금 대출에 대해 연 4.3%의 이율을 적용했다. 보금자리론 대출 금리 7.60~7.85%보다 최고 2.55% 포인트나 저렴한 수준이다. 더구나 이는 2006년 감사원 감사에서 적발된 사항으로 2년 동안 시정하지 않아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금융공사가 박상돈(자유선진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총 4조 8000억원에 이르는 학자금대출 중 연체금은 1300억원 정도로 집계됐다.2006년 말에 비해 학자금대출 규모는 137%나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연체잔액은 95%나 증가했다. 연체인원도 2006년 1만 8000명에서 3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3개월 이상 연체자도 1만명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박 의원은 특히 내년 하반기부터 일부 대출금 원금상환 시점이 도래하면서 연체율의 급속한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2013년쯤이면 보증잔액은12조원, 연체액은 8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금융공사는 지난 2005년 7월부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 업무를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연말 만기 은행채 25조 비상

    정부가 원화 유동성 경색을 방지하기 위해 국채와환매조건부채권( RP) 등을 재매입하기로 했지만 정작 문제는 연말까지 만기 도래하는 은행채 25조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가 시중에 원화 자금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국채와 통안채 등을 매입하기로 했지만 은행들은 은행채 차환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호소하고 있다.12월까지 만기 도래하는 은행채가 25조 5000억원에 이르는데 국내 은행들의 신용도에 대한 우려로 은행채 금리가 상승하고 차환이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은행채 만기 규모는 이번 달 9조원에 이어 다음달 7조 8000억원,12월이 8조 6000억원으로 전분기 18조원보다 훨씬 많은 수준이다. 이달 들어 지난 16일까지 우리은행은 은행채를 아예 발행하지 않아 잔액이 3571억원 감소했고 신한은행은 1500억원, 외환은행 340억원, 국민은행 557억원 줄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너무 높아서 차환 발행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남은 만기가 3개월인 은행채(AAA) 금리는 지난달 16일 5.63%에서 지난 17일 6.28%로 0.65%포인트나 상승했고,3년짜리 은행채 금리도 이 기간 연 6.72%에서 7.99%로 1.27%포인트 폭등했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