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행정인턴 18명 뽑은 재정부 “서류보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들이 청년 일자리 대책의 일환으로 행정인턴제 시행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기획재정부가 정부 기관 중 처음으로 행정인턴을 선발하면서 구직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은 적극적인 태도와 다양한 사회 경험 등이 채용의 기준이라고 전하고 있다.
●업무능력은 기본… 사회 경험도 한몫
20일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재정부 행정인턴 최종 합격자는 모두 18명. 이들은 경제·통계와 외국어·국제, 회계, 홍보, 전산 등 모두 5개 분야에서 서류와 면접 등 2단계 전형을 거쳐 24대1의 경쟁을 뚫고 합격했다. 이들은 연말까지 11개월 동안 월 98만 8000원의 보수를 받고 일하게 된다. 정부는 중앙정부 6000명, 지방자치단체 7000명, 공공기관 1만명 등 모두 2만 3000명의 행정인턴을 뽑을 예정이다.
재정부 행정인턴 합격자의 연령대는 만 23세에서 30세까지 다양하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에서부터 인덕대학 등 전문대까지 망라했다. 샌디에이고대 등 유학파도 포함됐다.
채용 때 고려되는 기본 조건은 업무 능력이다. 해당 분야 과장급 공무원이 면접관으로 참여해서 경험이나 전공 등 응시자의 장점과 인턴으로 채용됐을 때 맡고 싶은 업무 등을 물었다. 경력도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했다. 1명을 채용한 홍보 분야 합격자는 서류 전형에서는 2등이었지만 광고대행사와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아르바이트 등 대학 시절 경력이 합격의 비결이 됐다.
그러나 당락을 가른 것은 적극적인 태도라고 면접 참여자들은 입을 모았다. 재정부 관계자는 “업무에 대해 어느 정도 열의가 있는지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면서 “처음부터 큰일을 맡길 수는 없겠지만 토론 등을 통해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행정인턴 전형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10개월 동안 근무하는 것이지만 뭔가를 배우면서 회사를 위해 조금이라도 기여하겠다는 성실성과 책임 의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을 우선 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처들 내실있는 세부 프로그램 고민
다만 부처 입장에서는 인턴제를 어떻게 하면 내실 있게 꾸려갈 것인가가 고민이다. ‘청년인턴은 아르바이트’라는 비판 여론도 만만찮은 데다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인턴에게 커피를 끓여오게 하거나 담배 심부름을 시키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재정부 김용진 인사과장은 “오리엔테이션부터 복무, 능력개발, 업무 관련 등 전반적인 세부 운영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부처에도 도움이 되면서 청년인턴 합격자들의 사회적 재취업과 능력 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시설관리공단의 또 다른 관계자는 “근무 중이라도 취업박람회 참석 등 구직 활동에 필요한 자유 시간을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인턴 입사 뒤 1~2개월 만에 취업 등의 이유로 퇴사하게 될 경우에 대비해 예비합격자를 충분히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