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기회복 속도 OECD 국가중 최고
우리나라의 경기 회복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OECD 회원국 가운데 미국, 일본, 독일 등 대부분의 선진국들과 중국은 경기가 추가로 악화되는 등 세계 경제 침체의 골이 깊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이런 추세를 감안해 22일 발표할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2월의 3.0%에서 1.7~1.9%로, 우리나라는 4.2%에서 1.5~1.6% 정도로 각각 수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최근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서 한국의 지난 2월 경기선행지수가 94.5로 1월의 92.9에 비해 1.6포인트 늘어나 30개 회원국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고 밝혔다.
선행지수는 산업활동 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동향 등의 통계를 기초로 6개월 이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하지만 수치 자체보다 증감률이 더 중요하다.
지난해 8월 93.4였던 우리나라의 선행지수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9월 92.1로 감소한 뒤 10월 91.1, 11월 91.1로 한동안 정체 상태를 보였지만 12월 91.7을 기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회원국 중 전월 대비 선행지수가 증가한 나라는 한국 외에 프랑스(0.1포인트), 이탈리아(0.4포인트), 멕시코(0.5포인트) 등 8개국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미국(-1.1포인트), 일본(-1.5포인트), 중국(-0.7포인트), 독일(-0.3포인트), 인도네시아(-3.8포인트) 등 나머지 회원국들은 선행지수가 감소세를 보였다.
OECD 회원국 전체 평균은 92.0으로 1월 대비 0.7포인트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선행지수 증가 폭이 큰 것은 2월 광공업 생산이 2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간 데다, 최근 30억달러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에 성공했고,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선 것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증현 재정부장관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세계 경제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바닥에 이를 것이라는 의견이 통설이고, 한국 경제는 대외 의존도가 매우 높아 이러한 추세를 피해 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