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21개품목 물가관리
추석을 맞아 가격이 급등할 수 있는 쌀과 쇠고기, 목욕료 등 21개 품목에 대한 물가 관리가 시행된다. 주요 농축수산물의 공급은 평소에 비해 최대 3.6배 확대된다. 또한 전기, 가스, 수도 등 주요 공공요금의 원가정보와 주요 생활필수품 판매가격이 내년부터 전격 공개<서울신문 6월27일자 1면 및 6월13일자 6면>된다.
정부는 10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추석 민생과 생활물가 안정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먼저 주요 농축수산물과 개인서비스 요금 등 ‘신(新) MB물가 품목’ 21개를 선정, 추석 전까지 매일 물가 조사를 하고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다. 21개 품목은 ▲쌀, 배추, 사과, 배, 쇠고기, 돼지고기, 명태, 고등어 등 농축수산물 16개 ▲이·미용료, 목욕료, 삼겹살(외식) 등 개인서비스 5개다. 또 농축수산물 16개 품목의 가격 안정을 위해 농·수협 물량 등을 집중 출하하기로 했다. 평소에 비해 ▲명태는 3.6배 ▲조기 3.36배 ▲배 3.07배 ▲쇠고기 2.52배 등 평균 2배, 최대 3.6배 정도 공급이 늘어난다.
정부는 생활물가의 근본적인 안정을 위해 내년부터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에 밀가루, 설탕, 빵, 과자 등 주요 식재료 및 가공식품 가격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기로 했다. 2011년 이후 품목과 지역 범위를 단계적으로 늘릴 방침이다.
전기·열차·상수도 등 공공요금 6종의 원가 정보도 내년 상반기 안에 공개, 해당 공공기관의 원가 절감 노력을 유도하고 요금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일 계획이다. 정유사 공급가격 공개 범위를 주유소와 대리점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두걸 이경주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