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가구당 국민부담 3000만원 돌파
조세와 연금 등을 포함한 국민 부담액이 4인가구를 기준으로 2013년에 3000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의료보험 등 각종 사회보장 기여금이 급증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25일 기획재정부가 임영호 자유선진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경상 국내총생산(GDP)에서 총조세(국세+지방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차지하는 비중인 국민부담률은 2013년 28.1%로 추산된다.
재정부는 지난해 26.6%였던 국민부담률이 올해 26.5%, 내년 26.4%로 낮아졌다가 2011년부터 다시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 전망치는 2011년 26.8%, 2012년 27.4%, 2013년 28.1%다.
이에 따라 1인당 국민부담액은 올해 559만 9000원, 내년 595만 90 00원, 2011년 648만 3000원, 2012년 713만원, 2013년 784만 9000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4인가구로 계산하면 2013년에는 3139만 6000원에 달해 3000만원대 진입이 예상된다.
국민부담액 증가는 국민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각종 사회보장기여금의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연금의 경우 인구 노령화로 인한 고갈을 막기 위해 국민 부담이 늘고 있다. 건강보험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보험료도 누진적으로 오르는 구조 때문에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부담이 높아지는 추세다. 정부는 “세금보다는 은퇴 이후에 대비한 각종 연금과 건강보험 등이 늘어 국민부담액 증가세 반전이 점쳐진다.”고 밝혔다.
이는 세금 증가율을 보여주는 조세부담률보다 국민부담률 증가폭이 더 크다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조세부담률은 올해 20.5%에서 2013년 20.8%로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국민부담률과의 격차(국민부담률-조세부담률)는 올해 1.0%포인트에서 2013년 7.3%포인트로 확대된다.
재정부 관계자는 “국민부담률은 개인과 기업이 미래를 대비해 부담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국민부담률이 올라가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영환 국회예산정책처 세제분석팀장은 “우리나라 국민부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치보다 훨씬 낮지만 저출산, 노령화 변수를 반영해 분석해 보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라 평균치에 근접해 있다.”며 “현재 상황만 놓고 부담률을 늘릴 여지가 있다는 식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