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물가 설 이후 잡힐까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4%대로 복귀했고 구제역과 이상 기온의 여파로 농수산물 등 신선식품 지수는 30.2%나 급등했다. 정부의 전방위 물가안정대책이 단기적인 효력은 발휘하지 못한 셈이다. 정부는 설 수요가 없어지고 물가대책이 본격적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2분기부터는 물가 상승이 3%대로 둔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호전기에 물가상승에 대한 심리적 확산을 막지 못하면 올해 3% 수준의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올 1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1월에 비해 4.1% 상승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물가 상승률 4.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전월과 비교해도 0.9% 올라 2개월 연속 증가세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도 지난해 1월보다 4.7% 올랐다.
특히 유래 없는 한파를 겪으면서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 1월 대비 30.2%나 급등했다. 배추와 파는 각각 151.7%, 108.2% 폭등했고, 무(84.9%), 마늘(82.3%), 고등어(63.6%), 사과(43.1%), 토마토(31.1%), 콩(58.0%) 등도 크게 올랐다. 돼지고기(11.7%)는 구제역의 여파로 가격이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농산물(24.4%)과 수산물(13.7%)의 가격이 뛰어 올라 농축수산물이 17.5% 올랐고 공업제품은 4.3%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2.2%, 공공서비스는 1.1%, 개인서비스와 집세는 각각 2.6%의 상승률을 보였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21% 올랐고 국제에너지가격 오름세에 따라 등유(15.3%), 자동차용 LPG(11.7%), 경유(11.4%), 휘발유(9.6%)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전세(3.0%)와 월세(1.6%)는 비수기임에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이동전화통화료(-3.1%)와 국산 쇠고기(-6.4%) 등은 하락했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한파, 구제역, 국제유가 상승 등 공급 쪽의 충격이 예상보다 컸다.”면서 “올해 1분기까지는 농산물 가격이 안정되기 어려우며 4월 이후 공급 부분의 요인들이 해소되면서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신선식품 물가는 당분간 고공비행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배추는 겨울배추의 작황부진으로 3월 이후 수급이 불안한 상황이다. 고등어의 경우 지난해 할당관세로 수입한 1만t이 시판하기 어려울 정도로 품질이 낮고 어획량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집트 사태로 인한 국제 유가 상승과 곡물가 급등, 중국의 물가 상승 등 대외변수도 국내 물가 상승세를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결국 상반기에 물가상승 심리의 확산을 막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라면서 “하반기에 국내 유가 인하, 농산물 계약재배면적 증대 등의 정책들이 실효를 거두면서 하반기 물가를 2%대에 묶으면 연중 3% 수준의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주·황비웅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