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세계수준’ 크게 뒤져
서울대 교수들은 자연과학 계열의 경우 1인당 논문 출판횟수는 일본 도쿄대의 4분의 1 수준인 반면 정년은 미국대학과 달리 100% 보장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대 장기발전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 헨리 로좁스키 미국 하버드대 전 문리대학장 등 세계 유명대학의 전·현직 총학장급 자문단으로 구성된 ‘블루리본 패널’이지난 9월부터 서울대의 경쟁력을 종합 분석한 보고서에서16일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0년부터 99년까지 서울대 자연과학계열의 교수 1인당 논문 발표 건수는 56건으로 도쿄대 248건,하버드대 221건,케임브리지대 143건,미시간대 129건,토론토대 106건,UCLA 90건 등에 크게 못 미쳤다.
또 서울대의 ‘교수 1인당 연구의 효과성 지수’는 1.7점으로 하버드대 13.2점,미시간대 8.5점,스탠퍼드대 7.1점보다 크게 뒤떨어져 미국 중하위권 주립대인 오하이오대와같았다.이 지수는 교수 논문의 발표 및 인용 건수 등을 분석,산출한 수치다.
그러나 신규 임용 교수가 정년을 보장받는 비율은 하버드 30%,스탠퍼드 40%,미시간 50%,위스콘신 65%,버클리 75%였지만 서울대는 100%로 전원 정년이 보장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서울대가 세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총장선임 및 해임권을 갖는 이사회 구성 ▲책임 운영을 위한총장과 학장의 임기 연장 ▲자체 수익사업과 기부활동 활성화 등을 통한 재정의 독립성 확보 등을 꼽았다.
윤창수기자 g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