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직업/우리는 기적 낳는 소리꾼...음악치료사 김진아씨,사운드디자이너 김영씨
◆음악치료사 김진아씨
환자와 노래 부르며 병 말끔히 외국선 조산아·에이즈도 치료
“대구 지하철 참사로 말 못할 마음의 상처를 입은 사람들에게 음악 치료는 마음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음악치료사 김진아(35)씨는 대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고 영국에서 음악 치료를 배웠다.2년간 영국에서 음악으로 환자들을 치료한 뒤 96년 한국으로 돌아와 숙명여대와 원광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서울 장애인 종합복지관에서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김씨가 음악치료사의 길을 선택하게 된 것은 중학생 때 프로이드의 ‘꿈의 분석’을 읽는 등 심리학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음악치료는 음악뿐 아니라 정신분석학적 측면도 중요하다.
음악치료사로 일하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일은 아버지에게 성학대를 받은 자폐아의 닫힌 마음을 음악을 통해 서서히 열게 했던 것이다.음악치료를 할 때는 환자가 가만히 누워 음악만 듣는 것이 아니라 치료사와 함께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도 부르면서 감정을 전달한다.
음악치료는 세계적으로 194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2차 세계대전으로 상처입은 환자들을 위해 병원에서 음악을 연주한 것이 시작이다.우리나라는 40∼50년쯤 역사가 짧다.
현재 국가공인 자격증은 없다.이화여대,숙명여대,한세대,명지대,원광대 등 5개 대학원에서 매년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우리나라의 1세대 음악치료사들이 외국에서 공부해야만 했던 것에 비하면 상황은 좋아진 셈이다.
직업으로 따지면 아직은 개척 단계다.졸업 후 진로도 스스로 ‘발굴’해야 한다.음악치료사가 되기 위해서는 임상 실습이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실습 기관도 학생들이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음악치료사는 개인병원처럼 개인의 이름을 걸고 음악치료소를 내거나 병원,기관 등에서 근무할 수 있다.보수는 그리 많지 않다.김씨는 “돈을 잘 버는 직업은 아니다.”고 전제한 뒤 “사람들을 돕고 싶고 봉사하는 마음이 강한 분들이 할 일”이라고 말했다.현재 서울에 있는 개인 음악치료소는 3개 정도다.
외국에서는 음악치료사가 하는 일이 다양해 에이즈 환자,인큐베이터의 조산아 등도 음악치료를 받는다.치료의 모든 분야에 음악치료가 들어간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음악치료사가 진출할 분야가 많이 남아있는 셈이다.음악치료를 포함한 물리치료,놀이치료 등의 광범위한 치료 분야는 외국에서는 매우 전망좋은 직업으로 꼽히고 있다.
김씨는 “20년쯤 지나면 음악치료사가 안정된 직업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창수기자 geo@
◆사운드 디자이너 김영씨
사운드 디자이너 김영(30)씨는 영화,광고,게임,연극,무용 등 소리가 필요한 곳에 꼭 들어맞는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영화 속에서 공이 날아가는 장면이 있다면 관객의 왼쪽 귀에서 오른쪽 귀로 ‘슈욱∼’하는 소리가 지나가는 느낌이 나도록 만드는 일을 한다.
영남대 작곡과를 졸업한 김씨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의 영화음악을 만들었던 진규영 교수로부터 작곡과 전자음악을 배웠다.연극,무용 등의 음악 작곡을 하다가 사운드 디자인을 하는 스튜디오에서 일을 배운 뒤 광고음악,어린이 영어교재,휴대전화 벨소리,선거방송 등의 다양한 사운드를 제작하고 있다.
사운드 디자이너란 직업이 국내에 등장한 것은90년대 중반 이후다.영화,광고 분야에서 세련된 영상과 함께 고급스러운 소리가 필요해지면서 나타난 직업이다.
사운드 디자인이란 용어는 미국 할리우드의 조지 루카스감독이 영화 ‘스타워즈’를 제작할 때 사운드 부문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쏟아부으면서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씨가 사운드 디자인을 공부할 때의 일화 한가지.풀밭을 걷는 소리를 만들어 오라는 과제를 받고,밤에 몰래 한강둔치에 가서 진짜 잔디를 훔쳐 왔다.그런데 아무리 잔디 위를 걸어도 영화에서 듣던 소리가 안 나더란다.결국 신문을 잘게 찢어서 바닥에 널어 놓고 녹음을 했는데,그 소리가 바로 영화에서 듣던 잔디 위를 걷는 소리였다고 한다.
사운드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컴퓨터음악과 음향에 대해 학원이나 관련 학과가 설치된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 좋다.본격적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스튜디오나 업체에서 도제식으로 배우는 것이 낫다고 김씨는 추천한다.
나중에는 스튜디오나 업체에서 근무하거나 컴퓨터,프로그램,악기 등을 갖추고 프리랜서로 일할 수 있다.김씨는 현재 대구시 수성동에서 프리랜서로 뛰고 있다.혼자 일하려면 최소한 2000만∼3000만원어치의 장비를 갖춰야 한다.대구에 ‘첨단의 예술적인’ 직업의 수요가 있을까 싶지만 서울은 이미 포화상태여서 지방에 잠재적인 수요가 많다고 한다.한달 수입은 200만∼300만원.
김씨는 직업 전망을 아주 밝게 보고 있다.DVD가 많이 보급되고,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서 입체음향이 보편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씨의 꿈은 영화 ‘마지막 황제’와 같이 괜찮은 사운드를 만드는 것.영화 장면과 딱 맞아떨어지는 소리를 만들고 싶다는 얘기다.
윤창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