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 품질관리에 사활
대기업들이 잇따른 납품업체 품질불량 사고로 몸살을 앓고 있다.그동안 품질관리 시스템을 꾸준히 개선해 왔지만 압력밥솥 폭발과 불량만두 사건 등을 계기로 아직도 ‘허점’이 있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이 때문에 최근 들어 ‘채찍과 당근’을 번갈아가며 협력업체 관리에 사활을 걸다시피 하고 있다.
●LG전자 ‘4M위원회’ 신설
압력밥솥 폭발사고로 ‘혼쭐’이 난 LG전자는 사소한 문제라도 한 사람이 판단할 수 없도록 품질테스트 공정을 보다 까다롭게 개선했다.
최근 문제가 된 압력밥솥은 내솥과 밥솥 뚜껑이 맞물리는 부분을 둥글게 깎아내면서 폭이 좁아지는 등 납품업체의 공정이 변경됐는데도 품질검사 부문에서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양산까지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후 LG전자는 4M(사람,설비,재료,공정) 변경시에는 설계,품질관리,제조파트 담당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특정 부문 변경 요인이 제품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논의하는 ‘4M위원회’를 구성,혹시 있을지 모를 ‘판단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LG전자 품질센터 오태영 수석은 “제품에 따라 품질 테스트 항목이 수백가지에 이르고 내구성도 최대 2000시간 동안 테스트하는 등 품질검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자회사인 노비타가 생산한 압력밥솥에서 문제가 발생한 삼성전자는 SQCI(Supplier Quality Control Innovation) 인증제도를 통해 협력업체 품질강화를 독려하고 있다.평가등급을 A(90점이상),B(80점이상),C(70점이상),과락으로 나눠 C등급이라도 3개월내에 품질공정이 개선되지 않으면 납품을 취소하고 있다.덕분에 지난해말 기준으로 A·B등급 협력사가 314개로 늘어난 반면 공용부품 품질사고는 56%나 줄어들었다.
‘품질사고’가 이슈화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철강업계도 언제 ‘불똥’이 튈지 모르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협력작업비’ 인상을 통해 협력업체 임금을 본사(5%)보다 높은 9% 인상하고 본사와 같은 수준의 환경수당을 지급하는 등 ‘당근’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포스코 관계자는 “포항·광양에 55개 협력회사(1만 3000명)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협력업체 직원의 임금·복지수준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해 주는 것이 품질강화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400여 협력업체를 전담관리하는 부품개발부 직원 700여명이 부품 공정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CJ, OEM방식 만두 생산 중단
‘쓰레기 만두’파동을 일으킨 식품업계에서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에 대한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CJ는 아예 OEM 방식의 만두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대상은 계열사와 OEM 업체를 대상으로 ‘식품안전협의회’를 구성,품질관리 등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풀무원은 만두 OEM업체의 전북 임실·김제공장을 공개하고 해태제과는 만두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검수자의 이름과 사진이 인쇄된 스티커를 제품에 부착하기로 했다.
류길상 김경두 윤창수기자
ukelv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