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인물] 구글 공동창업자
“지식인에 물어봐=구글해봐.”
한국인들은 궁금한 것이 생기면 지식인에 물어보지만 미국인들은 구글한다. 인터넷으로 뭔가를 찾는다는 것이 ‘구글한다.’는 말로 통칭될 만큼 구글은 인터넷 검색시장을 점령하고,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32살 동갑내기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스탠퍼드대 컴퓨터과학 대학원에서 만났다. 스탠퍼드대는 휼렛패커드, 실리콘 그래픽스, 야후, 익사이트 등 수많은 IT기업이 탄생한 곳이다.
래리 페이지는 아버지가 컴퓨터과학 교수로 있던 미시간주립대를 우등으로 졸업했다. 어렸을 때부터 발명가가 되고 싶었으나 무선통신, 태양전지 등을 발명한 니콜라 테슬라가 세상을 바꿀 만한 발명을 했음에도 부나 명예를 얻지 못했다는 사실에 경악한다.
세르게이 브린은 미 항공우주국 과학자인 어머니와 대학교 수학교수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6살 때 고국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민왔다. 중학교를 다닐 때부터 수학 신동으로 불렸으며 고등학교를 일찍 마치고 아버지가 교편을 잡던 메릴랜드대에 다니다 스탠퍼드대로 진학한다.
●IT 성장 전설의 답습
구글은 스탠퍼드 대학원생, 여자친구 차고에서 창업, 상반되는 성격의 동업자, 기업 공개 대박 등 많은 IT기업들과 비슷한 성공기를 밟았다.
그렇다면 1998년 창업해 5년만에 30억달러를 벌어들이고 매출 성장률이 40만%를 넘는 역사상 가장 빨리 큰 회사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정확하고 사악하지 않은 검색’이다. 두 동업자는 학술논문에서 구글을 이렇게 소개했다.
“우리의 검색엔진에서 ‘휴대전화’를 입력하면 가장 먼저 ‘휴대전화 사용이 운전자의 정신집중에 미치는 영향’이란 학술논문이 나온다. 휴대전화의 위험을 설명한 이 논문은 인터넷에서 인용 중요도를 측정한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통해 볼 때 아주 중요한 것이다. 이런 검색결과는 광고주에게 불리할 수도 있으나, 광고로 지원을 받는 검색엔진은 결국 광고주 위주로 움직여 소비자로부터 멀어진다.”
●역사상 가장 빨리 성장한 기업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MS)를 누르고 미국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올랐다.5000명 이상을 고용한 구글의 현대식 건물에는 자녀 양육 시설, 헬스클럽, 세탁소 등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야후는 밥값을 받지만, 구글에선 모든 것이 공짜다.
하루 평균 10명 이상을 고용하지만, 채용 과정은 폐쇄적인 남학생 클럽을 연상시킬 정도로 꼼꼼한 인터뷰를 거친다.A급 인재가 자신을 위협하지 않는 C,D급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채용의 악순환’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채용위원회를 구성했다. 구글의 임직원들은 조직문화를 엘리트 대학원의 분위기와 곧잘 비교한다.
구글은 검색으로 출발했지만 소프트웨어, 통신, 유통, 서적, 미디어, 부동산 등 ‘구글 대제국’을 형성 중이다. 부동산데이터 개발회사를 인수하고, 메신저와 G메일 서비스를 시작했고, 전자도서관도 구축 중이다. 세계의 모든 정보를 접근 가능케 만들겠다는 창업자의 야망은 구글이 MS를 넘어선 세계 최고의 IT기업이 되는 날도 멀지 않았음을 방증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