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100개大’ 한국은 없어
세계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화된 ‘글로벌대학’ 100곳 가운데 한국 대학은 한 곳도 들지 못했다.
미국 뉴스위크는 13일(현지시간) 자체평가한 세계의 글로벌 대학 100곳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지난 30년간 전세계 유학생의 숫자가 80만명에서 250만명으로 증가했으며, 가장 세계화된 대학은 하버드라고 보도했다.
하버드에 이어 스탠퍼드와 예일, 캘리포니아공대,UC버클리, 케임브리지,MIT, 옥스퍼드,UC샌프란시스코, 컬럼비아대학이 차지했다. 한국의 대학은 단 한 곳도 뽑히지 않았으며, 중국 대학도 순위권에 들지 못했다.
반면 일본은 5곳이 선발됐다. 아시아에서는 도쿄대가 16위로 아시아 최고의 글로벌대학으로 꼽혔다. 이어 교토대가 29위, 싱가포르 국립대(NUS)가 36위, 오사카대가 57위, 홍콩 과학기술대가 60위로 선정됐다. 역시 일본의 도후쿠대가 68위, 홍콩대가 69위, 싱가포르의 난양기술대가 71, 일본 나고야대는 94위, 홍콩 중문대는 96위로 100위권에 들었다.
뉴스위크는 외국학생 입학허용과 외국대학과의 학생교류 등 대학의 개방성과 학문적 다양성, 연구성과, 대학 내 인적 구성 등을 고려해 글로벌 대학 명단을 선정했다.
빈번한 논문 인용 연구자 수·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와 사이언스 게재논문 수·사회과학 논문인용지수인 SSCI와 예술 및 인문과학 논문인용지수인 A&HCI가 50%, 외국인 교수 숫자·외국인 학생수·교수당 논문인용 수·학생 대 교수 비율이 40%, 도서관 보관도서 규모가 10% 반영됐다.
뉴스위크는 유학생 숫자가 매년 증가하면서 모국에서 차세대 지도자가 될 학생들이 국제간 깊은 상호 이해를 쌓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 대학 박사학위의 30%, 영국의 경우 38%가 외국인 유학생에게 수여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