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올인’ 명문고 비결
‘책, 꽃만큼 아름답고 밥만큼 소중하다(이혜화 지음,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펴냄)’는 은퇴한 교장선생님의 책이란 점에서 자기 공치사쯤이 아닐까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고졸 학력으로 교단에 서서 10년 만에 박사 학위까지 따내고, 비행을 일삼는 학생들을 설득해 신설학교를 명문고로 만들어내는 고군분투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런 생각은 사라진다. 이 책은 실은 교육 경험담이라기보다 책벌레 교장선생님이 어떻게 성공적인 학교도서관을 일궈냈는지 말하고 있다. 저자 이혜화씨는 1995년 30여년 만에 처음 교감으로 발령받은 일산동고등학교를 명문고로 키워낸다. 정준, 김소연 등 연예인 학생을 적극 수용해 학교를 홍보하고, 한문·컴퓨터·영어회화·홈패션 등을 가르쳐 주민들을 학교의 가족으로 만들었다. 1999년 화수고등학교에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그동안 꿈꿔 왔던 학교도서관 프로젝트에 도전한다. 학교내에서 볕이 잘 들고 가장 목이 좋은 자리에 위치한 교무실을 과감히 옮기고 그 자리에 도서실을 설치한 것이다. 여기저기 쫓아다니며 도서상품권과 책을 기증받아 어엿한 도서실을 만들지만 정작 책을 읽으려 하지 않는 학생들이 문제였다. 그러자 교장선생님은 점심에는 막대사탕을, 저녁에는 컵라면을 나눠주며 학생들을 도서실로 끌어들였다.‘미끼’로는 학생들이 흥미있어 하는 만화, 요리, 컴퓨터게임 등을 다룬 잡지와 만화책, 무협지, 로맨스 소설도 구비했다.‘학생은 손님이자 왕’으로 생각한 도서실은 결국 한학기 만에 100권이상 대출하는 학생을 여럿 배출할 만큼 인기 공간으로 자리잡게 됐다. 도서관 중심교육을 하면서도 입시위주 교육을 펴는 것이 교육계에서 배척당하진 않을까 걱정하던 저자는 명문대 합격생이 여럿 배출되자 통괘함을 느낀다. 학교 경영성과를 명문대 합격생 숫자로 과시하는 속물 교육자란 자책감을 느끼면서도, 도서관 ‘올인 정책’에 비웃음을 보내던 이들에게 똥침을 가했다는 즐거움도 마음껏 드러낸다. 도서실 배치도와 준비과정을 조목조목 담은 책은 도서실 운영자들에게 훌륭한 참고사례다. 저자는 전통적 학교도서관 개념을 탈피하고 학생들이 사랑하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한 길을 제시한다. 학생을 고객으로 모시고, 도서실을 휴식처·복사실 등으로 다목적 기능화하고, 만인에게 열린 공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1만원.윤창수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