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씨 질문 있어요/크리스토퍼 필립스 지음
“절제란 무엇일까요?”
“공자의 이상을 충실히 따르는 사람들은 절제란 스스로의 행동을 이끄는 이상적인 중간을 찾는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공자는 음주 같은 나쁜 습관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죠. 그런데 한국의 술 소비량은 기록적입니다.”
“가난했던 한국은 부유한 사회가 되었고 물질적인 면에 집착하고 있어요. 극단에서 극단으로 이동했을 뿐, 중간점은 완전히 잃어버렸어요.”
미국의 교육자이자 저널리스트인 크리스토퍼 필립스가 서울 근교에서 스무명 남짓한 학생들과 나눈 대화다.
필립스는 ‘철학이란 인간의 삶을 탐구할 수 있는 역동적인 삶의 방식’이란 뜻에서 ‘철학적 탐구를 위한 사회(www.philosopher.org)’를 만들었다.
그는 그리스, 스페인, 멕시코, 일본, 한국 등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철학 카페를 열었다. 병든 사회를 치유해 줄 방법을 찾기 위해 이런저런 질문을 던지던 소크라테스의 삶을 실천하려 했던 것이다.
필립스는 세계인들에게 덕, 중용, 용기, 정의, 경건함, 선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고 그들과 나눈 대화를 묶어 ‘소크라테스씨, 질문있어요!(김현우 옮김·민음사 펴냄)’를 썼다.
그가 세상 사람들과 나눈 대화에는 ‘한국 사람들의 술 소비량이 높은 것은 절제력이 부족한 탓일까.’와 같은 작은 문제도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 사람들이 속마음을 숨기는 것은 잘못된 것일까.’‘9·11테러 희생자 가족들에게 보상금을 주면 정의가 실현되는 것일까.’와 같은 보다 현실적인 시사 문제도 있다.
소크라테스뿐 아니라 공자, 부처, 마호메트, 틱낫한, 정약용, 이율곡까지 동서고금을 뛰어넘는 위대한 현자들의 가르침까지 끌어들여 다양한 고민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예컨대 한국과 타이완은 모두 절제라는 유교적 도덕률을 따르지만 한국의 술 소비량은 타이완의 3배나 된다. 한국의 지배적 남성 문화는 음주를 권장할 뿐 아니라 음주가 남성의 힘과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긴다. 반면 타이완에서는 유교적인 가치 체계에 따라 취할 정도로 술을 마시는 것은 개인의 약한 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세계를 돌아다니며 질문을 하고 대화를 나눈 필립스의 노력은 결국 ‘더 인간적인 삶’을 위한 것이었다.1만2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