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서울] (26) 보육시설
저출산 문제가 ‘국가 위기’를 초래할 정도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지난해 말 현재 평균 1.08명으로 선진국들보다 훨씬 낮은 세계 최저 수준이다. 한 여성이 낳는 아이의 수가 한명도 안 되는 때가 수년 내 도래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저출산의 원인이야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아이를 키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들이 하나 이상의 아이를 낳아 키우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같은 어려움을 해소해주는 곳이 보육시설이지만 수요에 비해 그 수가 크게 모자란 것이 또한 현실이다.
●국·공립은 549곳에 불과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시내 보육시설은 모두 5328개소이며, 보육 아동 수는 모두 17만 9309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국·공립 보육시설은 549개소에 불과하다. 대부분은 단체 또는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보육시설(2549개소)과 ‘놀이방’으로 불리는 가정보육시설(2095개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법인보육시설 57개소, 직장 보육시설 68개소, 보호자 15인 이상이 조합을 결성해 설치·운영하는 부모협동보육시설이 10개소다.
보육아동 수는 국·공립이 4만 8521명, 법인 3443명, 민간시설 10만 940명, 부모협동 249명, 놀이방 2만 2836명, 직장 3320명 등이다.
●종사자 2만 6400여명
보육시설 종사자는 모두 2만 6449명으로 국공립 5995명, 법인 411명, 민간시설 1만 4013명, 부모협동 45명, 놀이방 5417명, 직장 568명이다.
보육시설 수는 구별로 노원구가 480개소(1만839명)로 가장 많고, 이어 강서구 288개소(9362명), 은평구 281개소(8420명), 구로구 273개소(7883명), 도봉구 262개소(6659명), 송파구 261개소(8162명), 성북구 260개소(8435명) 등의 순이다.
국·공립은 관악구가 33개소(2792명)로 가장 많고, 법인은 강서구 10개소(397명), 민간시설은 은평구가 197개소(6328명), 놀이방은 노원구 357개소(3641명), 직장은 노원구 7개소(170명)로 각각 가장 많다.
●교사 자질·집과의 거리등 중요
보육시설을 고를 때는 교사의 자질과 보육 프로그램, 시설, 집과의 거리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 선택 전에 시설을 미리 둘러보고 교사와 상담을 거치는 것이 좋다.
보육 교사는 아이를 좋아하고 헌신적인지와 육아경험이 풍부한지, 관련 전공 공부를 했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또 아이들에게 자발성·독립성·인성·정서 등의 발달교육을 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는지, 아이들 신체 발달단계에 맞는 놀이시설이 있는지, 음식이 위생적으로 보관되는지 등도 따져봐야 한다.
특히 집과의 거리도 중요하다. 집과 거리가 너무 멀면 아이를 맡기고 찾아오는 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겨울에는 찬바람을 쏘여 감기 걸리기 쉽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