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림사, 주지 교체 후 규율 강화하자 승려 30명 떠나
중국 유명 사찰 소림사의 주지가 바뀐 뒤 규율이 강화되자 승려들의 탈출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중앙통신은 지난 5일 중국 언론 등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앞서 소림사 관리처는 지난달 29일 비리 혐의로 물러난 스융신(釋永信) 주지 후임으로 백마사 주지였던 스인러(釋印樂)를 새 주지로 임명했다.
소림사는 지난달 27일 “스 주지가 사찰 자산을 횡령하고 사적으로 점유했으며, 중대한 계율 위반과 다수 여성과의 부적절한 관계, 사생아 출산 등의 혐의로 현재 관계 부처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소림사는 스 전 주지 해임 이후 승려의 규율 강화와 소림사의 상업화를 막기 위한 개혁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아침 염불, 아침 농사, 오후 명상 의무화, 휴대전화 압수 및 오락 금지 등이 포함됐다.
이런 조치들이 나온 뒤 소림사를 떠나는 승려들의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최대 사찰 중 하나인 소림사는 등록 승려 약 300명, 상주 승려는 150명가량으로 알려져 있다. 소림사에서는 사직 행렬이 이어져 30명 이상이 사찰을 떠났다.
소림사는 상업화 방지를 위해 스 전 주지가 시작한 사업 모델을 대폭 수정하고 비판받았던 많은 제품 판매도 중단했다.
스인러 주지는 취임 첫날 상업 공연 금지, 고가의 취임식 금지, 사찰 상점 정리, 자급자족 농업 장려, 소득 분배 개혁 등 5가지 새로운 규정을 도입했다.
한때 방문객들에게 QR 코드를 스캔해 기부하도록 요청했던 ‘전사 승려’들은 더 이상 볼 수 없고, 유료였던 일부 자료는 무료로 전시되고 있다.
향 한 개가 예전에 수백 위안, 심지어 수천 위안이었지만 지금은 향을 파는 노점을 차리는 사람이 없고, 무료로 준다.
승려가 농사와 명상을 병행하던 전통도 복원했다.
승려들은 오전 4시 30분에 학습에 참석하고 불경을 낭송한 후, 밭으로 나가 농사를 짓고 오후에는 선(禪)과 무술을 수련하도록 규정했다.
휴대전화는 보관하고, 오락 활동은 금지되며 주말에는 허가 없이 사찰을 떠날 수 없다.
한 젊은 승려는 소셜미디어에 “휴대폰으로 경전을 찾아보곤 했는데 갑자기 휴대폰이 압수되니 팔을 잃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다”고 했다.
소림사 무술 승려들의 세계 순회공연, 문화·창작 상점 등 모든 상업 활동이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12년째 소림사에서 근무해 온 한 기념품 판매원은 이전에는 배당금으로 매달 1만 위안(약 193만원) 이상을 벌었지만 가게가 문을 닫아 떠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주로 상업 활동에 의존하는 승려와 직원들, 느슨한 경영 방식에 익숙한 젊은 승려들이 소림사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스 전 주지 재임 기간 소림사의 연간 수입은 약 10억 위안(약 1930억원)을 넘었다. 전 세계적으로 795개의 상표와 60개가 넘는 지사를 소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