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결리고…허리 쑤시고…통증 탈출구는 없을까
사람이 겪는 통증은 셀 수가 없다.흔한 요통이나 어깨결림에서부터 관절염,운동에서 오는 엘보,암 통증까지 종류도 헤아리기 어렵다.이런 통증이 심하고 지속적일 경우 환자의 심리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친다.대인관계에 장애가 되는 것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절망감으로 삶의 의욕까지 떨어뜨린다.“차라리 죽는게 낫지…”라는 말에 통증의 괴로움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최근들어 신경차단술,약물 및 물리요법,심리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아픔’을 다스리는 통증클리닉이 관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예컨대 통증에 대한 두려움 없이 크고 작은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 극심한 고통에 신음하며 절망과 실의 속에서 생을 마감해야 했던 암 환자들도 통증클리닉을 이용하면 보다 편안한 여생을 보낼 수 있다.전문가의 도움말로 통증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통증의 종류
통증클리닉에서는 거의 모든 질환에 동반되는 통증을 다룬다.사실,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 질환 치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그만큼 통증의 범위는 넓다.
종류로는 흔한 두통에서 디스크나 관절 이상에서 오는 목의 통증,오십견 등 어깨 통증,디스크나 수술 후유증으로 오는 허리 통증,관절염 등으로 인한 무릎과 손발 통증,류머티즘성 관절염,당뇨병으로 인한 신경통증,대상포진성 통증,암성 통증 등이 대표적이다.
●통증의 진단 통증은 대부분 문진과 이학검사 즉,환자와의 대화와 간단한 진찰을 통해 확인된다.진찰 결과 불확실한 경우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혈액검사나 X선 검사 등을 통해 통증의 원인과 정도를 잡아낸다.
예컨대 혈액검사는 상처 부위의 감염 여부나 류머티즘·당뇨 여부 등에 이용되며,X선 검사는 뼈의 이상을 알아낸다.또 CT(컴퓨터 단층촬영),MRI(자기공명영상장치) 검사는 뼈,근육,인대 등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한다.그런가 하면 초음파검사는 근육,인대 등의 손상을 알아낸다.
●치료
뼈,인대,근육,신경계 중 한 곳에 이상이 있어 발생하는 초기 통증은 발생 부위를 치료하면 되나 만성통증은 뼈,인대,근육,신경계 등이 함께 나빠진 경우가 많다.이런 경우에는 통증에 연관된 부위를 같이 치료해 통증의 원인을 없앤다.
통증을 다스리는 방법은 신경·근육·인대·물리치료 등이 있다.
신경치료에는 국소마취제를 신경 주위에 주입하여 신경작용을 억제시키는 신경차단술,교감신경 치료술,신경 주위에 염증치료제를 주입해 염증을 치료하는 신경염증치료법,신경을 아예 제거해버리는 신경절제술,수술후 유착된 신경을 박리하는 유착박리술 등이 있다.특히 최근에는 신경 주위의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신경주사법을 이용하는데, 목과 어깨·허리 등의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또 근육치료에는 다양한 물리치료와 근막동통유발점치료,운동치료법이 사용되고 인대치료에는 물리치료,항염증제제 투여,인대증식법 등이 적용된다.뼈나 골격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물리치료와 척추성형술,수기교정(chiropractic)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예방과 재활
치료를 통해 통증이 조절되기 시작하면 운동을 통해 통증의 재발을 막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인 재활 절차다.이를테면 손상 부위 근처의 근육을 강화하는운동을 생활화해 손상 부위를 보호해 주는 방식이다.수영,산책,자전거타기,가벼운 등산 등을 꾸준히 하는 재활운동도 권장되나 부위에 따라 특별한 운동처방이 필요해 운동의 종목과 강도는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 도움말 고홍·최윤 서울중앙의원 공동원장.
심재억기자 jes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