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女 35% “아이 필요없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결혼관 약화로 갈수록 비혼(非婚)자가 느는 데다, 자녀 양육, 일과 가정을 동시에 꾸리는 데 따른 부담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결혼을 하겠다는 사람은 미혼 남성의 71.4%, 미혼 여성의 49.2%에 그쳤고, 취업 중인 주부 2명 중 1명은 첫 아이 출산을 전후해 취업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공동으로 지난해 4∼6월 실시한 ‘2005년도 전국 결혼·출산 동향조사’ 결과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2일 밝혔다. 조사는 20∼44세의 전국 기혼여성 3802명과 미혼 남녀 2670명을 대상으로 해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빠르게 변하는 결혼·자녀관이 저출산의 요인으로 확인됐다. 미혼자 중 결혼을 하겠다는 사람은 남성 82.5%, 여성 73.8%였으나 35세를 넘긴 미혼여성의 경우 50%만이 결혼을 희망하는 등 나이가 들수록 결혼 포기율이 높았다.
결혼 적정 연령은 남성이 평균 31.8세, 여성은 29.7세라고 답했으며, 배우자의 조건으로 남성은 성격(38.2%), 신뢰·사랑(22.5%), 건강(10.1%), 신체적 조건(9.4%)을, 여성은 경제력(30.8%), 성격(23.8%), 신뢰·사랑(19.5%)을 들었다.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는 미혼 남성의 64.2%, 미혼 여성의 40.9%가 동의했다.
미혼 남성의 93.1%, 미혼 여성의 88.7%는 결혼 후 자녀를 두고 싶다고 밝혔으며, 기혼 여성은 64.4%가 자녀를 갖겠다고 답했으나 20∼24세는 55.7%,25∼29세는 60.8%,30∼34세는 63.5%로 나이가 적을수록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낮았다.
결혼·출산이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변화시키는 것도 저출산의 한 요인으로 꼽혔다. 직장여성이 결혼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61.2%였으며, 기혼 취업여성 중 첫 아이 출산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 둔 여성이 전체의 49.9%나 됐다.
또 상용직 여성이 결혼·출산으로 직장을 잃은 후 재취업 때 다시 상용직으로 복귀한 경우는 38%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임시·일용직으로 하향 이동했다.
기혼 여성의 58.5%는 남편과의 가사 분담이 불공평하다고 답했으며, 실제로 가사에 여성이 하루 평균 5시간 20분을 들이는 데 비해 남편은 1시간9분에 불과했다. 맞벌이 부부는 여성이 3시간17분, 남편이 1시간12분이었다.
양육과 교육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도 컸다. 전체 생활비 중 자녀 교육비로 가장 많은 지출을 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1.7%를 차지했으며, 이 경우 자녀가 1명일 때는 23.8%였으나 2명일 때는 59%,3명 이상이면 63.8%로 급증해 양육·교육비 부담 때문에 자녀를 갖지 않겠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사교육비 규모는 초등생이 1인당 월평균 26만 4000원, 중학생 35만 5000원, 고등학생 44만 3000원이었다.
주택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아 20∼24세 기혼여성의 경우 주택 보유자의 평균 자녀수가 0.88명인 데 비해 무주택자는 0.66명에 그쳤다.25∼29세 기혼여성도 주택 보유자는 1.14명이었으나 무주택자는 1.04명으로 낮았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