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인구 한해 1억명씩 는다/「세계인구의 날」계기로 본 실태
◎30년후 현재의 2배로… 1백억명 돌파/밀도는 방글라ㆍ대만 이어 한국이 3위
11일은 인구폭발의 위기로부터 지구촌을 구해내기 위해 UN이 선포한 「세계인구의 날」이다.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에 따르면 현재지구촌에 살고있는 인구수는 52억9천2백만명에 달하고 있다. 이는 10년전과 비교해 8억4천2백만명이 늘어났으며 현재는 1년에 1억씩 늘어나고 있어 10년후인 2000년에 가면 세계인구는 지금보다 10억명이 늘어 63억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같은 인구증가 추세가 계속될 경우 지구촌의 인구는 2020년에 가면 1백억명을 돌파해 현재의 2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세계인구는 매일 26만6천8백명씩 늘어나고 있다. 이는 1시간에 1만1천1백명,1분에 1백85명,1초에 3명씩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이같은 폭발적인 인구증가는 이미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세계은행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80년 기준으로 전세계 인구(44억5천만명)의 17.5%인 7억8천만명이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섭취마저 못하는 기아인구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기아인구수는 세계 최대인구 보유국인 중국을 제외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기아인구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기아인구는 대부분 아프리카와 아시아권의 개발도상국에서 살고 있으며 기아인구가 많은 나라일수록 인구증가율이 높게 나타나 인구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인구증가는 기아문제 이외에도 자원개발과 공업화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등 환경오염과 인구의 도시집중에 따른 주택난,교통난등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은 세계인구가 50억명을 넘어선 87년 7월11일을 기억하고 지구촌의 최대 당면과제로 등장한 인구문제해결에 전세계가 공동으로 노력하자는 취지에서 이날을 세계 인구의 날로 선포한 것이다.
세계인구는 1800년에는 약 8억∼11억,1900년에는 15억∼17억명 선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인구가 2배로 늘어나는데 약 1백년이 걸린 셈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세계인구 통계를 담당하는 국제기구가 없어 정확한 통계는 알수 없다.
세계인구 통계가 시작된 것은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참여한 국제기구인 유엔이 등장한 이후의 일이다.
1950년 세계인구는 25억1천5백만명이던 것이 60년에는 30억1천9백만명,70년에는 36억9천8백만명,80년에는 44억5천만명,90년 52억9천2백만명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10년간 증가한 인구수를 보면 50∼60년 사이에는 5억4백만명에 불과했으나 60∼70년 사이에는 6억7천9백만명,70∼80년에는 7억5천2백만명,80∼90년에는 8억4천2백만명으로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인구학자들은 90년에서 2천년대 사이의 10년 동안에는 10억명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인구의 급격한 증가추세는 세계인구가 10억명 늘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점차 단축시키고 있다.
세계인구가 30억에서 40억으로 늘어나는데 14년(60∼74년)이 걸렸고 40억에서 50억으로 늘어나는데 13년(74∼87년)이 걸렸다.
그러나 50억에서 60억으로 늘어나는 데는 10년(87∼97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인구 52억9천2백만명 가운데 77%인 40억8천7백만명이 개발도상국에서 살고 있고 나머지 23%인 12억5백만명이 선진국에서 살고 있다.
이를 대륙별로 구분하면 아시아가 31억8백만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아프리카(6억4천8백만명),유럽(4억8천8백만명),남미(4억4천8백만명),북미(2억7천6백만명),오세아니아(2천6백만명)순이다.
90년 현재 국별로는 중국이 11억3천5백만명으로 세계 1위이며 인도(8억5천3백만명),소련(2억8천8백만명),미국(2억4천9백만명),인도네시아(1억8천만명),브라질(1억5천만명),일본(1억2천3백만명),파키스탄(1억1천7백만명)의 순이다.
우리나라는 가족계획으로 인구증가율이 지난해 선진국수준인 0.97%를 기록하고 있으나 인구밀도는 방글라데시ㆍ대만에 이어 세계3위(1㎢당 4백31명)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는 90년 현재 4천2백80만명이며 2000년에 4천6백80만명,2020년에는 5천2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