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인구 5천만명 돌파/통계청 「미래인구 추이」 주요내용
◎65세이상 2030년 1,06만… 노령화 가속/총부양비 점증… 2020년엔 43.6% 예상/13년뒤 평균수명 77세… 남녀차는 감소
현재 2백65만7천명인 65세 이상의 노령인구는 2030년에는 1천16만5천명으로 4배 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 추계결과는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통계청 추계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다.
○2015년 정상성비 회복
▷가정설정◁
95년 현재 1.74명인 합계출산율(여성이 가임기간동안 갖는 평균자녀수)은 2010년까지는 1.71내외수준,2015년이후에는 1.8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연도별 출생아는 2000년 70만2천명,2010년 62만1천명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95년 113.4인 총출생 성비는 출생성비 불균형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과 태아 성감별에 대한 근절책 등으로 2015년쯤에는 정상 성비인 107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인구성장◁
95년 7월1일 4천5백9만3천명인 인구는 2008년에는 5천6만6천명으로 5천만명을 넘어선다.인구는 이후에도 계속 늘어나 2028년에는95년대비 17% 증가한 5천2백77만6천명에 이른뒤 인구성장률이 0.0%수준으로 떨어져 감소세로 돌아선다.지난해 성별 인구는 남자가 2천2백70만5천명,여자가 2천2백28만8천명으로 성비는 101.4이다.성비는 현재의 높은 출생성비(113.4)가 상당기간 지속돼 2010년대 중반까지는 소폭 상승한뒤 노령화 사회의 진전으로 낮아진다.이에 따라 성비는 2000년 101.7,2010년 101.8,2015년 101.7,2020년 101.6,2028년 101.1 수준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년층 인구 계속 감소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총인구의 23.4%수준인 0∼14세의 유년층인구는 출산율 감소로 2000년 21.7%,2020년에는 17.2%수준으로 떨어진다.15∼64세의 생산가능연령인구는 70.7%수준에서 99년 71.4%까지 높아졌다 2000년 71.2%,2005년 및 2010년 70.1%,2020년 69.6%수준으로 떨어진다.그러나 65세이상의 노령인구는 2000년에 7.1%로 높아진뒤 2005년 8.7%,2010년 10%,2020년 13.2%로 크게 늘어난다.
○노년 부양비 급증 예상
▷부양비◁
생산가능연령인구가 유년·노년인구를 부양하는 총부양비는 95년 41.3%에서 2000년에는 40.4%로 다소 낮아지겠으나 이후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2005년 42.5%,2010년 42.6%,2020년 43.6%로 계속 높아진다.특히 15∼64세 인구가 유년인구를 부양하는 비율은 33%에서 2020년 24.7%로 계속 낮아지지만 노년부양비는 8.3%에서 2020년에는 18.9%로 두배이상 증가한다.2백65만7천명인 노령인구가 2012년에는 2배가 넘는 5백34만명,2030년에는 1천16만5천명으로 1천만명을 넘어서기 때문이다.연령계층별 노령인구의 남녀 구성비는 남녀 평균수명의 차이가 줄어들어 95년 남자 37.1%,여자 62.9%에서 2020년에는 43.8%,56.2%로 남자의 구성비가 높아진다.
생산가능연령인구는 3천1백89만9천명에서 2000년 3천3백67만1천명,2010년 3천5백50만6천명으로 계속 늘어난다.연령별로는 15∼24세의 젊은 연령층인구는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26%수준에서 2020년 18.7%수준으로 감소하고 25∼49세 연령층인구는 95년 56.7%수준에서 2005년 59.5%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다.50∼64세 인구는 17.3%수준에서 2005년에는 20.5%수준으로 계속 증가한다.
○학령인구 대체로 줄듯
▷학령인구◁
6∼21세의 학령인구는 1천1백91만8천명에서 2010년 1천96만3천명,2020년 1천26만2천명으로 계속 감소한다.6∼11세의 초등학교 대상인구는 2004년까지 증가하다 감소하고 대학교 대상 연령인구(18∼21세)는 98∼2000년 사이에 소폭 증가하다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뒤 2008∼2014년 사이에 소폭 증가하다 다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주 결혼연령층 인구◁
남자 26∼30세,여자 23∼27세인 주 결혼연령층 인구는 현재 남자 2백17만3천명,여자 2백17만2천명으로 균형을 보이고 있으나 2000년에는 남자 2백27만3천명,여자 1백97만7천명,2005년 1백96만3천명,여자 1백2만5천명으로 변화한뒤 2010년에는 남자 1백98만9천명,여자 1백61만2천명으로 37만명 가량 남초현상을 보인다.남초현상은 2020년에는 남자 1백77만8천명,여자 1백63만명으로 진정된다.
▷평균수명◁
95년 73.5세에서 2000년 74.9세,2005년 76.1세,2010년 77세 등으로 높아진다.남녀별 평균수명차이는 95년 7.8세에서 2000년 7.6세,2005년 7.4세 등으로점차 줄어든다.
○2010년 남북 7천9백만
▷인구지표 국제비교◁
95년 남·북한 인구는 6천9백1만명으로 전세계인구의 1.21%수준이다.총인구는 2000년 7천3백25만4천명,2010년 7천9백73만명으로 늘어나지만 세계인구대비 비율은 각각 1.19%,1.13% 수준으로 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