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수준인
    2025-10-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873
  • 콘도 회원수 상한선 철폐 논란

    규제완화인가,콘도 회원 양산인가. 문화관광부가 입법예고한 콘도 분양 상한선 철폐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있다. 현행 관광진흥법 시행령에 따르면 콘도 회원은 객실당 5∼10인까지 모집할수 있다.그러나 문화부는 최근 모집 상한선 규정을 폐지,객실당 2인 이상 무제한 모집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문화부는 회원 모집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회원들의 선택권을 다양하게하기 위해 이같이 손질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개정안은 소비자의 선택을 다양하게 한다는 취지와는 달리 회원을 무한정 모집,성수기 회원들의 객실난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실제 회원이 10배수 이내로 제한된 요즘도 여름 성수기나 연휴,주말에 콘도를 예약하기 위해서는 20일이나 한달 전에 신청,추첨으로 방을 배정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 저가(低價)의 이용권이 남발돼 콘도 분양 유통질서가 교란될 것이라는우려도 제기된다. 문화부는 지난해 가을 저가 콘도회원을 모집한 신세계리조트,현대 패밀리타운,포시즌,하림 그레이스 등의 업체를 적발,시정명령을 내렸다.이들 업체들은 IMF의 여파로 콘도 정회원권 분양이 안되자 정상가의 10% 수준인 200만∼300만원대의 이용권을 시판해오다 적발됐다.이들 업체들은 성수기 수요를 대지 못해 소비자들로부터 항의를 빚는 등 문제를 일으켰다. 한화국토개발의 한 관계자는 “현재도 공신력 있는 업체를 제외하고는 탈법 분양이 판을 쳐 예약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분양 상한선이 폐지되면 편법 분양을 양성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소비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화부는 “분양 상한선이 철폐되면 분양기간이 주(週)단위 또는 비수기,성수기 등으로 세분화되고 가격도 저가에서 고가까지 다양해져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며 “시행령에 회원대표 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조항이 마련돼 소비자 보호기능도 강화됐다”고 말했다. 개정안은 12일까지 입법예고된 뒤 의견수렴을 거쳐 21일 확정 공포될 예정이다.
  • [농협개혁](3)부실한 경제사업

    농협의 총체적 부실은 경제사업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농협이 농민 상조기관이 아닌 금융기관으로 변질된 것이나,농협이 농민들에게 지탄의 대상이 된 것도 결국 경제사업이 형편없이 빈약한 때문이다.앞으로 추진될 협동조합 구조개혁도 이 경제사업 부문에 초점이 모아져 있다. 경제사업이란 산지 수매에서부터 소비자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유통사업이나 영농기법 개발과 같은 생산자 지도사업 등을 뜻한다.농협 중앙회의 98년 결산에 따르면 신용사업을 통한 수익이 1조1,526억원인 데 비해 경제사업 수익은 이의 15% 수준인 1,629억원에 불과하다. 농협의 왜곡된 구조와 부실은 바로 여기에 있다.즉,농협의 창립 목적은 농민간의 상부상조를 위해 경제사업을 적극 육성하자는 데 있다.신용사업은 이를 보조하는 차원의 업무다.그러나 현실은 신용사업이 주업이고,경제사업은부업으로 전락했다.농산물 유통 등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신용을 다뤄야하는데도 실제로는 돈벌이가 우선이고,농민지원은 뒷전인 것이다. 경제사업의 부실은 농민들이 직접 접하는일선 단위조합에 있어서 더욱 극심하다.상당수의 단위조합들이 마을금고 수준으로 전락한지 오래다.단위조합 평균 수익의 75%가 상호금융이라는 신용사업에서 나온다. 그나마 ‘돈놀이’조차 제대로 하지 못해 경영난에 허덕이는 단위조합들이수두룩하다.농민을 위한 경제사업에 손 댈 여력이 있을 턱이 없다.신용업무를 중앙회가 맡아 경제사업에 주력하는 단위조합을 지원하는 구조가 왜곡돼있는 것이다.농민들이 농협을 ‘고리업자’로 질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농협은 지난해 말 1,332개 단위조합 가운데 39개 조합이 결손상태이고,이가운데 17개 조합만이 자본잠식 상태라고 밝혔다.그러나 감사원 감사결과 퇴직급여와 신용대손 충당금을 결산에 반영할 경우 무려 1,234개 조합이 결손상태에 있고,647개 조합은 전액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이처럼 단위조합이 부실운영되고 있는 이유는 회원이 1,000명 미만인 조합이 전체의 4분의 1인 306개에 이르는 등 조합이 난립한데다 조합장들의 경영능력 부족때문이다. 경제사업의 부실은 중앙회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다.서울 양재동과 창동에 있는 물류센터의 경우 유통단계 축소라는 당초의 목적과 달리 37개 매장이 수의계약 형태로 일반사업자에게 임대돼 운영되고 있다.농협과 사업자들이 얻는 수익만큼 생산농민과 소비자가 손해를 보는 셈이다.3개의 물류센터를 운영하는데 자회사가 5개나 설립돼 있는 점도 농협의 방만한 운영실태를 대변한다. 농협 직영의 하나로마트도 규모가 영세한데다 방만한 경영으로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유통시장 개방에 대비,국내외 대형유통업체에 맞선다며 매장수를대폭 늘려가고 있지만,적자매장만 늘어나는 실정이다.감사원 감사에서도 지난 96년 215개이던 적자매장이 97년에는 241개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 [사설]농협비리, 철저한 수사를

    농협의 방만한 운영과 변칙대출 실태가 국민적인 분노를 사고 있는 가운데검찰이 본격적인 수사를 펴기로 했다고 한다.元喆喜 농협중앙회장의 전격사임에 이어 검찰이 금명 중앙회의 핵심 임직원에 대해 출국금지조치를 내릴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런 와중에 충남 경남 전남지역의 전국농민회 회원들은 현재 14.3%인 농협의 대출금리를 시중은행 수준인 11.5%로 낮춰 줄 것을요구하며 농협 시·지부 건물을 잇달아 점거, 농성하고 있다. 농협은 이미 감사원의 감사결과에서 드러났듯이 대대적인 수술없이는 존립자체도 어려운 실정이다.대기업,회사채 지급보증으로 무려 6,200억원의 손실을 입었고 한보,진로그룹 등 부도난 기업에 9,100억원을 대출해주었다.6개월이상 연체로 더이상 대출을 해줄 수 없는 6,517개의 적색거래업체에 대해서도 1,072억원을 대출해줬다.또 전국 1,332개 단위조합 중 절반에 가까운 647개 조합이 자본잠식상태로 사실상 ‘해체직전’에 놓여 있다.이같은 상황인데도 명예퇴직금으로 월고정급여의 13년 6개월분을 지급하고,퇴직금 지급률을 3배나 누진적용하여 1인당 최고 4억9,000만원까지 퇴직금을 지불하기도했다. 이런 정도면 농협은 부실과 방만경영의 표본이라는 지적을 넘어 부조리와비리의 복마전이라고 지탄받아 마땅할 것이다.부실 대기업에 대한 대출과정에서의 커미션 수수나 사업자 선정에서의 금품수수 등과 관련한 중앙회 임직원 비리에 대한 단서는 이미 검찰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번 농협비리는 중앙회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전국 단위조합에서도 비슷한 수법의 내용이 적발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같이 일반화·전국화된 구조적 비리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중앙회임직원들에 대한 대검의 집중수사와 함께 전국 지검·지청과 유기적인 공조체제를 유지하여 개별 단위조합까지 수사를 동시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또한 적색거래업체 대출,과다한 퇴직금 지급 등의 부실 경영에 대해서도 형법상 배임죄 적용을 포함한 사법적 책임도 엄정하게 물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번 농협의 비리수사를 계기로 농·수·축협과 같은 특수은행에 대해서는 은행법을 적용하지 않는 현행 금융감독체계를 획기적으로 보완해야할 것이다.또한 정부가 추진중인 농업·축산·임업·인삼 4개 협동조합의 통폐합 과정에서도 금융감독의 사각지대가 다시는 존재하지 않도록 확실한 제도적 장치를 강구해야 한다.이밖에 농정당국은 농민들이 시위,농성을 해야만 대출금리의 인하를 유도하는 식의 ‘소방(消防)행정’에서 하루빨리 탈피하고 농민소득증대를 뒷받침하는 전향적인 농정을 펴도록 강력히 촉구한다.
  • “동아건설 김포매립지 정부에 판다”

    동아건설의 김포매립지(373만평)가 곧 정부에 매각될 전망이다.대한통운은3월 중 매각 성사가 확실시된다. 申復泳 서울은행장은 22일 서울은행의 홍콩상하이은행 매각과 관련,기자회견을 갖고 “김포매립지 매각에 관한 논의가 진전돼 곧 매각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申행장은 또 “다음달 중에는 대한통운 매각도 이뤄질 것”이라며 “2건의 매각이 성사되면 이들 기업에 대한 1조여원의 부실채권 규모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정부는 그동안 서울은행 매각을 유리한 입장에서 진행시키고 동아건설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김포매립지를 공시지가의 75∼76% 수준인 7,200억원 정도에 사들이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 3개 국책銀 신용등급 상향 기대

    최근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투자적격으로 올린 무디스사(社)가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3개 국책은행에 대한 실사에 들어갔다. 무디스사는 22일 수출입은행을 방문,재무상태 등 경영현안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벌였으며 23일 산업은행과 25일 기업은행을 차례로 방문,조사할 예정이다. 이번 실사는 그동안 해마다 실시해 온 ‘연간 조사’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곧 이들 국책은행의 신용등급 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무디스는 스탠더드 앤 푸어스(S&P),피치-IBCA 등 다른 신용평가기관과는 달리 국가신용등급을상향조정했으면서도 이들 3개 은행의 신인도는 여전히 투자부적격 수준인 ‘Ba2’로 매겨 놓고 있다. 따라서 이들 은행이 이번에 투자적격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적어도 2등급이상의 상향조정이 이뤄져야 한다.수출입은행측은 “최근 국내 경제여건이호전되고 있는데다 한국은행의 증자 등 긍정적 요인이 많아 이번에 신용등급상향조정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낙동강 수질 상시 2급수 유지

    현재 3·4급수에 머물고 있는 낙동강의 수질을 팔당호 수준인 2급수(1∼3ppm))로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이르면 오는 6월까지 확정된다. 崔在旭 환경부장관은 18일 金大中 대통령에게 올 주요 업무를 보고하면서“이르면 올 상반기 안에 대구·부산 등 상·하류간 합의를 거쳐 낙동강 수질을 상시(常時) 2급수로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 ‘낙동강 수질 보전을 위한 특별대책’안(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우선 이달 말 낙동강 수계의 일선 시·군으로부터 지역별 수질에관한 기초조사 결과를 보고받아 수질보전대책을 수립할 기획단을 발족시킬예정이다.이어 4월까지 전문가,환경단체 및 시민단체,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대책안을 작성하고 5월에는 건설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해당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쳐 6월에 물관리정책조정위원회에서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文豪英 alibaba@
  • 무디스 “한국 투자적격”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인 미국의 무디스사는 13일(한국시간)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 투자부적격 수준인 ‘Ba1’에서 투자적격 등급인 ‘Baa3’로 1단계 올렸다.이로써 우리나라는 피치-IBCA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모두 투자적격 등급을 받게 됐다. 무디스는 또 외화표시 은행예금에 대한 신용등급을 ‘Caa1’에서 5등급 높은 ‘Ba2’로 대폭 끌어올렸다. 무디스는 이날 신용등급을 올리면서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외화표시 장기채권등급)과 외화표시 은행예금 등급의 향후 전망을 ‘긍정적’으로 올려놓아 앞으로 추가상승 가능성을 밝게 했다. 한편 무디스는 한국 전체의 외화표시 은행예금 신용등급이 상향됨에 따라조흥과 대구,하나,한빛은행 등 14개 은행의 외화표시 장기 은행예금 등급을‘Caa1’에서 ‘B1’∼‘Ba2’ 등으로 상향조정했다. 또 서울과 대구시의 외화표시 장기채 등급도 ‘Ba1’에서 ‘Baa3’로 올렸다.金相淵 carlos@
  • 軍전력 5년내 北의 88%로

    2004년까지 현재 79% 수준인 북한 대비 우리 군의 전략지수가 88%로 높아지며 북한 전 지역에 대한 감시능력을 비롯,조기경보체계,장거리 핵심표적 타격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모두 81조5,000억원의 국방예산이 투입된다.국방부는 1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방 중기 5개년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방부는 올해 13조7,490억원 규모인 국방예산을 내년에는 14조5,000억원으로 늘리는 등 2004년까지 연평균 5∼6% 늘려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방예산 가운데 방위력개선사업에 투자되는 비율을 현재의 30.1%에서 2004년까지 33∼34%로 높여 첨단 기술집약형 군구조의 초석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2000년부터 2004년 사이 모두 81조5,000억원의 국방예산 가운데26조7,361억원이 대형 공격 헬기사업,무인정찰기사업,차세대 구축함사업(KDX-Ⅲ),차세대 전투기사업,차세대 미사일사업(SAM-X),개량형 잠수함사업(SSU)등 320개 방위력 개선사업에 투자된다. 반면 인건비,부대운영비 등 운영유지비는 2002년까지 동결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북 전쟁억제력 및 미래의 불확실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전력 증강에 초점을 맞춰 중기계획을 작성했다”면서 “정부의 ‘중기 재정계획’에 의한 가용재원을 토대로 편성한 이번 중기계획은 실질적인 재정이 뒷받침된 최초의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공기업 ‘內實경영’ 이렇게…鄭崇烈 도로공사 사장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기업이 주인인 국민을 섬기지 않는다면 누가 섬기겠습니까” 鄭崇烈한국도로공사사장(62)은 창사 30돌을 맞아 11일 鄭鍾錫 대한매일 경제과학팀장과 특별회견을 갖고 “모든 직원이 늘 국민을 섬긴다는 자세로 일했더라면 ‘구조조정’이나 ‘IMF경제난’ 따위의 말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자신의 ‘섬기는 경영론’을 역설했다.鄭사장은 “지난해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치며 공기업 경영혁신의 우등생으로 평가받기까지는 노사화합이 가장 큰 힘이 됐다”며 “창사 30돌인 오는 15일이 자신의 결혼 30주년과 겹쳐 개인적으로도 큰 영광“이라고 했다. ▒지난해 구조조정은 어떻게 했습니까. 사장에 취임한 뒤 1주일 만에 본부장 7명 중 4명(57%)과 처장급 간부 29명중 9명(31%)을 물러나게 했습니다.자회사 사장 3명도 퇴진시켰지요.인원은 5,178명 가운데 644명을 감축했습니다.오는 2002년까지 단계적으로 1,552명을 줄일 계획입니다.올해에만 400여명의 인원이 줄어듭니다. ▒구조조정이 인원감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사람과 조직을 줄이는 이른바 ‘눈에 보이는 구조조정’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구조조정’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의식의 구조조정이 제대로이뤄져야 진정한 경영혁신과 노사화합이 가능하고 구조조정의 가치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물류비를 줄이려면 고속도로를 더 많이 건설해야 하지 않습니까. 현재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총 길이는 1,996㎞입니다.60년대 말 처음 고속도로를 건설한 이후 30년 만에 선진국 수준인 2,000㎞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2004년까지는 3,700㎞의 고속도로를 건설해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좁힐 계획입니다.이때가 되면 전국 어디서나 자동차로 30분만 달리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고속도로 건설재원이 부족한 데다 도로공사의 부채도 상당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습니다.지난해 말 우리 공사의 빚은 6조원 정도 됩니다.초기에는 정부가 고속도로 건설을 맡고 도공은 유지·관리업무만 해왔습니다.그러나 지금은 정부가 건설비의 50% 정도만 지원하고 나머지는 우리 공사가 자체적인 재원을 마련해 건설·관리업무를 하고 있습니다.이렇다보니 빚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새로 건설하는 고속도로의 건설비만이라도 정부에서 80%는 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고속도로를 이용해본 사람이면 누구나 휴게소가 불결할뿐 아니라 시설이엉망이라는 말을 하는데요. 잘 알고 있습니다.앞으로 고속도로 휴게소의 서비스를 호텔 수준으로 만들겠습니다.휴게소는 여행객의 쉼터가 돼야 한다는 것이 평소 생각입니다.휴게소에서 파는 물건값을 슈퍼마켓 이하 수준으로 낮추고 화장실 청결 수준을여러분이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높이겠습니다.새로 짓는 휴게소에는 화장실을 별도건물로 만들 생각입니다. ▒해외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은 없나요. 중국의 고속도로유지관리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대우·고속도로관리공단 등과 컨소시엄을 추진중입니다. ▒올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부문은. 도공의 사명 중 하나가 물류비 절감입니다.올해에만 무려 4조5,000억원의예산이 고속도로 신설·확장사업에 들어갑니다.이 예산의 92%를 상반기에 배정해 사업효과를 빠른 시일 안에 내도록 하겠습니다. ▒‘섬기는 경영’의 실체는 어떤 것입니까. 고객을 섬기는 자세로 모셔서 감동을 자아내자는 것입니다.지난해 말에는‘고속도로서비스헌장’을 제정했습니다.고객을 위한 300여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지요.불친절한 톨게이트 직원에게 ‘3진아웃제’를 적용하는 등의 실천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정리 l 朴性泰·朴建昇sungt@
  • 도로공사,자본금 10억서 10조원으로 ‘껑충’

    오는 15일 창립 30돌을 맞는 한국도로공사는 기념식을 12일로 앞당겨 가지면서 ‘아름다운 만남’을 연출한다. 도로공사 鄭崇烈사장은 이날 오후 宋正範 초대 사장을 비롯한 퇴직 임·직원 300여명을 초청,후배 직원들과 만남의 행사를 갖는다.선배들은 사무실과강당 등 옛 정이 묻어 있는 일터를 돌아보며 기념사진 촬영도 한다. 저녁에는 강당에 모두 모여 장기자랑도 하고 품바공연,축시낭송을 보면서‘도공 한가족’의 화합을 다지며 “건설하자,약진하자,새아침이 밝아온다…”는 사가를 부르며 막을 내린다. 도로공사의 성장은 한국 경제의 성장사와 같이한다.69년 창립 당시 고속도로를 이용한 차량수는 하루 평균 8,000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26만대나 됐다. 통행료 수입은 4억4,000만원에서 지난해 1조2,896억원으로,법정자본금은 10억원에서 10조원으로 껑충 뛰었다.산업물동량 수송과 지역간 이동에 꼭 필요한 기관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증거다. 올해는 역사적인 2,000㎞ 고속도로시대를 열게 된다.제설작업이나 도로청소에 그쳤던 고속도로 관리업무도 노면절삭기,교량점검 차량 등 1,728대의 최신 장비로 안전운행을 보장해준다.86년부터는 정부가 직접 시행해오던 고속도로건설사업을 인수하는 등 고속도로의 모든 것을 책임지고 있다. 도공은 올해 창립 30돌을 맞아 본격적인 ‘고객 섬김 경영운동’에 나선다. 지난해 6월 도공의 첫 공채 사장이 된 鄭사장은 12일 오전 기념식이 끝난 뒤 바로 ‘고객지원단’ 발대식을 갖는다. 고객지원단은 125대의 차량과 430명의 인원으로 구성돼 3교대로 모든 고속도로에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도로이용자의 불편사항을 해결해준다. 도공은 2004년까지 현재 고속도로 연장의 갑절 수준인 3,700㎞시대를 열어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 계획이다.도공 출범과 함께 시작된 ‘일일생활권시대’가 ‘반나절 생활권’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丁升敏 theoria@
  • 제약업체 50곳만 남긴다

    400여개에 달하는 국내 제약업체가 기업 분사(아웃 소싱)나 인수·합병(M&A),품목간 딜 등 본격적인 구조조정 작업에 돌입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제약업계를 성장구조로 개편하고 보건의료 부문의 생산·유통체계를 선진화하기 위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연구소나 대학 등 의약품 개발자가 별도의 제조시설 없이도 제3자의 시설을 이용,위탁생산이 가능하도록 약사법 시행령을 개정할방침이다. 또 전근대적인 유통체계의 개선을 위해 물류조합을 설립,절약된 물류비용을신약개발 투자로 유도할 계획이다.물류조합이 생기면 유통부문에서 연간 4,000억원 정도가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복지부는 제약협회 안에 ‘제약산업 인수합병추진위원회’를 구성,우선 성장기업간의 인수·합병을 활성화시킬 방침이다.또 제품개발,유통,마케팅 등분야별 특화업체간의 인수·합병을 통해 의약품 생산구조를 기술력과 마케팅력 중심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구조조정 작업이 원만하게 마무리되면 제약업체 수는 50여개로 대폭줄어들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宋在聖 보건정책국장은 “제약회사의 부가가치는 고작 3∼4% 수준인데도 회사마다 같은 품목을 생산하는 등 과잉투자가 극심해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 美, 北에 올 80만t 식량지원

    미국은 금창리 지하핵의혹시설의 현장접근 허용에 대한 보상으로 당초 북한이 요구했던 100만t에 육박하는 약 80만t의 식량을 ‘보상’이 아닌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정부 당국자는 카트먼 미 국무부 한반도 평화담당 특사가 지난 9일 한·미·일 대북정책협의회에서 올해에도 지난해 수준인 50만t의 식량을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고 10일 전했다. 미국은 지난해 북한에 제공하기로 했던 50만t 가운데 30만t을 현재 인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것까지 합치면 올해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은 총 80만t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국은 WFP의 상반기 대북식량지원 규모 53만t 중 40만t(지난해 미인도분 30만t과 올해 신규지원분 10만t)을 제공하는 데 이어 WFP가 하반기추가지원 계획을 세우면 40만t가량을 더 제공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이같은 대북 식량지원이 북한 금창리지하시설의 의혹 해소를 위한보상 차원이 아닌,순수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지만 사실상 금창리 문제에 대한 협상카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이 올해 지원할 것으로 시사한 80만t에 대해 한·일 양국의분담을 요구할지도 모른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秋承鎬 chu@
  • “2002년 1인당 GDP 1만弗 회복”

    康奉均 청와대경제수석은 10일 오후 고려대에서 한국경제학회 초청으로 가진 ‘Post-IMF 한국경제발전의 중장기 비전’ 강연에서 “우리 경제가 내년부터는 재도약단계에 진입,오는 2002년쯤에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IMF사태 이전 수준인 1만달러를 웃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康수석은 “원화가치의 절상 여하에 따라 소득 1만달러 회복시기는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면서 “최근 경제회복 추세를 고려할 때 올해 플러스성장세로 돌아서면서 연간 2%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2000년 이후에는 5% 내외의 안정적인성장궤도에 다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梁承賢yangbak@
  • 위암 조기 검진율 25.7%…명치부위통증땐 내시경 검사를

    국내 위암 조기검진율은 지난 10년간 매우 높아졌지만 일본에 비해서는 아직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대의대 외과학교실 소화기외과분과(이승환 등 5명)에 따르면 지난 81년 1월부터 97년 5월까지 전남대병원에서 시행된 위암수술 1,850건을 분석한결과 조기위암으로 판명된 것은 371건(20.1%)이었다.96년에는 25.7%에 달해 88년의 13.1%보다 2배 정도 높았다.하지만 일본은 위내시경 검사를 통한 집단검진 등을 실시해 조기위암 검진율이 40%를 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국내 조기위암 환자중 215명(57.8%)은 수술전 명치부위의 통증을 호소했으며,95명(25.6%)은 소화불량 증세를 보였다.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자주 경험하는 사람은 위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위암발병 여부를 체크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 韓銀“콜금리 5%대로 인하”

    한국은행은 현재 연 6%대인 콜금리를 5%대로 끌어내리기로 했다.또 넉넉하게 풀려있는 시중자금을 흡수(환수)하지 않는 등 통화공급을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유지키로 했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간 급전인 콜금리는 금명간 사상 최저 수준인 5%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콜금리가 떨어지면 대출금리도 시차를 두고 낮아져 올상반기 중 평균 1.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全哲煥 한은총재는 1일 ‘99년 통화신용정책 운영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실물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금리를 하향 안정화시키겠으며,콜금리는 5%대로 끌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무디스,한국신용 곧‘투자적격’으로

    [도쿄 黃性淇 특파원]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한국에 대한 국가신용등급 재평가를 빠르면 한달 안에 끝내 ‘투자 적격’으로 상향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무디스 간부인 빈센트 트루글리아가 28일 밝혔다. 트루글리아는 이날 도쿄 외신기자클럽에서 이같이 밝히고 “그러나 신용등급이 ‘투자 적격’중에서도 ‘우량’수준인 ‘A’까지는 올라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트루글리아는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 재평가는 늦어도 3개월 안에는 마무리될 전망”이라면서 “채권과 예금 신용등급들도 투자 적격수준으로 상향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금감원장 월급은 과장급

    ‘금융계의 황제’인 李憲宰금융감독원장의 봉급이 부하직원인 과장(2급)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李원장은 정부조직인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어 공무원 보수체계를 적용받는다.고위직 공무원에는 연봉제를 실시,장관급인 금융감독위원장 연봉은 4,967만원이다.수당과 보너스를 모두 합친액수다. 반면 금감원은 무자본 특수법인으로 한국은행의 보수체계를 본떴다.은행감독원 임원이 받던 수준에서 10%를 삭감했으나 금감원 부원장의 연봉은 8,160만원으로 李위원장의 연봉보다 3,193만원(39.1%)이 많다. 부원장보의 연봉은 7,940만원으로 李위원장보다 연간 2,973만원을 더 받는다. 반면 금감위의 연봉은 부위원장 4,463만원,1급인 상임위원 4,159만원,3급인 실장과 국장은 3,410만원,4급인 과장은 3,009만원을 받는다.봉급만 보면 李위원장은 금감원 과장급과 같은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 ‘99지구촌 점검(5회)-에너지

    저(低)유가의 시대가 세계에너지 업계의 지각 변동을 몰고 왔다. 국제 원유가가 경제위기 전의 60% 수준인 배럴당 10∼11달러선으로 주저앉으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자 앞다퉈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비용절감은 물론 국내시장의 방어와 안정적인 시장점유율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12월1일 미국 최대의 석유회사인 엑슨은 800억달러에 미 2위의 모빌을 합병,세계 최대 회사로 등재하면서 엑슨모빌이라는 이름으로 전열을 가다듬었다.‘거대 공룡’이 등장하자마자 프랑스 토탈은 유럽 시장 ‘수성(守城)’을위해 벨기에의 페트로피나를 400억달러에 사들였다.인수합병이 자기방어를위한 숱한 다른 합병을 양산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8월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이 지나친 비용지출에 허덕이던 미국의아모코를 550억달러에 사들인 것은 세계 에너지업계의 인수·합병 신호탄이었다. BP가 아모코를 합병하면서 미국에 상륙한 데 위협을 느낀 엑슨이 모빌과의합병을 서두르는 기폭제가 됐고,이는 토탈의 페트로피나 합병으로까지확산된 셈이다. 거대 업체의 인수합병은 중견업체들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캐나다의노바와 트랜스캐나다 파이프라인간 100억달러 규모의 합병은 자국시장 방어는 물론 독주 채비마저 갖추게 됐다.미국의 중견 에너지업체들도 가세했다.할리버튼은 드레서를 90억달러에 인수했고 필립스는 울트라마 다이아몬드 삼록을 80억달러에 사들였다.아르코는유니온 텍사스 페트롤리엄을 33억달러에,펜조일은 퀘이커 스테이트를 10억달러에 각각 인수했다. 일본 업체들과 영국 업체들도 마찬가지.닛폰오일은 미쓰비시오일을 28억달러에,영국의 브리티시 보르네오는 하디를 각각 사들였다.이밖에 말레이시아국영 페트로나스는 남아공의 엔젠을 매입,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석유산업 분석가들은 국제 원유가가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지금의 수준에서유지될 것으로 예상돼 인수·합병 붐은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현재 합병설이 무르익고 있는 업체는 세계 2위의 로열 더치셸.엑슨모빌에 눌린 데다 저유가로 영업실적이 부진하고 비용지출마저 크게 늘어나 미국 세브론과의 합병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韓通·SK텔레콤·韓電도 상향조정

    ?맒隔°糖? AP 연합?많堅?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투자 적격’으로 높인데 이어 한국통신,SK 텔레콤및 한국전력의 신용등급도 같은 수준으로 상향조정했다.S&P는 26일 한국통신과 SK 텔레콤의 장기 외화표시 선순위채 등급을 ‘투자 부적격’ 수준인 ‘BB+’에서 ‘투자 적격’인 ‘BBB-’로 각각 올린다고 밝혔다.한국전력의 장기신용등급 역시 ‘BB+’에서 ‘BBB-’로 상향조정됐다.
  • 2차 정부조직 개편 어떻게-어느정도 진행됐나

    “집터를 파고 뼈대를 올린 상태로 현재 내부를 어떻게 꾸밀지를 논의중이다.”(陳념 기획예산위원장) “핵심 개편은 공무원이 아닌 국민을 위한 조직으로 바꾸는 데 있다.”(吳錫泓 경영진단위원장) “키(국내외 환경과 국민의 수요 변화)가 크면 옷을 바꿔 입어야 한다.”(趙昌鉉 한양대교수) 현재 추진중인 정부조직 2차 개편과 관련,추진 주체들이 하는 말에는 정부기능의 새로운 모습이 담겨 있다. 대통령 직속기구인 기획예산위원회가 ‘국민의 정부’ 들어 주도하는 2차정부조직 개편작업은 현재 부처별 경영진단 결과를 토대로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집중돼 있다. 정부내 조직 개편작업은 지난해 11월부터 올 2월까지 4개월간 진행된다.기획예산위는 민간 전문연구소와 컨설팅 회사로 9개 분야별 경영진단팀을 구성,이례적으로 41억5,000만원을 들여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청 단위에 대한진단을 마쳤다.9개 분야는 ?걀倂낼횐? ?걋球奮旋? ?갚냅갯?화 ?갱英맏뮐? ?걋瑩ㅁ鳧? ?갱袁貪茱? ?갱英린A♣謎?(SOC) ?개窄꽂?경 ?걍峙堧旼? 등이다. 이같은 진단결과를취합,민관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된 경영진단위원회가 중간보고서를 만들었다.여기에는 이해관계자 분석,현행 기능에 대한 쟁점파악 및 평가,벤치마킹,해결방향 등이 담겨져 있다.경영진단위는 최근 이를 토대로 각 부처의 미션 및 핵심산출물을 제시했다. 다음달 26일까지는 정부기능 및 조직을 다시 짜고 새로운 기능에 따라 적정인력을 산출한다.또한 공무원 평가지표와 측정방법·고객헌장을 만든다.2월까지 최종보고서를 가다듬은 뒤 3월 공청회 등을 거쳐 정부안을 확정한다.상반기까지 국회에서 법령을 고쳐 하반기부터 새로운 정부조직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조직 개편안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조직 통폐합과 기능 재조정,정원감축,조직문화 개선이 그것이다.?건旋ㅊ? 조직은 축소될 게 확실시된다.현행 17부 2처 4위원회 16청 1국에서 폐지되거나 축소·통폐합되는 부처가 상당수에 이를 전망이다.국내외 환경변화와 국민의 행정서비스 수요가 변화한 데 따른 것이다. 우선 기획예산위원회와 예산청이 합쳐져 대통령 직속 기획예산처로 되는게 굳어진 상태다.또한 공무원 임용과 채용,평가 및 관리를 종합해 맡을 인사위원회 설치도 필수적이다.재정경제부는 금융감독원을 금융감독위원회에 넘겨 재정부로 축소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산업자원부는 통상기능과 과학기술 정책기능 흡수 여하에 따라 조직이 재편될 전망이다.외교통상부의 이원화도 검토되고 있다.건설교통부와 해양수산부·농림부의 기능 재조정과 환경부·노동부의 확대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부처별 중복기능은 물론 건설 인허가,행정서비스 분야에 대한 수술이 불가피하다. 특히 공무원교육기관,전산직,연금기관 등을 민간에 운영을 위탁하는 등의경영기법을 대거 도입할 예정이다.?같篇タ? 정원 감축 행정자치부는 올해 공무원 총정원을 27만여명으로 정해더이상 늘리지 못하도록 했다.이 범위 안에서 지난해부터 내년까지 3년 동안 전체의 10.9%를 줄이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이 수준이 공공부문의 평균 감축 수준인 25%에 크게 못미쳐 20%선까지는 감축하겠다는 방침이다.얼추 5만명을 헤아린다. 주된 감축분야는 규제가 대폭 완화되거나 기능을 상실한 조직,중복 과잉인력이 될 전망이다.?갸老좟?웨어 혁신작업 관료 조직 분위기 일신을 위한 것이다.공무원의 의식개혁을 위해 민간인과의 경쟁,성과평가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요체다.연봉제,개방형 공무원제,인센티브제도,평가제도 도입 등이다. 3급 이상 국장급 고위공무원 자리의 30%를 민간인과의 공개경쟁을 통해 선발 임용함으로써 이들의 창의력과 전문성을 수혈한다는 계획이다.또한 이들의 직무평가 및 분석기법을 개발해 내년부터 성과급적 연봉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장·차관에 대한 성과급적 연봉제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서기관급 이하 공무원에 대해서는 실적에 따라 기본급의 200%를 차등해성과금으로 주는 인센티브제도를 실시한다.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고객헌장’도 제정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