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연구센터 설립의미/ 무선네트워크기술 한단계 높여
IBM이 한국에 원천기술 연구개발(R&D)센터 설립을 확정한 것은 정부의 동북아 정보기술(IT) 허브 구상이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8월 인텔이 R&D센터 설립을 발표한 데 이어 두 번째이며,휼렛패커드(HP)도 국내 통신회사와 설립을 예정하고 있어 IT 허브화의 신호탄으로도 볼 수 있다.
이들 기업의 투자는 IT강국으로 급부상한 한국의 기술적·인적 자원에 매력을 가졌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 정부로서는 이들의 경쟁관계를 제대로 활용하면 분야별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맞는 셈이다.
이호수 한국IBM 기술연구소장은 24일 “미국의 핵심 연구원 10명 등 70명으로 출발하지만 앞으로 대학생의 인턴십으로 연구조직을 늘릴 계획도 있다.”고 밝혀 한국시장에 매력을 갖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같은 성과는 지난 5월 노무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펼친 외자유치 활동과 맥락을 같이한다.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당시 IBM 근무시절의 인맥을 동원,R&D센터 유치활동을 벌였다.
3개사와 맺은 프로젝트는 각각 다르다.IBM은 텔레매틱스·무선기기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분야,인텔은 무선(인터넷 단말 표준 플랫폼인 위피),디지털 홈,주파수 활용방안,컨슈머 중앙처리장치(CPU),가전분야,HP는 무선 네트워크 기반 장비분야에서 원천기술을 연구한다.
텔레매틱스와 임베디드 기술은 정부에서 추진 중인 10대 신성장 동력사업에 큰 힘을 실을 수 있고,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인 이동통신분야를 한 단계 더 높이게 된다.
이를 통해 우리 기술을 국제표준화하는 데 유리하고,국제시장에서의 입지도 휠씬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들 기업이 일본,중국,인도 등에 이미 R&D센터를 운영 중에 있어 IT허브화의 상징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기홍기자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