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시 뉴스 깊이 없고 비주얼만 가득”
국내 공영방송의 뉴스가 심층보도에 약한 채 비주얼에만 강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뉴스워치팀은 국내외 공영방송의 간판뉴스격인 오후 9시·10시대의 뉴스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기간은 5월31일부터 6월11일까지(주말 제외),대상은 KBS1 ‘뉴스 9’,MBC ‘뉴스데스크’,BBC ‘10 O’Clock’,NHK ‘News10’으로 한정했다.
분석결과 보도의 방식을 스트레이트 보도와 심층보도로 나눌 때 MBC는 전체보도 가운데 9%만을 심층보도로 채웠고 KBS(23.2%),NHK(29.6%),BBC(68.9%)가 뒤를 이었다.게다가 KBS는 57.4%,MBC는 65.5%의 뉴스를 남성앵커가 진행하는 가운데,심층보도일 경우에는 남성앵커의 비중이 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대조적으로 NHK의 경우 심층보도를 할 때에는 남자 앵커의 비중이 평균보다 감소하면서 공동 진행의 비중이 높아졌다.
기사별 평균 보도시간에서도 KBS가 기사 한 건당 1분25초로 가장 짧았고,MBC는 1분31초,BBC는 1분56초,NHK는 2분19초로 조사됐다.하지만 영상컷수와 그래픽사용건수는 국내 방송사의 뉴스가 월등히 높았다.영상컷수는 KBS가 2164건,MBC가 2161건인데 비해 NHK는 절반 수준인 1147건을 기록했고,BBC도 897건에 그쳤다.그래픽 사용건수는 KBS(80),MBC(77),BBC(59),NHK(46) 순이었다.
보고서는 결론에서 “심층성과 탐사 저널리즘의 정신이 빛나는 뉴스보도를 적극 개발하고,기사내용의 충실한 이해를 위해 영상 전환과 그래픽 활용을 현 수준보다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