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軍기지 9곳 내년 반환
용산 주둔 미군부대가 올해부터 이전작업에 착수,당초 계획보다 1년 늦은 2008년 말까지 일부 병력·시설을 제외하고 평택으로 옮겨간다.
또 부산과 춘천,파주 등 전국 주요 미군 기지 9곳의 반환시기는 1∼6년 단축된다.
한·미 양국은 23일 워싱턴 국방부 청사에서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FOTA) 회의를 갖고 용산기지 이전협상을 마무리하는 한편 연합토지관리계획(LPP) 수정협상도 타결지었다.
이에 따르면 용산기지 대체부지 매입과 포괄협정(UA)의 국회비준,이전비용 마련 등의 어려움을 감안해 용산기지에 위치한 연합사와 유엔사는 2007년,나머지 부대들은 2008년까지 이전을 완료하기로 했다.다만 기존의 드래곤 힐 호텔,주한미군과 한국 국방부간의 업무협조단,연합사령관과 부사령관의 서울사무소 등은 용산에 남게 되며 사용 면적은 모두 합쳐 2만 5000여평이다.
용산기지 협상과 관련해 유일한 미타결 쟁점이었던 이사비용 부담범위는 미군과 가족,군무원을 제외한 모든 계약직 고용원들의 이사비용을 미측이 부담하기로 결론을 냈다.
양측은 LPP 개정협상을 통해 미측이 부지 5167만평을 반환하는 대신 평택지역에 349만평을 공여받기로 합의했다.이에 따라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한국쪽 공여지는 현재 7320만평의 34% 수준인 2515만평으로 줄고 기지 숫자도 현재 41개에서 17개로 축소 운영된다.
주한미군은 34개 기지 1218만평과 3개 훈련장 3949만평을 한국측에 되돌려주고,평택 일대 신규부지 349만평과 기존에 합의한 김천 3만평,포항 10만평을 합쳐 362만평을 공여받는다.
정부 관계자는 “캠프 페이지의 이천 이전 취소로 토지매입비 등 1860억원의 예산이 감소한 것을 비롯,이번 LPP 개정으로 2002년 합의된 한국측의 LPP 소요예산 1조 4900억원 중 7056억원을 줄이는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반환시기 단축 지역은 ▲부산 하야리아(2011→2005년) ▲춘천 캠프 페이지(2011→2005년) ▲파주 6개 기지(2006∼2011→2005년) ▲의정부 캠프 홀링워터(2010→2005년) ▲의정부 3개 기지(2006∼2010→2006년) ▲원주 기지(2011→2008) 등이다.
이지운기자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