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표시 신고땐 최고 200만원 포상
모든 식당과 급식소로 확대 시행되는 쇠고기 원산지 의무표시제의 올바른 표기는 무엇일까. 소비자는 어떻게 해석하면 될까.
8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앞으로 100㎡ 이상 식당은 메뉴판과 게시판 모두에 소비자가 알아보기 쉽게 쇠고기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 다만,100㎡ 미만의 경우에는 메뉴판이나 게시판 중 적어도 한 곳에만 표시하면 된다.
집단급식소와 위탁급식영업소 등의 경우 주간·월간 메뉴표를 가정통신문, 인터넷 홈페이지, 취사장 게시 등 방법으로 공개해야 한다. 게시판 또는 푯말을 이용해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소갈비(국내산 한우)’,‘등심(국내산 육우)’,‘햄버거(쇠고기:미국산)’ 등과 같은 방식으로 원산지를 밝혀야 한다.
만일 외국에서 수입한 소를 국내에서 6개월 이상 기른 뒤 국내산으로 유통하는 경우에는 ‘소갈비 국내산(육우, 호주산)’ 등으로 품종과 수입 국가명을 동시에 표기한다. 즉, 소비자들은 메뉴판에 국내산이라도 ‘육우’라는 표시가 쓰여 있으면,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토종 한우가 아니라 외국에서 수입한 소의 고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원산지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쇠고기가 섞였다면 ‘갈비탕(국내산 한우와 호주산 섞음)’과 같이 혼합 사실을 알려야 한다.
그러나 소규모 음식점들이 제기하는 ‘표기 방식이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높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업소 상황에 맞게 칠판이나 화이트보드, 전광판 등에 표기하는 것도 가능하고 손으로 쓰거나 컴퓨터로 인쇄해 붙이거나 소비자에게 정확한 원산지 정보만 전달할 수 있으면 된다.”며 표기 형태에 엄격한 규정을 두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 밖에 쌀, 배추김치, 돼지고기, 닭고기를 조리한 음식의 경우 국내산은 ‘국내산’, 수입산은 ‘수입국가명’을 표시하면 된다.
단속에서 쇠고기의 원산지 또는 종류를 허위로 표시해 적발되면 누적 횟수에 따라 해당 업소에는 최대 1개월의 영업정지 행정처분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처벌을 받게 된다. 또 신고자에게는 원산지 허위표시 처벌이 확정되면 최고 2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