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별로는 신한국·자민련·국민회의순/「후보자 재산등록」 이모저모
◎경기·충청·강원 최고액 자민련 독점 눈길/1백억이상 경기 5명 최다·전남 전무
새 통합선거법에 따라 국회의원후보등록자의 재산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5대총선 후보자등록이 마감됨에 따라 28일 전국의 선관위별로 집계,발표한 재산등록결과는 후보자의 재산을 등록서류상으로나마 살펴봄으로써 유권자가 투표권을 행사하는 데 간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구후보자 가운데 처음 재산을 공개한 1천1백61명의 재산은 평균 9억2천만원으로 14대 현역의원으로 재출마하는 2백27명(전국구 포함)의 평균 29억1천만원에 비해 3분의 1수준에 불과.지난 14대 국회의원당선자의 재산은 평균 27억원.
재산이 1백억원을 넘는 후보자는 총 28명으로 지역구가 23명,전국구가 5명.정당별로는 신한국당이 12명,국민회의 3명,자민련 7명,무소속 6명.민주당은 1명도 없다.
○…후보등록자의 평균재산액은 정당과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채.
신한국당 지역구후보의 평균은 29억9천여만원으로 4당 가운데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자민련으로 15억9천여만원,국민회의는 8억원,민주당은 4억4천여만원으로 가장 적었다.전국구는 자민련이 42억3천만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국당 22억8천만원,국민회의 11억1천만원,민주당 9억7천만원.
지역별 후보자의 평균재산은 대구가 21억5천만원으로 광주의 4억1천만원의 4배나 됐다.
○…서울에서는 전현대건설회장 종로 이명박후보가 2백62억원으로 1위를 기록한 가운데 관악갑의 이상현후보(신한국당)가 1백71억원,강서갑 유광사후보(신한국당)가 1백15억원,강남갑의 무소속 노재봉후보가 1백6억원으로 1백억원이상만 4명.
30억원이상인 신고자도 동대문을의 김영귀(신한국당),노원을 김용채(자민련),마포을 김충현(국민회의),금천구 이경재(국민회의),영등포을 최영한(신한국당)후보등 12명이었고 강동을 장기욱후보(민주당)는 2천만원을 신고.
○…경기도에서는 자민련 권헌성후보(성남 분당)가 1위를 기록했고 박규식후보(자민련) 2백13억원,김인영후보(수원 권선·신한국당)가 1백80여억원,남평우후보(수원 팔달·신한국당) 1백16억원,김정길후보(용인·국민회의) 1백4억원 등으로 비교적 재력 있는 후보가 많았다.
○…대전·충청권에서는 대덕에서 자민련후보로 출마한 이인구후보가 2백91억9천여만원으로 단연 1위였으나 1백억원대는 없었다.
30억원이상은 대전에서 신한국당 동갑 남재두후보(39억5천만원),신한국당 유성 신현국후보(39억9천만원)등.
충남은 신한국당 천안갑의 성무용후보가 53억3천여만원을 신고했고 보령선거구의 자민련 정석모후보는 33억3천여만원을 등록.
○…강원도에서는 신한국당 강릉갑의 최돈웅후보가 1백85억원,자민련 강릉을 김문기후보가 4백98억여원으로 다른 후보에 비해 훨씬 많은 재산을 등록.
○…광주와 전남에서는 30억원이상을 신고한 후보가 8명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신고액이 적은 편.
신한국당 공천섭후보(익산을)가 97억7천만원을,담양·장성의 국민회의 국창근후보가 96억7천3백만원의 많은 재산을 등록했으며 광주 서구의 신한국당 이환의후보는 46억8천만원,광양의 국민회의 김명규후보도 41억9천만원을 등록서에 썼다.
○…대구·경북에서는 전쌍용그룹회장 김석원후보가 1천2백77억원으로 전국에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무소속 김동권,신한국당 주진우,무소속 이승무후보 등 1백억원이 넘는 후보가 4명이나 됐다.
○…부산·경남지역에서는 눈에 띄는 후보는 울산동의 정몽준후보로 7백85억원을 등록해 전국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부산 금정갑의 김진재후보가 7백3억원등 1백억원이상이 4명으로 집계.
○…후보등록자중에서 1백20여명은 이번 후보등록 때는 따로 재산을 등록하지 않고 확인서만 제출.
이는 지난해 12월31일 당시의 재산액을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이미 공개한 때는 공개확인서로 대체한다는 규정에 따른 것.
○…선관위는 후보자 재산공개에 있어 허위·누락신고를 했더라도 공직자윤리법에 공직선거후보자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어 제재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
재산신고서가 허위로 작성돼 제출되더라도 선관위는 제출된 그대로 공개하게 되며 다만 후보자가 당선을 목적으로 허위·누락신고를 할 때는 허위사실공표죄를 적용할 수는 있다고 선관위는 설명.〈손성진·백문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