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불안땐 안전투자가 최선
주식시장이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여윳돈을 어떻게 활용할 지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는 가진 현금을 몽땅 장·단기,수익성·안정성 상품의 어느 한쪽에 넣었다가는 낭패를 보기 쉽다는 게 재테크 전문가들의 지적이다.2차 금융권 구조조정과 금리인상 조짐,주가하락 등 금융환경이 취약할 때는 더욱 안정적이고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 은행 재테크 담당자들로부터 예금과 채권을 중심으로 한 ‘1억원 투자전략’을 들어본다.
■4,000만원은 1년제 확정금리상품인 정기예금에 넣는다.1년짜리는 금리가 8.0%로 단기상품보다 높고 1년 이상 투자하면 세금혜택도 받을 수 있다.예금자보호대상이 되도록 2,000만원씩 나누어 본인과 가족 명의로 분산 예치하는것이 좋다.
금리상승에 대비해 6,000만원은 단기상품에 넣을 것을 권한다.현재 경제성장 추세나 물가를 감안한다면 단기적으로 금리상승의 요인이 있다는 분석이우세하다.
1개월안에 활용할 수 있는 MMDA(수시입출금식 예금)상품에 2,000만원,2개월과 3개월짜리 안전채권(RP)에 각각 2,000만원씩 4,000만원을 예치해 둔다.시중 금리가 상승한다면 상승추이를 확인한 뒤 확정 이자를 주는 장기상품으로바꾸는 것이 좋겠다.
■4,000만원은 가족 2명 명의로 2,000만원씩 나눠 주택청약정기예금에 가입한다.연8.0∼8.5%의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며 아파트 청약자격도 얻는다.세금우대로 가입하면 1%이상의 금리인상 효과가 있다.
2,000만원은 코스닥 공모주가 우선 배정되는 후순위채 펀드에 가입한다.후순위채 펀드는 코스닥 등록 주식의 10∼20%를 우선 배정받는다.1인당 2,000만원까지는 정기예금과는 별도로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다.4,000만원은 증권사의 머니마켓펀드(MMF)에 가입한다.최고 연 6.5%의 금리를 받을 수 있고 코스닥 공모주를 청약할 수 있다.수시 입출금도 가능하다.
■금융상품에 7,000만원을,주식상품에 3,000만원을 투자한다.
금융상품의 경우 2,000만원은 은행 1년제 정기예금에 넣어 안정적으로 운용한다.2,000만원은 연이율이 11%로 높은 신용협동조합의 정기예탁금에 든다.2,000만원은 실권주 및 공모주 청약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고 금리가 오르면장기예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은행의 3개월 회전 정기예금에 든다.1,000만원은 금리동향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고 실권주와 공모주에도 청약할 수 있는은행 MMDA에 가입한다.
주식상품은 은행 단위형 신탁(전환형) 1년짜리에 2,000만원을 들고 뮤추얼펀드에 1,000만원을 투자한다.
손성진기자 son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