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손성진
    2025-04-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741
  • [근대광고 엿보기] ‘조인’(鳥人) 이기연과 기생 이진봉

    [근대광고 엿보기] ‘조인’(鳥人) 이기연과 기생 이진봉

    이기연(1897~1927)은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1901~1930)에 이은 2호 비행사였다. 1922년 12월 10일 안창남이 금강호를 타고 서울 창공을 누볐던 것처럼 이기연도 1년 후인 1923년 12월 19일 낮 12시 50분 비행기를 몰고 구름처럼 모여든 시민들의 우레와 같은 박수를 받으며 서울 여의도 비행장을 날아올랐다. 한강을 넘어 경성 시내를 한 바퀴 돈 비행기는 은색 종이 8000장을 서울 하늘에 뿌린 뒤 오후 1시 17분쯤 여의도에 착륙했다. 이기연은 원래 자동차 사업가이자 운전사였다. 배재학교에서 2년간 수학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서 3년 동안 자동차를 공부하고 돌아와 자동차 상회를 경영했다. 그에게 비행사가 되라고 권유한 것은 기생이었다. 멋쟁이에다 성품도 호방했던 이기연은 장안의 기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이기연은 대정권번 예기(藝妓) 이진봉을 보고는 한눈에 반해 버렸다. 이진봉은 시조와 서도잡가에 능하고 춤도 잘 추어 돈도 많이 벌고 있었다. 1922년 어느 날 이기연은 “안창남처럼 비행사가 되어 하늘을 마음껏 날고 싶다”고 이진봉에게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이진봉은 이기연에게 일본으로 가서 비행술을 배우라고 적극적으로 권했다. 이기연은 1923년 초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쇼구리 비행학교에 입학했다. 자동차 운전을 할 줄 알았던 이기연은 학교에 간청해 간단한 시험만 보고 실습으로 들어갔다. 남보다 몇 배나 노력한 끝에 입학 6개월 만인 1923년 7월에 초고속으로 학교를 졸업했다. 이진봉은 이기연에게 유학 자금을 아낌없이 보내 줬다. 그해 9월 이기연은 비행사 시험에 응시해 만점으로 삼등 비행사 면허를 땄다. 학교의 도움을 받아 비행기도 한 대 사들였다. 바로 경성 하늘을 날았던 장백호로 안창남이 타던 비행기였다. 1923년 12월 이기연은 매일신보와 경성일보의 초청을 받아 장백호와 함께 귀국했다. 이기연은 군산, 전주, 안동, 경주 등지를 돌며 비행대회를 자주 열었다. 그때마다 신문에 광고도 냈다. 세인들은 이기연을 ‘조인’(鳥人)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연이은 비행을 걱정했다. 이기연의 비행은 생계 유지를 위한 것이라고도 하나 경성비행학교를 설립하는 자금을 모으겠다는 뜻도 있었다. 실제로 비행대회 후원금을 후진 양성에 쓰기도 했고 항공운수회사를 설립하는 데도 사용했다. 그러나 결국 사고가 터졌다. 1927년 6월 1일 장백호가 비행 도중 기관 고장으로 경북 문경 야산에 추락했고 이기연도 사망했다. 유족보다 더 큰 충격을 받은 사람은 후원자이자 연인인 이진봉이었다. 그녀는 슬픔을 참으며 이기연의 동생과 문경으로 내려가 시신을 수습했다고 한다(국립항공박물관, ‘조인(鳥人) 이기연’).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성교육을 빙자한 19금 도서

    [근대광고 엿보기] 성교육을 빙자한 19금 도서

    “여자의 육체의 구조, 성적(性的) 작용, 성욕 발작 등을 노골적으로 설명한 최신판.” ‘처녀급(及·그리고) 처(妻)의 성적 생활’이라는 제목의 책 광고에 나온 설명이다. 성교육 도서인 것처럼 포장했지만 내용을 보면 도색 잡지와 다름없다. ‘성학(性學) 대가 택전순차랑(澤田順次郞) 선생’이라는 일본인이 저자로 돼 있고 판매처는 도쿄에 있는 정사서점(正社書店)으로 나와 있다. 일본에서 우편으로 판매했다는 말이다. 광고에 나온 책 내용을 보면 ‘여자 생식기 도해, 처녀의 유방과 ○부, 처녀와 비처녀를 간이하게 아는 법, 처녀의 수음과 성욕’ 등 읽기에도 민망하다. 그러면서 “상세한 그림으로 해부해서 설명한 ‘쾌작’(快作)이라며 타인에게 묻지 못할 일이 명료해진다”고 선전했다. 때는 20세기에 접어들었지만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유교 관념이 여전히 존재했을 1920년대에 비록 광고지만 조선의 양반 독자들은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일제는 공창을 허용했듯이 이런 도서의 판매도 묵인하면서 섹스 산업을 통치 수단으로 활용했다. 같은 저자가 썼다는 ‘남녀 생식기 상해(祥解)’도 남녀 생식기 구조 기능, 생리의 전반, 임신, 피임을 밀화(密畵)로 누구든지 알기 쉽게 했다며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수위가 더 높은 책들도 있다. 발행 당일에 3000부가 매진됐다는 ‘근래 대평판의 서(書)’라는 ‘아귀도’(餓鬼道) 광고는 내용이 노골적이고 적나라해 목차를 생략하니 양해해 달라고 했다. 즉 변태성욕을 다루었다는 말이다. 아귀도의 다른 광고에서는 변태적인 성행위를 그림으로 덧붙였다. 여성이 밧줄에 온몸이 묶인 남성을 채찍질하는 그림이다. 그림 옆에는 이런 설명이 붙어 있다. “우선 이성의 의복을 벗기고 채찍질하거나 자상(刺傷·찔러 상처를 냄)하여 좋아하는 이성을 학대하고 그 고통의 상태를 보면 욕정은 만족함.” 당시에는 말을 꺼내기도 어려웠을 성생활을 다룬 도서도 광고했다. ‘성욕과 성교의 신연구’라는 제목의 책 광고에는 “성교는 인생의 기초, 하늘의 사명이요, 더불어 인생의 최대 쾌락이외다”라고 씌어 있다(매일신보 1924년 3월 7일자). 이 무렵부터 나체 여성 화보집도 일본에서 광고를 통해 유입되기 시작했다. 매일신보 1924년 1월 11일자 광고를 보면 “꽃 같은 미인이 적나라하게 드러낸 풍만한 육체의 곡선미와 미술적이고도 노골적인 자태는 황홀하여 자연히 눈물을 흘리게 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혀 있다. 노출 수위는 알 수 없지만, 오늘날의 여성 반라(半裸) 화보집 수준일 것이다. 그 정도로도 100년 전 사회 풍속과는 맞을 수 없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길섶에서] 여가 활용법/손성진 논설고문

    즐길 만한 유희(遊戱)들이 없어지고 보니 문득 옛 사람들은 무엇을 하며 여가를 보냈을지 궁금해진다. 흔히 남자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여가 활동을 주색잡기(酒色雜技)라고 하는데 술, 여자, 도박을 뜻할 것이다. 현대에도 별반 다르지 않다. 되도록 피해야 할 그런 것들 말고도 건전한 오락 생활과 운동 수단, 휴식이 있지만 등산 등 실외에서 할 수 있는 활동 말고는 대부분 정지됐다. 휴일에도 먹고 낮잠 자고, 멍하게 TV를 쳐다보고 또 먹는 무의미한 하루를 보내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금쪽같이 귀한 시간인 줄 알면서도 따지고 보면 헛되이 보내는 시간이 지금도 유수처럼 지나간다. 가고 나서 뒤돌아 보면서 아쉬워하고 후회할 시간임이 분명한데 흘러가는 시간을 뻔히 보면서도 막상, 딱히 할 것이 없다고 한다. 혼자 있는 시간, 남는 시간을 잘 보내야 한다는 게 성현(聖賢)의 가르침일진대 답은 독서와 명상, 그를 통한 자기 성찰이 아닐까 한다. 좋은 책을 골라 하루에 몇 시간씩 읽고 나면 세월이 흘렀을 때 과거를 덜 후회할 듯하다. 방탕에 빠지지 않고 툇마루에 앉아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며 고전을 읽는 옛 선비의 모습을 그리며 배우려 한다.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무궁화 상표를 쓴 천일약방 ‘조고약’/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무궁화 상표를 쓴 천일약방 ‘조고약’/손성진 논설고문

    위생 환경이 좋지 못하던 시절에 몸에 자주 생기던 질병이 종기(부스럼)였다. 의학적으로는 ‘모낭에서 발생한 염증성 결절’을 말한다. 세종, 문종, 성종, 효종, 정조 등 조선 왕들도 종기 때문에 고통을 받았다. 종기의 원인은 불결 외에도 스트레스인데 왕들이 이 병에 많이 걸렸던 이유는 바로 업무성 스트레스였다고 한다. 종기를 치료하는 고약(膏藥) 하면 떠오르는 게 1905년에 발매된 우리나라 ‘전통의약 1호’ ‘이명래 고약’이다. 서울 중구 중림동에서 제조됐던 이명래 고약은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돼 있고 지금도 밴드 형태로 팔리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이명래 고약보다 뒤에 나왔지만, 더 이름을 떨쳤던 고약이 ‘조고약’(趙膏藥)이다. 위 광고를 보면 ‘됴’라는 글자를 가운데에 넣은 무궁화 문양이 조고약의 상표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상표가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꽃잎 다섯 개가 선명한 무궁화를 쓴 것은 천일약방이 민족기업이라는 사실을 은연중에 보여 주는 셈이다. 본포(본점)는 예지동에 있었는데 광장시장 바로 옆이다. 1913년 문을 연 천일약방의 창립자는 한의사로서 의생(醫生) 면허를 받고 외상 환자를 다루는 종의(腫醫)로 활동한 조근창이었다. 그의 아버지 조정형은 청계천 근처에서 서당을 연 선비로 예로부터 내려오던 고약 비방을 아들에게 전해 주었다. 조근창은 약방을 세우고 생약학자들을 모셔와 자신의 호를 따 계농생약연구소를 차릴 정도로 전통 의학에 대한 열정이 강했다. 천일약방은 1918년 우리나라에도 유입돼 지금의 코로나19처럼 창궐한 스페인 독감 때문에 사세가 커졌다. 다른 약방들의 약품은 모두 동났는데 천일약방은 해열제 등 약을 많이 만들어 놓아 큰돈을 벌었다고 한다. 천일약방은 조근창의 아들 조인섭 대에 와서 조고약의 선풍적인 인기와 ‘영신환’ 개발, 약제 무역 등으로 규모가 더욱 확장됐고 주식회사 천일제약으로 발전했다. 조인섭은 1910년에 휘문고보를 1회로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견문을 넓힌 뒤에 돌아와서 아버지의 약방을 물려받아 약품 개발에 힘을 쏟고 한약 무역을 시작했다. 본점 외에 황금정(을지로), 대구, 평양, 광주에 지점을 두었고 50여곳의 대리점과 1400여곳의 특약점, 1만여곳의 소매점을 거느렸다. 일본 오사카, 중국의 톈진·상하이, 홍콩, 대만 등지에도 지사를 설치했다. 특히 조고약은 장안에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1936년 12월 1일자 잡지 ‘삼천리’는 조고약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전 조선뿐 아니라 해내해외(海內海外)에 널리 그 명성이 선전되고 또 애용되어(…) 매월 수만 포가 팔리고 전 조선 각지에 동약(同藥)을 팔지 않는 약방이 없어(…).”
  • [근대광고 엿보기] 화신 창업자 종로 거상 신태화/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화신 창업자 종로 거상 신태화/손성진 논설고문

    일제강점기 때 화신백화점을 창업하고 1970년대에 ‘화신 소니’라는 전자제품 회사를 만들었던 박흥식(1903~1994)은 걸출한 기업가였다. 거금을 국방비로 기부하는 등 일제에 적극 협력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기도 하다. 박흥식에게 ‘화신상회’라는 사업체를 넘겨줘 사업가로 비상하도록 발판을 만들어 준 사람이 신태화라는 기업가였다. 즉 화신상회는 화신백화점의 전신이고, 화신이라는 상호는 신태화가 만들었으며, 화신의 원래 창업자는 신태화인 것이다. 1877년 남촌의 무인 집안에서 태어난 신태화는 가세가 기울어 12살 때 서울 종로의 금은방에 들어가 일을 배웠다. 7년 동안 머슴처럼 일하며 기술도 배운 신태화는 18살 때 40원으로 남대문로에 세공업 가게를 열었다. 때마침 화폐개혁의 혼란에 따른 전당포업의 성황은 신태화에게 날개를 달아 주었다. 전당포에서 흘러나온 금은붙이를 헐값에 사들여 수리해서 팔아 큰돈을 벌기 시작했다. 1908년 신태화는 김연학이라는 투자자를 영입해 신행상회라는 세공업체 겸 판매점을 세웠다. 1911년 5월 27일자 매일신보 광고에는 신행상회 주소가 동현(銅峴·을지로) 22통 2호로 나와 있다. 신태화는 동현전당포라는 이름으로도 광고를 냈는데 겸영한 것으로 보인다. 신태화는 신문광고를 활용해 판매를 늘리고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1918년 4월 신태화는 김석규(김연학의 아들)와 결별하고 종로 네거리에 있던 2층 건물에 화신상회 간판을 걸고 독자 경영을 시작했다. 자신의 이름 마지막 글자 화(和)와 신행상회의 신(信)을 따서 상호를 지었다고 한다. 화신상회가 있던 곳엔 나중에 화신백화점이 들어섰고 지금은 종로타워가 있다. 화신상회는 세공사 60여명을 두고 반지, 귀고리, 금비녀 등 여성 패물과 은수저, 은쟁반, 주전자, 문방구 등을 만들어 팔았다. 잘나가던 신태화의 발목을 잡은 것은 은 투기였다. 은값이 계속 오른다는 정보를 접한 신태화는 거금을 들여 은을 사모으기 시작했다. 을지로에서 선일지물포를 경영하고 있던 박흥식에게서도 6만원을 빌려 은을 매입했다. 그러나 그의 예상과는 달리 은값은 폭락하고 만다. 박흥식에게서 빌린 돈은 이자가 원금을 넘어섰다. 결국 1930년 무렵 신태화는 힘들게 일군 화신상회를 36만원에 박흥식에게 넘겨주었다. 박흥식은 1931년 9월 15일 자본금 100만원의 주식회사 화신을 창립, 백화점 사업을 개시했다. 신태화는 그 후 1934년 남대문통 1정목 6번지에 포목 영업점인 태성상점을 열어 재기했다. 그러나 이 사업도 부진해 4년 만인 1938년 2월 문을 닫았다. sonsj@seoul.co.kr
  • [길섶에서] 흰 눈/손성진 논설고문

    흰 눈처럼 살고 싶었으나 얼룩덜룩 정갈하지 못했고 어쩔 수 없이 숨을 곳이 필요했는데 그때마다 받아 준 것은 흰 눈이었다. 바라보기도 눈부시게 하?던 흰 눈은 거무튀튀한 나를 고이 덮어 주었다. 감히 따를 수 없는 흰 눈. 만들어지자면 구름이 극한의 추위를 견뎌야 하는데 태생부터 닮기 어려운 존재였다. 근본은 얼음이면서도 저리 따듯한 내강외유(內强外柔)는 짧은 수양으로는 흉내 내는 것조차 욕심이었다. 새털보다 가벼운 것을 삭풍이 마구 휘젓더라도 몸을 내맡기고는 어느 산천에 내려앉더라도 불평하지 않는 흰 눈. 그곳이 비록 더러운 오물로 가득 찬 속세의 한가운데라도 기꺼이 천사처럼 감싸 준다. 창공에서 흰 눈이 본 세상은 전쟁, 분열, 증오, 질병으로 지옥 아닌 지옥이었고 인간은 피투성이처럼 널브러져 있었다. 흰 눈이 스르르 스며 인간의 검은 속을 백화(白化)해 줄 수 있다면 더없이 좋으련만 흰 눈은 생명이 몹시 짧은 것을 한탄했다. 한심한 세상과 인간이 답답해서인지 흰 눈은 오랫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서울 같은 오염도가 높은 곳일수록 더욱. 그래도 새해에는 흰 눈을 자주 보고 싶다. 잠시라도 백학보다 더 순백한 흰 눈을 맞는다면 사소한 것을 놓고 다투는 우리의 마음도 조금이나마 정화되지 않을까. sonsj@seoul.co.kr
  • [손성진 칼럼] 선출된 권력과 법치주의

    [손성진 칼럼] 선출된 권력과 법치주의

    “국민이 선출한 권력을 정지시킨 사법 쿠데타다.” 윤석열 검찰총장의 징계 효력 정지와 관련한 판결을 놓고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렇게 말했다. 민주주의의 근본을 부정하는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이 말이 얼마나 부당한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를 대입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탄핵이 ‘국민이 선출한 권력을 정지시킨 헌법 쿠데타’일까.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무죄 취지 파기환송 판결에 대해서는 “천만다행”이라며 재판부에 고마워했던 그다. 성에 차는 판결은 좋아라 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공격하며 사안에 따라 감탄고토하는 행태에서 김두관의 발언은 이미 합리적 상식에서 벗어났다. 그저 자신만의 단견에 빠진 아시타비(我是他非)이며 내로남불이다. ‘윤석열 탄핵론’을 굽히지 않으며 여당 지도부까지 곤혹스럽게 하는 김두관의 오버페이스는 추미애 법무장관처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마음의 빚을 갚겠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2012년 민주통합당 대선 예비경선 합동연설회에서 당시 김두관 후보가 “참여정부는 실패했다”고 문재인 후보를 난타했던 빚이다. 민주주의는 입법·행정·사법 삼권의 ‘견제와 균형’ 속에서 어느 한쪽의 독주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사법권은 삼권 중에서 가장 취약하다. 김두관의 말처럼 입법부와 행정부(대통령)는 ‘선출된 권력’이지만 사법부는 그 선출된 권력에 의해 구성원이 임명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최고권력이 소속된 행정부는 사법부를, 때로는 입법부까지 흔들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 박정희의 유신체제는 사법부를 권력의 시녀로 만들어 인혁당 사건 같은 ‘사법살인’을 저질렀다. ‘선출된 권력에게 감히…’라는 김두관의 인식은 사법부를 또다시 행정·입법부의 시녀로 만들겠다는 매우 위험하고 시대착오적이다. 선출된 권력은 국민의 선택이라는 정당성을 갖지만, 결과까지 정당성을 보장할 수 있는 권력은 아니다. 갖은 수단에 의해 국민이 호도당한 때문이긴 하지만 유신헌법은 국민 91.5%의 찬성으로 탄생했다. 대의민주주의는 다수결의 원칙에 의해 굴러간다. 그러나 소수의견을 존중한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 1%만 앞서도 다수가 되는데 그 다수가 다수의 힘을 앞세워 소수를 무시하고 탄압한다면 민주주의는 붕괴되고 만다. 오늘날 민주주의는 대부분 ‘합법적 선출’에 의해 파괴된다고 주장한 책이 있다. 하버드대 정치학과 교수 스티븐 레비츠키와 대니얼 지블랫이 펴낸 ‘민주주의는 어떻게 무너지는가’다. 국민이 자발적으로 뽑은, 선출된 권력이라고 해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절대선은 아니다. 선거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의 허점이 노출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십 년 전이다. 레비츠키와 지블랫은 “자유민주주의는 형식적 법치주의만으로는 지킬 수 없으며 무엇보다 민주적 규범의 핵심인 상호 인정 및 존중(mutual tolerance)과 권력의 절제(forbearance)가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그 규범들이 무너질 때 민주주의도 함께 허물어진다는 것이다. 선출된 권력, 우리의 ‘초거여’(超巨與)는 권력의 맛에 심취해 오만과 독선의 늪에 빠졌다. 절제는 찾아보기 어렵고 상대방을 인정하고 존중할 줄 모르는 것은 불행히도 두 학자의 지적에 어긋남이 없다. 다수 정파가 다수 국민의 대의(代議)를 행하면서 소수 정파를 적으로 모는 것은 소수 국민을 적대시하는 것과 같다. 선출된 초권력은 그러면서 민주주의의 근간인 삼권분립을 해친다. 김두관의 주장은 그럴 가능성이 없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국민이 선택했지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법률은 물론 헌법도 바꿀 수 있는 구조다. 초권력하에서는 민주주의의 근본 원리인 법치주의도 혼란스러워진다. 법치주의는 사람이 아닌 ‘법의 지배’(rule of law)를 뜻하는 말이지만 정권마다 아전인수 격으로 오남용하고 있다. 법치주의란 용어를 가장 자주 쓴 정권은 이명박·박근혜 정권이다. 최고권력자도 법 위에 군림할 수 없고 법을 지켜야 한다는 것인데 국민에게 법을 지키라고 윽박지르는 것처럼 들렸다. 법을 수단으로 이용해 국민을 다스리는 것은 ‘법에 의한 지배’(rule by law)다. 반면에 법의 지배는 통치 권력이나 의회가 법의 테두리 안에서 권력과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 정부나 국회가 과연 법치주의를 제대로 알고 수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도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 김구·이동녕 등 요인 뒷바라지 26년… 살림 도맡은 ‘임정의 어머니’

    김구·이동녕 등 요인 뒷바라지 26년… 살림 도맡은 ‘임정의 어머니’

    “임정의 살림은 석오장(이동녕)과 백범(김구) 몇 분이 거의 다 짊어지다시피 한 상태였는데 돈이 바닥날 때가 많았고 그럴 때면 그야말로 끼니가 간데없어 이 집 저 집을 돌아다니면서 한 술씩 얻어 드시기까지 했다.”(‘장강일기’·정정화) 정정화 선생은 1920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1946년 귀국할 때까지 임시정부 살림을 책임지고 요인들을 뒷바라지한 ‘임시정부의 안주인’이었다. 김구, 이동녕, 이시영 등 임정 요인들 가운데 선생이 지어 준 밥을 먹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김구는 여기저기 다니다가 “나 밥 좀 해줄라우” 하면서 찾아오곤 했다. 그러나 임정의 살림은 늘 궁핍해서 하루하루 끼니를 걱정할 정도였고 그럴 때마다 선생은 자신의 잘못인 듯 애간장을 태웠다.선생은 1900년 8월 3일 수원 유수를 지낸 정주영의 2남 4녀 가운데 셋째 딸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고향 충남 예산에 많은 땅을 가진 부자였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신식 학교에 다니지 못했다. 그러나 어깨너머로 천자문과 소학을 떼었고 성인이 돼 영어와 신학문을 공부해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에게 뒤지지 않았다. 선생의 인생은 겨우 열 살에 동농 김가진의 3남 김의한과 결혼하면서 완전히 바뀐다. 김가진은 황해도 관찰사, 농상공부 대신 등을 지낸 구한말의 문신이었다. 그러면서 대한협회 회장을 맡아 국권 회복에 앞장서고 경술국치 후에도 대동단을 결성해 총재로 활동한 우국지사였다. 3·1운동 직후인 1919년 10월 김가진은 아들 김의한과 중국 상하이로 망명,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는 대한제국 대신 가운데 유일하게 독립운동에 뛰어든 인물이다. 시아버지와 남편의 중국행을 뒤늦게 안 스무 살의 ‘겁 없는 여인’은 이듬해 1월 서울역에서 기차를 타고 일제의 눈을 피해 단신으로 상하이로 갔다. 가자마자 접한 것은 독립운동이라는 대의명분보다 먹을 것마저 부족한 가난이었다. 상하이 임정 가족들의 생활은 주먹덩이밥과 한두 가지 반찬으로 때울 정도로 어려웠다. 누구나 값싼 천으로 만든 중국 의복 창산(長衫)을 걸치고 헝겊신을 신고 다녔다. “이름, 명예, 자존, 긍지보다는 우선 급한 것이 생활이었다. 포도청 같은 목구멍이었다. 머리를 내밀고 팔다리라도 내놓을 만한 누더기 한자락이 절실했던 것이다.”(‘장강일기’)●외동아들 김자동, 현재 기념사업회장 맡아 홀몸으로 중국에 건너왔듯이 선생은 중국에 온 지 겨우 달포쯤 지난 후 홀로 독립운동 자금을 구하러 국내로 잠입하겠다고 ‘당돌한’ 결정을 내린다. 갓 스물의 당찬 아낙네는 체포의 위험을 무릅쓰고 3·1운동 직후 일제의 서슬이 퍼렇던 국내로 숨어들어 왔다. 임정의 지시를 따라 이곳저곳을 다닌 끝에 충분하지는 않았지만 돈을 구해 중국으로 돌아왔다. 두 번째도 돈을 구해 무사히 귀환했지만 세 번째에는 일제에 붙잡히고 말았다. 동행인이 장담하는 바람에 인력거를 타고 압록강을 건너다 체포돼 신의주 경찰서로 끌려가 이틀 동안 고초를 당한 후 풀려났다. 그로부터 얼마 후인 1922년 7월 4일 일흔이 넘은 나이에 독립운동에 투신했던 시아버지 김가진이 세상을 떴다. 네 번째로 국내에 들어왔을 때 독립운동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던 친정아버지가 별세했고 선생은 상을 치른 후 1923년 7월 다시 상하이로 돌아갔다. 선생은 1928년 외동아들 김자동을 낳았다. ‘영원한 임시정부’ 소년으로 불리는 김자동(92)은 광복 후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으며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을 번역하기도 했다. 현재는 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을 맡고 있다. 망명 10년째이던 1929년 7월 선생은 여섯 번째로 다시 고국 땅을 밟은 뒤 1년 6개월간 체류했다. 하지만 국내의 분위기는 지인들도 선생을 냉대할 만큼 변해 가고 있었다. 1931년 초 선생은 다시 상하이로 돌아가면서 독립이 되기 전에는 귀국하지 않겠다고 마음먹었다. 윤봉길 의사 의거 후 임정은 일제의 체포를 피해 상하이를 탈출, 자싱(嘉興)으로 옮겨 갔다. 선생은 그곳에서도 임정 요인들과 식구들을 챙겼다. 김구는 남호라는 호수의 배 안에서 은신했다. 김구에 대한 추적이 강화되자 임정은 김구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를 가흥으로 모셔 왔다. 선생은 곽 여사의 가르침을 따르면서 김구의 식구들을 보살폈다. 한번은 곽 여사의 생신 때 비단 옷을 사다 주었는데 곽 여사는 “지금 우리가 이나마 밥술이라도 넘기고 앉았는 건 온전히 윤 의사의 피값이야. 피 팔아서 옷 해 입게 생겼나”라고 야단을 치며 물려오라고 했다.●20여년 모셨던 이동녕 선생 임종 끝까지 지켜 그 무렵인 1935년 11월 선생은 임시정부 여당으로 창립한 한국국민당에 가입했다. 독립운동 단체에 적(籍)을 두게 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임정과 지도부는 후난(湖南)성 창사(長沙)로 옮겨 갔다. 선생은 이시영을 모시고 살았다. 그런데 이듬해 5월 우익 3당 통합 회의 도중 이운환이 3당 대표들에게 권총을 발사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김구는 중상을 입었고 현익철은 병원에 도착하자마자 절명하고 말았다. 이들을 간호하고 보살핀 것은 선생이었다. 일본의 공격이 거세지자 임정은 또다시 창사를 떠나 광주를 거쳐 포산(佛山)으로 옮겨 갔다. 1938년 가을부터 선생은 임정의 안살림을 본격적으로 맡게 됐다. 딸린 가족이 없는 이동녕 등 국무위원들을 수발하며 살았는데 선생은 혼자 망명 생활을 하던 너덧 사람을 광복이 될 때까지 모셨다. 포산 생활도 잠시였고 임정 식구 100여명은 일본군의 공습을 받으며 기차로, 배로 목숨을 건 피난을 계속했다. 힘든 여정 속의 뒷바라지는 선생의 몫이었다. “밥은 배 위에서 삼시 세끼를 다 해먹을 수밖에 없었다. (…) 국무위원 전원을 돌봐 드려야 했으므로 (…)육지로 올라가서 시장을 봐 오는 것도 일 중의 하나였다.”(‘장강일기’) 임정 식구들은 한 달 열흘을 배 위에서 지내기도 하는 등 장쑤성에서 출발한 후 장장 5000㎞의 대장정 끝에 치장(江)에 도착했다. 치장에서도 선생은 궂은일을 도맡아 하며 안주인 역할에 최선을 다했다. 1940년 3월 선생이 아버지처럼 여기며 20여년 동안 모셨던 이동녕이 별세했다. 마지막 열흘 동안 곁을 지킨 사람도 선생이었다.치장 근처 충칭(重慶)으로 옮긴 임시정부는 1940년 5월 한국독립당을 창당하고 광복군을 창설해 당·정·군 체제를 갖추었다. 정정화도 한국독립당 창립 당원이 됐고 같은 해 6월 한국독립당 여성 조직인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 간사로 선출됐다. 1941년 1월 임정 가족들은 충칭 근처의 투차오(土橋)로 이사해 5년 동안 모여 살았다. 여기서도 선생의 역할은 컸다. 특히 남편이 일제에 체포된 부인과 가족들의 바느질도 해 주며 보살폈다. 외국 손님 접대 등 임정의 큰일도 총책임을 맡았다. 장준하 등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병 출신 청년 50여명을 위해 선생은 투차오의 교회 강당을 개조해 임시 막사로 제공하고 동생처럼 돌봤다. 1943년 2월 한국애국부인회 재건대회에서 선생은 훈련부 주임으로 선임됐다. 한국애국부인회는 국내외 동포 여성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며 독립운동 참여를 호소하고 광복군을 위문하는 등 독립운동 지원 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여 갔다. 그러던 중 선생은 투차오에서 광복을 맞았다. 선생은 임정 요인들이 충칭을 떠나고 나서도 투차오에 남아 뒤처리를 마치고 이듬해 5월 9일에야 그리던 조국 땅을 밟았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8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임정 요인들은 선생의 정성 어린 뒷바라지에 힘든 투쟁 속에서 힘을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26년이라는 기나긴 임시정부의 타국살이도 선생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글· 사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기생들의 얼굴 광고

    [근대광고 엿보기] 기생들의 얼굴 광고

    일제강점기에 해마다 새해가 되면 하정(賀正) 또는 근하신년(謹賀新年)이라는 제목 아래 신년 축하 광고가 여러 신문의 지면에 실렸다. 평소에 광고를 하던 방직회사, 고무회사 등 크고 작은 기업이나 양화점, 약방, 정미소, 음식점 등 자영업자들의 광고가 대부분이었고 그 밖에도 은행, 종교단체, 변호사, 병원, 서점 등 매우 다양한 단체나 직종의 종사자들이 광고를 실었다. 명함만 한 것부터 그보다 더 크거나 작은 사각형 모양에 상호와 이름, 전화번호를 적는 형식의 광고였다. 새해 첫날에만 광고를 싣다가 시간이 갈수록 광고 물량이 늘어났는지 1주일 동안 축하 광고를 싣는 해도 있었다. 매일신보에는 광고 물량은 적은 대신 ‘함경도 도청 직원 일동’, ‘북청경찰서 직원 일동’, ‘평양감옥 직원 일동’, ‘진남포 우편국 직원 일동’과 같이 도청, 경찰서, 감옥 등 관공서의 광고가 눈에 띄는데 총독부 기관지라는 이유 때문일 것이다. 매일신보 1923년 1월 7일자 7면에는 전남 장성·담양군, 함남 갑산군 등의 군수와 면장과 면직원들의 작은 광고들이 광고란을 장식했다. 그런데 그 바로 밑에 ‘전주 기생 일동’이라고 적힌, 다른 신문에서는 볼 수 없는 기생 광고가 실려 눈길을 끈다. 병풍 그림 같은 각각의 수묵화 위에 11명의 기생 실물 얼굴이 게재됐다. 스무 살이 되지 않은 앳된 얼굴부터 서른 안팎의 나이 든 기생까지 모두 한복에 비녀를 꽂은 모습이다. 박화중선(朴花中仙), 황소월(黃素月), 김하엽(金荷葉), 송진주(宋眞珠), 정유선(丁遊仙), 박백운선(朴白雲仙) 등의 이름도 같이 밝혔지만, 그 밖에는 어떤 설명도 없다. 일제강점기에 기생들이 적을 두었던 조합을 권번(券番)이라고 했는데 이들은 아마도 전주권번 소속일 것이다. 광교기생조합처럼 권번의 이름으로 광고를 내는 일은 드물지 않았지만, 기생의 얼굴 실물과 이름을 공개한 광고는 흔치 않았다. 물론 그 후에는 기생 개인이 변호사처럼 ‘개업광고’를 내는 일도 있기는 했다. 당시 기생은 오늘날의 유흥음식점 접대부와는 다른 개념이었다. 판소리를 하고 민요를 부르는 국악인이기도 했고 전파 방송이 없던 시대에 일종의 연예인이기도 했다. 물론 손님에게서 봉사료(화대)를 받는 접객 활동을 했어도 지금보다는 사회적으로 떳떳한 직업이었고, 그랬기에 광고에 얼굴을 공개하는 것도 가능했을 것이다. 같은 해에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는 이 광고가 보이지 않는다. 권번의 주요 고객은 관청에 소속된 공직자였고 그들이 좀더 자주 접했을 매일신보는 기생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더 나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는 매체였을 수 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관제(官製) 연탄

    [근대광고 엿보기] 관제(官製) 연탄

    “평양 석탄과 일본 석탄을 많이 무역하여 서울 용산 제물포에 지점을 벌이고 큰 장사를 하는데(…) 올에는 일본 석탄이 작년보다 비싼 고로 미리 주문하면 싸게 살 터이요 평양 무연탄도 풍범선으로 많이 실어다가 파니 누구든지 겨울에 쓸 석탄을 미리 와서 주문하시면 상등 석탄을 싸게 살 터이니 속히 와서 주문하시오.”(독립신문 1897년 9월 11일자) 석탄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19세기 말로 추정된다. 위 광고에 나오듯이 일본에서 수입하기도 했고 1896년 무렵 평양 근처에서 처음으로 채굴했다고 한다. 조선 왕실의 재산을 관리하는 내장원이라는 관청이 기비레라는 프랑스 기술자와 매년 3000원(元)을 주고 평양 무연탄 3000t을 채굴하는 5년짜리 계약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있다(황성신문 1903년 9월 12일자). 매년 3000t이라면 그때도 석탄 사용량이 상당히 많았다는 말이 된다. 광해관리공단에 따르면 당시에는 석탄(무연탄)을 가공하지 않고 가정이나 대장간에서 그대로 불을 붙여 썼고 화물선 연료 등 동력원으로도 사용했다고 한다. 일제는 평양 탄광(사동 탄광) 채굴권을 조선 정부에서 빼앗은 뒤 평양광업소를 설치해 캐 낸 석탄을 주로 일본 해군 연료로 사용했다. 이후 1923년에는 조선총독부가 지질 조사를 시작해 1936년 강원도 태백 지역(현 장성광업소)에서 처음 탄광을 열었다. 19세기 말 일본 규슈 지방 모지시에서 주먹만 한 석탄에 구멍을 내 목탄 대신 사용한 것을 연탄의 효시로 본다. 구멍이 뚫린 모양이 연꽃 열매를 닮아 ‘연꽃 연탄’ 또는 ‘통풍탄’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1907년 일본에서 연탄 제조기가 발명돼 본격적으로 연탄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평양광업소가 제조한 관제(官製) 연탄이 서울과 평양 등 대도시에 처음 보급됐다. 위 광고에 나오는 관제 연탄은 일본식 연탄과 다른 벽돌 모양의 무연탄에 구멍을 두세 개 낸 2공탄, 3공탄 형태였다. 주로 일본인 가정에서 사용했고 일부 한국인 가정도 연탄을 연료로 썼다고 한다. 광고에는 ‘평양 해군 연료창 제품’이라고 명시했다. 또 ‘신속 배달’ 한다고 하면서 ‘하명차제(下命次第·명을 내리면 순서대로) 즉시 배달함’이라고 설명을 덧붙이고 있는데 이는 일본인을 상대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 준다. 1930년대에는 부산에서 일본인이 경영하는 삼국상회가 9공탄을 만들었지만, 이 또한 일본인 가정이나 산업용이었다. 광복 후 1947년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최초의 연탄 제조업체인 대성산업공사가 출범함으로써 우리 국민도 비로소 연탄의 혜택을 보게 됐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길섶에서] 세월/손성진 논설고문

    뜻도 없고 덧도 없이 흘러버린 시간은 승객도 없이 무작정 종착역을 향해 달리는 야간열차처럼 허망했던 한 해의 마지막으로 치닫고 있다. 휘몰아치는 눈바람도 낭만의 세레나데로 아름답게 받아들일 줄 알았던 여유는 지금 우리에겐 없다. 크리스마스트리의 반짝임에도, 구세군의 종소리에도 무감해져서 멍하게 지나친다. 선악이 뒤엉켜 살기에 그럴까. 세상은 참으로 만만하고 호락호락한 게 아닌 것 같다. 악의 종자(種子)는 앞을 보지 못하는 게으른 인간을 일깨우듯이 회초리를 내리쳤다. 첨단의 기술을 만들어 낸 인간이 눈에 보이지도 않는 하찮은 미물에 이토록 무기력할까. 제아무리 혹독하다 한들 그 또한 지나가고 생채기 같은 흔적만을 남길 것이다. 고통의 시간은 영겁(永劫)의 세월에 비하면 한 줌 티끌에 불과할 것이고. 저 하늘의 별은 여전히 찬란하다. 아침이면 어김없이 해는 뜨고 천지를 다사롭게 비춘다. 깊이 내쉬었던 한숨 속에서도 우리가 몰랐던 능력과 인내심을 확인한 것은 소득이었다고 생각하자. 얼어붙은 한겨울 동토의 밑바닥에도 꽃의 시간이 영글고 있다. 서로 믿고, 사랑하고 웃음을 잃지 않을 때 꽃은 언젠가 봉오리를 피워 올릴 것이다.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일제강점기의 복합쇼핑몰, ‘종로권상장’/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일제강점기의 복합쇼핑몰, ‘종로권상장’/손성진 논설고문

    1922년 서울 종로에 ‘종로권상장(勸商場)’이라는 서양식 2층 건물이 들어섰다. 위치는 지금의 종로4가 교차로에서 원남동으로 들어가는 창경궁로 입구 왼쪽, 혜화경찰서 맞은편이다. 현재 귀금속 상가들이 입점한 세운스퀘어가 들어서 있다. 1922년 3월 10일 자 입찰 광고를 보면 종로권상장은 대욕장, 영화관, 오락실과 한식, 일식, 양식, 중식을 비롯한 각종 음식점, 상점 등을 갖추었다. 백화점, 영화관, 음식점, 오락실, 찜질방 등을 갖춘 요즘의 복합쇼핑몰과 흡사하다. 점포 수만 130개이며 전깃불이 4만촉으로 불야성을 이룬다고 선전하고 있다. 정직· 염가의 정찰제를 실시하며 광고 제목에 경성의 낙천지(樂天地), 즉 파라다이스라고 적었다. 부지 면적은 780평이며 1층은 점포, 2층은 영화관과 전시관 등의 무료 여흥장으로 활용한다고 홍보했다. 권상장은 1922년 6월 29일 영업을 시작했다. 1930년 문을 연 미쓰코시 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보다 8년 앞섰다. 권상장이라는 복합 용도 건물의 모델은 일본 메이지, 다이쇼 시대의 권공장(勸工場)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권공장은 통로 양쪽에 진열판매대를 놓고 작은 상점들이 늘어서 있었으며 정원이나 찻집 외에도 부가쿠(舞樂)나 노가쿠(能樂)와 같은 공연을 하는 공간도 있는 도시 유원지 같았다고 한다(백두산, ‘식민지 조선의 상업·오락 공간, 종로 권상장 연구’). 권공장 건물 가운데에는 종탑이 있었는데 종로권상장도 동일하다. 1920년대 극장 입장료는 10~30전 정도였는데 서민에게는 비싼 가격이었다. 종로권상장은 무료를 표방했다. 물론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상술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무료 약속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2층 공연장을 흥행단체에 대여했거나 특별한 전시를 했을 때는 관람료를 징수했던 것으로 보인다. 1922년 11월 광고에는 ‘종로권상장 오락관’이라는 명칭하에 조선청년단의 신파극과 함께 ‘약산운경(若山耕雲) 선생의 대선술(大仙術)’을 홍보한다. 대선술은 열철긴악술(熱鐵緊握術), 육체침자술(肉體針刺術), 인신점화술(人身點火術) 등의 부가 설명으로 볼 때 차력 시범으로 보인다. 조선청년단은 짤막한 코미디나 신파극의 한 대목을 공연했던 것으로 추측된다(동아일보 1922년 11월 16일 자). 말하자면 종로권상장의 공연과 전시는 수준이 높지 않았고 찾는 이의 시선과 흥미를 끌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1928년부터 권상장은 광무대 공연장으로 바뀌어 구극을 공연하기 시작했다. 1930년에는 확장 공사를 통해 극장, 댄스홀, 카페 9곳이 늘어선 미인가(美人街) 등이 들어섰다.
  • [근대광고 엿보기] 일본 제품 상표로 쓰인 상평통보/손성진 논설고문

    매일신보 1921년 11월 17일자에 ‘사죄 공고’라는 제목의 광고가 실렸다. 고강(高岡·다카오카)타면 주식회사가 대판(大阪·오사카)타면 주식회사에 “귀사가 제조한 타면의 상표권을 침해했음을 변명할 여지가 없으니 관대한 처분으로 용서해 달라”고 사죄하는 내용이다. 타면(打綿)이란 솜을 말한다. 그러니까 두 회사는 솜을 만드는 제면(製綿) 회사였다. 두 회사 모두 일본에 본사가 있는 일본 기업인데 매일신보에 광고를 낸 것을 보면 식민지 한국에서도 제품을 판매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상표의 디자인이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시대의 동전 상평통보(常平通寶)여서 고개를 갸웃하게 한다. 아마도 돈을 상표로 쓰면 금전운을 불러올 수 있다는 뜻에서 쓴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중국, 한국, 베트남 등 근대 이전의 한자 문화권의 동전(엽전)은 모양이 비슷했다. 상평통보처럼 가운데 구멍이 나 있고 대개 네 글자로 된 명칭이 한자로 씌어 있다. 일본에도 만년통보(萬年通寶) 등 많은 동전들이 통용됐다. 일제가 한국을 병합한 뒤 한국의 옛 동전 디자인을 자국의 것처럼 갖다 쓴 것으로 볼 수 있다. 굳이 한국 동전을 상표로 쓴 이유는 알 수 없다. 동전의 모양이나 글자가 일본 것보다 디자인이 낫다고 봐서 그랬던 것인지, 제품의 주 판매지가 한국이라서 그랬던 것인지, 무슨 이유가 있을 것이다. 상평통보는 1633년(인조 11년)에 처음 나왔지만, 화폐로서 실패했다가 1678년(숙종 4년)부터 본격적으로 주조돼 유통된 화폐다.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화폐이기도 하다. 구한말에는 당백전, 당오전에 이어 은화와 백동화, 적동화가 발행돼 상평통보와 함께 쓰였다. 일제는 침략을 가속화하면서 1902년에 제일은행권을 무단 발행한 데 이어 한일병합 후인 1914년 조선은행권을 발행, 제일은행권과 엽전을 회수하고자 했다. 그 후에도 상평통보는 특히 영호남 지역 등 지방에서 상당한 기간 동안 유통됐다. 조선총독부는 상평통보 등 엽전을 백동화로 바꿔 주는 노력을 계속했지만 백동화는 실제 금속 가치에 비해 액면가가 높은 악화(惡貨)이기도 해서 엽전은 1920년대까지 시중에서 거래수단으로 계속 이용됐다. 일제강점기에 상평통보는 다섯 냥(500개)이 조선은행권 1원으로 통용됐는데 정식 화폐가 아니라 보조 화폐 역할만 했다. 상평통보는 광복 직전까지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시중에서 주고받는 모습을 간혹 볼 수 있었다. 그렇게 최근까지 흔하게 유통됐기에 수십 년 전 할머니 쌈지 속에는 줄로 엮은 상평통보가 들어 있었다. sonsj@seoul.co.kr
  • [길섶에서] 자기 성찰/손성진 논설고문

    ‘철’이라는 말은 사리를 분별하는 힘을 말한다. 보통 남자들은 군대 갔다 오면 철든다고 한다. 힘든 과정을 겪고 나면 비로소 자신의 위치를 깨닫고 세상에 눈을 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철들자 노망든다’는 말이 보여 주듯 대개 사람이 바뀌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사람의 습성은 선천적인 것이어서 고치기가 쉽지 않다. 군에 다녀와야 철든다는 말도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이야기다. 철이 들었다가도 그때뿐이고 금세 예전으로 돌아가기 십상이다. 오랫동안 알고 지내는 친구들을 보면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외모만 바뀌었을 뿐 ‘어쩌면 저렇게 그때와 똑같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이들이 있다. 남이야 어떻게 생각하든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빠진 사람들은 더 그렇다. 나잇값을 하라는 말이 있다. 나이가 든 만큼 다른 사람, 젊은 사람의 귀감이 되는 어른스러운 언행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자신을 그냥 방치하다가는 나잇값을 하기 어렵다. 권위만 찾으려 하지 도덕과 법규를 지키지 않는 노인들은 젊은이들을 나무랄 자격이 없다. 매일같이 자기 성찰과 반성을 함으로써 그나마 조금 나아질 수 있다. 죽는 순간까지 철없다는 소리를 듣지 않으려면 부단히 수양을 쌓아야 한다. sonsj@seoul.co.kr
  • 무장봉기 이끈 승려… 만세운동 주도 고교생… 일제 수탈 맞선 해녀들

    무장봉기 이끈 승려… 만세운동 주도 고교생… 일제 수탈 맞선 해녀들

    제주도는 역사적으로 몽골이나 왜구의 지배와 침략을 받았던 지역으로 외부 세력에 대항하며 독자적으로 존립하려는 의지가 강했다. 일제의 입장에서 제주는 군사적 요충지였고 풍부한 어족자원을 가진 주요 약탈 지역이었다. 한일병합으로 일제의 수탈이 격심해지자 항거하는 주민들의 움직임이 어느 지역보다 거세게 일었던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유배를 온 유학자들이나 개화파들은 제주도민들의 학문과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고 이는 항일·독립운동으로 이어졌다. 제주 지역에서는 광복 때까지 크고 작은 항일운동이 잇따라 일어났는데 그중에서 3대 항일운동으로 일컬어지는 법정사 항일운동, 조천만세운동, 제주해녀 항일운동의 현장을 찾아보았다. ●1914년부터 김연일 주지 “일본인 축출” 설법 법정사 항일운동 발상지인 제주도 서귀포 옛 법정사 터는 해발 680m나 되는 한라산 중턱에 있었다. 물이 마른 계곡을 건너 비탈길을 한참 올라가니 어두컴컴한 산속에 일제가 불태워 버린 절터가 나타났다. 집 한 채 크기도 안 되는 작은 터에는 무너져 내린 벽체의 흔적인 돌무더기만 나뒹굴고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제주도에서도 항일·독립운동이 줄기차게 벌어졌다. 그중에서도 3·1운동보다 다섯 달 앞서 일어난 법정사 항일운동은 승려들이 주도하고 주민 700여명이 참여한 제주 최대의 항일운동이었다. 법정사 주지 김연일은 1914년 무렵부터 일본의 국권 침탈이 부당하며 일본인을 제주도에서 쫓아내야 한다고 설법을 통해 주장하고 있었다. 김연일은 조직적으로 항일운동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거사 6개월 전부터 곤봉과 화승총을 마련하는 등 치밀하게 준비했다. 1918년 9월 말 정구용은 “면장과 이장은 장정을 모아 10월 7일 오전 4시 하원리에 집합하고 8일에는 제주향을 습격해 일본 관리를 체포하자”는 격문을 붙였다. 총지휘자 김연일을 필두로 좌대장, 우대장, 선봉대장, 중군대장, 후군대장 등의 의병과 비슷한 군사 조직 체계를 갖추었다.김연일은 1871년 경북 영일군 동해면 도구리에서 태어나 출가한 뒤 경북 경주 기림사의 승려로 있었다. 같은 절에 있던 승려 방동화와의 인연으로 제주도로 와서 1914년쯤 법정사 주지가 됐다. 김연일은 처음부터 독립운동을 할 목적을 갖고 제주도로 왔다고 한다. 왜 하필 제주도까지 와서 독립운동을 했느냐는 의문에 유족들은 “우리나라 모습에서 제주도가 닻이라서 거기서부터 들어 올려야 독립 바람이 육지까지 분다고 (김연일이) 말했다”고 설명한다. 김연일은 조상의 묘까지 제주도로 옮겼다. 이를 이용해 군자금과 물자를 갖고 제주도에 드나들었다고 한다. 드디어 거사 당일인 7일 새벽 법정사 마당에서 출정식이 열렸다. 김연일은 “일본인을 쫓아내어 원래의 한국 시대를 회복하자”고 선언했다. 선봉대장 강창규와 좌대장 방동화, 우대장 강민수, 모사 장임호와 박주석 등의 지휘에 따라 승려와 신도 등 34명은 깃발을 흔들며 마을로 내려갔다. 미리 참여를 독려하고 격문을 붙여 놓아 참여자는 순식간에 700여명에 이르렀다. 도순·하원·월평·영남·대포·상예리 등 서귀포의 거의 모든 마을 사람들이 뒤를 따르며 일제를 몰아내자고 소리 높여 외쳤다. 중문리에 도착한 군중은 전선을 자른 뒤 흥분을 감추지 못하며 일본인 일행을 구타하기도 했다. 이어 현재 중문파출소 자리에 있던 경찰 주재소로 가서 몽둥이로 기물을 부수고 문서를 불태운 다음 건물을 소각했다. 오전 11시쯤 일경의 기마 순사대가 총으로 무장하고 공격해 왔다. 함성을 지르던 군중은 사방으로 흩어졌다. 일경들은 법정사로 올라가 절을 불태웠다. 법정사 항일운동으로 모두 66명이 검거됐고 김연일이 1심에서 10년형을 받는 등 46명이 형을 선고받았는데 감형과 가출옥으로 실제 수감 기간은 줄어들었다. 김연일은 3년 3개월, 강창규는 6년가량 옥살이를 했다. 박주석, 강수오, 강춘근 등 5명은 고문 후유증과 가혹한 감옥생활로 옥사했다. 특히 강춘근은 재판을 받기 전에 사망했다. 고문사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정황은 남아 있지 않다. 김연일은 출옥 후 고향 영일로 돌아가 항일활동과 독립운동을 계속했고 다시 붙잡혀 투옥되기도 했다. 정부는 법정사 항일운동 주도자 가운데 32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했다. 김연일은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 강창규는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日 주도자 모두 연행, 거사 계획 미리 파악한 듯 제주시의 동쪽에 있는 조천은 일제강점기에는 육지에서 사람과 물건이 활발하게 오가던 제법 큰 항구였다. 조천은 신촌·함덕·신흥 등의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제주시와 서귀포로 파급된 제주도 만세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이곳에는 제주항일기념관과 삼일독립운동기념탑 등이 들어선 조천만세동산(미밋동산)이 조성돼 있다. 평일인 지난달 17일 찾은 조천읍내는 인적이 드문 조용한 어촌 마을이었다. 마침 애국선열추모탑 앞에서는 임시정부가 1939년 법정기념일로 정한 제81회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 및 제18회 제주 지역 애국선열 합동추모식이 제주도 독립운동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었다. 조천만세운동은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 4학년생이던 김장환이 독립선언서를 숨기고 들어오며 시작됐다. 아버지 김시학은 일본 유학파로 1차 세계대전 중에 사회 각계각층 1만명의 연서를 받아 독립청원서를 제출한 인물이다. 김장환은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문 낭독을 지켜보며 만세운동에 참가했다. 보름 후인 16일 조천에 내려온 김장환은 숙부 김시범과 당숙 김시은에게 서울의 3·1운동 소식을 들려주고 독립선언서를 전달했다.이튿날 김시범, 김시은, 김장환은 만세시위를 벌이기로 결의했다. 이어 김용찬, 김형배, 고재륜, 황진식 등 14명의 동지를 모았다. 이들은 대형 태극기 4본과 소형 태극기 300여장을 만들어 만세운동을 준비했다. 김시범 등은 거사일을 제주도에서 명망이 높았던 유학자인 맏형 김시우의 소상(小祥·첫 기일)인 3월 21일로 잡았다. 21일 아침 8시쯤. 미모치에 14인 동지를 비롯, 조천 주민들과 이웃 마을인 함덕·신촌·신흥 등지의 주민과 서당 생도 등 200여명이 모여들었다. 미모치는 오름의 이름으로 마을에서 가장 높은 곳이었다. 한라산 정기가 마을 동쪽 끝으로 흘러 우뚝 솟은 성소(聖所)로 전해지던 곳이었다. 대형 태극기가 미모치 정상에 꽂히고 ‘독립만세’라고 쓰인 깃발이 나부꼈다. 김시범은 독립선언서를 20여분 동안 낭독했다. 낭독을 마친 김시범은 “조선을 제국의 속박에서 벗어나 독립시키기 위해 한국독립만세를 부르고 행진하라”고 소리쳤다. 김용찬도 “일본 제국의 굴레에서 벗어나 독립하도록 한국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마을 안을 행진하자”고 외쳤다. 이어 김장환이 ‘대한독립만세’라고 선창하자 군중도 따라 외쳤다. 어떤 이는 창호지에 ‘한국독립만세’라는 혈서도 썼다. 시위대는 일제의 본거지인 제주성으로 행진했다. 조천은 제주성의 동쪽 약 12㎞ 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2~3시간 정도면 도착할 수 있었다. 도중에 신촌·삼양·화북·건입마을을 거치면 참가자가 더 늘어날 수 있었다. 주민들이 합세하면서 500~600명이 된 시위대는 조천오일장터를 거쳐 비석거리에 도착해 ‘한국독립만세’를 크게 외치고는 계속 행진해 신촌리에 다다랐다. 일경은 급히 제주경찰서에 증원을 요청했고 오후 늦게 무장한 순사 30여명이 도착해 시위대와 맞부딪쳤다. 일경은 공포탄을 쏘고 소총 개머리판으로 무차별로 타격하며 시위를 진압하려 했다. 그 과정에서 3명이 다쳤고 김시범, 김시은, 김용찬, 김장환 등 13명이 연행됐다. 이들이 모두 주모자였음을 볼 때 일경은 거사 계획을 미리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시위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이튿날 조천오일장터에서 김필원, 백응선, 박두규 등이 중심이 돼 200여명이 붙잡힌 사람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신촌리를 향해 2차 만세시위를 벌였다. 여기서 박두규와 김필원이 체포됐다. 시위 소식은 함덕리까지 전해져 다음날에는 조천과 함덕 양쪽에서 3차 시위가 벌어졌다. 이문천·백응선·김연배 등이 계속해서 시위를 주도했다. 이문천은 조천오일장터에서 주민들과 함께 시위를 벌이다 100여명을 이끌고 오일장이 열리던 함덕리로 이동했다. 함덕리에 이르자 시위대는 800여명으로 늘어났다. 이날은 부녀자와 어린아이들까지 참여했다. ●김장환은 월북했다는 이유로 국가 서훈 없어 시위 확산에 두려움을 느낀 일경은 시위대를 무력으로 강제 해산시키고 이문천과 백응선 등 8명을 체포했다. 또 신흥리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이귀동이라는 여성이 “대한독립만세, 같이 죽자 만만세”라는 구호를 외치자 제주경찰서로 연행했다. 여성까지 무차별로 체포한 데 대해 도민들이 격앙하자 부담을 느낀 일제 경찰은 사흘 뒤 여성을 석방했다. 3월 24일 4차 만세운동은 최대 규모의 시위였다. 이날은 조천오일장날이었는데 상인과 장을 보러 온 부녀자들까지 약 1500명이 시위에 참여했다. 투석전까지 벌어지는 등 시위가 격렬해지자 일경은 발포해 시위대를 해산시키고 김연배 등 4명을 체포했다. 일경은 군 병력까지 불러들여 시위가 다른 지역으로 번지는 것을 막으려 했다. 네 차례의 시위에서 주도자 14명은 모두 검거됐다. 이들을 포함해 기소된 사람은 모두 29명이었고 24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19년 5월 김시은, 김시범, 김장환 등 주도자 14명은 징역 6개월에서 1년을 받았다. 그보다 옥고와 고문에 따른 희생이 컸다. 백응선은 고문과 옥고로 1920년 3월 순국했다. 김연배도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과 옥고로 가출옥했지만 1923년 11월 27세의 일기로 순국했다. 김시은과 김시범은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김장환에 대한 서훈 기록은 없다. 월북했다는 이유다. 백응선과 김연배는 대통령표창을 받았을 뿐이다.●일제 해녀 요구 들어준다고 해놓고 약속 어겨 “배움 없는 우리 해녀 가는 곳마다/ 저놈들의 착취기관 설치해 놓고/ 우리들의 피와 땀을 착취해 간다/ 가이없는 우리 해녀 어디로 갈까” 제주시 구좌읍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 옆 해녀 노래비에 쓰인 마지막 절이다. 제주 우도 출신 독립운동가 강관순이 지은 노래다. 제주 해녀 투쟁은 연인원 1만 7000여명이 참여하고 238차례의 시위가 벌어진, 국내 최대 규모의 여성항일운동으로 평가받는다. 제주 해녀들의 항일운동을 기념해 구좌읍 하도리에 기념탑을 세우고 공원을 조성해 놓았다. 오후 늦은 시간에 찾은 공원에는 운동 삼아 왔다갔다하는 여성만 보일 뿐 참배객은 아무도 없었다. 일제의 수탈에 제주도 해녀들도 예외가 되지 못했다. 이렇다 할 산업이 없는 제주에서는 해녀들의 채취 활동이 일제로서는 독보적인 수입원이었다. 1920년대 중반 일제는 해녀들의 권익 보호를 명분으로 만든 제주해녀어업조합을 어용화했고 해녀들이 힘들게 거둔 해산물을 헐값에 매입하는 등 횡포를 부렸다. 입거 수수료와 세금도 과다 징수했다. 1931년 6월 해녀들은 공동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12월에는 관제조합 반대, 수확물에 대한 가격 재평가 등의 요구 조건과 투쟁 방침을 정하고 대표를 선출했다. 이듬해 1월 7일 세화리 장날에 해녀 300여명이 1차 시위에 나섰다. 시위대가 구좌면사무소에 이르자 면사무소 측이 요구를 들어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일제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마침 신임 제주도사 다쿠치 데이키가 1월 12일 세화장날 시찰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장날 세화리 장터에 해녀들이 모여들었다. 구좌면 하도리·세화리·종달리·연평리와 정의면의 오조리·시흥리 등 6개 마을 해녀들이었다. 손에는 호미와 비창(전복 따는 도구)을 들었다. 해녀들은 다쿠치가 탄 차량을 에워쌌고 다쿠치는 굴복한 척하며 요구 조건을 5일 안에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거짓 약속이었음은 금세 드러났다. 일제는 제주 지역 청년운동가들을 배후세력으로 규정했다. 약속을 지키기는커녕 23일부터 하도리 오문규, 종달리 한향택과 한원택, 세화리 문도배와 문도후 등을 각종 죄목을 붙여 검거하기 시작했다. 24일에는 이에 격분한 해녀 1500여명이 세화주재소로 몰려들었고 일경은 무장경관을 출동시켜 해녀 34명을 포함한 50여명을 체포했다. 27일에는 종달리 해녀 100여명이 붙잡힌 사람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지만 진압당하고 말았다. 주동자로 찍힌 해녀 부춘화, 김옥련, 부덕량은 6개월 동안 옥살이를 했다. 이들 말고도 일제에 검거돼 고초를 겪은 해녀가 100여명에 이르렀다. 세 명의 해녀는 항일운동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받았다.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포항 포도로 만든 포도주 광고

    [근대광고 엿보기] 포항 포도로 만든 포도주 광고

    “정신의 상쾌, 혈행의 양호, 원기의 충일(充溢), 동작의 활발, 병고(病苦)의 제거, 병약의 회복, 체력의 증진 등에 효력이 있고, 식욕을 촉진하고, 소화를 돕고, 피로를 없애 주고, 쇠약을 막고, 정력을 왕성히 하고….” 보약 광고 같지만 술 광고다. 일제강점기에 판매했던 ‘미쓰와 포트 와인’의 광고 속에 있는 내용이다. 와인(포도주)을 만병통치약처럼 과장해서 광고하고 있다. 포트 와인은 발효 중인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한 포르투갈식 주정 강화 와인을 뜻한다. 알코올 도수가 18~20도로 일반 와인보다 5도 이상 높은 독한 술인데 마치 몸에 좋은 보약인 것처럼 선전했다. ‘미쓰와 기나철(規那鐵) 포도주’라는 와인도 함께 판매됐는데 ‘완전한 흡수성과 동화성으로 효력이 비교할 수 없이 빼어난 자양강장 음료’라고 광고했다. 기나는 키나라는 열대식물 껍질에서 추출한 말라리아 특효약인 키니네를 뜻하는 단어로 해열 및 강장제로 쓰였고, 철은 빈혈에 좋은 물질이다. 미쓰와(미츠와ㆍ三輪) 포도주는 1920년대에 경북 포항 동해면과 오천면 일대에 있던 미츠와 포항농장에서 생산한 포도로 만들어졌다. 당시 미츠와 포도농장은 3만명이 넘는 조선인을 고용하고 넓이가 200만㎡에 가까웠던, 동양에서 가장 큰 포도농장이었다고 한다. 일제는 당시 유럽에서 포도를 수입해 포도주를 만들었는데 제1차 세계대전으로 포도 수입이 어려워지자 데라우치 조선 총독이 사업가 미쓰와 젠베이(三輪善兵衛)에게 포도농장을 운영해서 포도주를 만들어 보라고 권했고 미쓰와가 1918년 2월 국유지를 불하받아 농장을 설립했다고 한다. 광복 후에도 이 농장에서는 ‘삼륜포도주공사’라는 이름으로 포도주를 계속 생산했으며 1952년에도 어느 신문에 포도주 광고를 게재하기도 했다. 이 농장의 포도주는 1960년대까지도 ‘포항 포도주’로 불리며 시중에 판매됐지만, 기술력의 한계를 드러냈고 1966년에 방부제 과다 사용이 문제가 돼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도농장 자리에는 현재 해병대교육훈련단과 포항비행장이 들어서 있다. 미츠와 포도농장은 “내 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의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들어와 박혀”로 시작하는 이육사의 시 ‘청포도’의 배경이기도 하다. 육사의 고향은 경북 안동인데 시에 나오는 ‘푸른 바다’도 없고 청포도도 없다. 잦은 옥살이로 몸이 약해져 폐결핵을 앓았던 육사는 1936년 무렵 요양을 하러 포항으로 가서 머물렀는데 포도농장을 방문해 시상을 떠올리고는 이 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런 인연에서 동해면 사무소 앞과 호미곶 등 포항 여러 곳에 ‘청포도’ 시비가 세워져 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손성진 칼럼] 이기심을 자극한 포퓰리즘, 신공항

    [손성진 칼럼] 이기심을 자극한 포퓰리즘, 신공항

    누구든 자신에게 이익이 되면 싫어할 사람은 없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다. 자기 보존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갖고 있는 유전자의 꼭두각시일 뿐이다. 누구라도 자신을 돌아보면 이기적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기심이 인간의 본성이라서 누구도 다른 사람의 이기심을 나무랄 수 없다. 여당으로선 부산 가덕도 신공항 건설 아이디어는 절묘했다. 우선 유권자의 이기심을 교묘하게 이용했다. 부산에 새 공항을 지어 주겠다는데 싫어할 부산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신공항에 현혹돼 오거돈 성추행 사건쯤이야 ‘그럴 수도 있는 거지’ 하고 마음 바꾼 부산시민이 혹여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과연 내년 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실제 표심이 이동할 수 있을까. 아니면 가덕도 바람을 뚫고 야권이 승리할 수 있을까. 야권이 이긴다면 또다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원점으로 돌아갈까. 부산시민이라면 대부분 이런 복잡한 심경에 빠질 것이다. 두 번째는 야권 갈라치기다. 신공항을 놓고 부산과 다투던 대구·경북 지역민들과 정치인들은 결사반대를 외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표를 의식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여당에 독설을 내뿜던 이언주 전 의원도 여당의 손을 번쩍 들어 주고 말았다. 부산시장 출마를 앞에 두고서는 어쩔 수 없었던 모양이다. 여당으로서는 이보다 더 손쉽게 야권 분열 효과를 얻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왜 통일된 당론을 내놓지 못하느냐”고 호통을 치는가 하면 “학생회보다 못하다”고 조롱하며 상황을 즐기고 있다. 더 가관인 것은 그다음이다. 또 다른 독설가 홍준표 의원도 “정치적 동기에서 비롯됐지만 추진해 볼 만하다”며 이 전 의원과 같은 배를 탔다. 그래도 홍준표는 TK의원이라는 점에서 이언주보다는 소신이 있어 보이지만 경남도지사 시절에 “물구덩이(가덕도)보다는 맨땅(밀양)이 낫다”고 했던 말을 뒤집었다. 이에 여당의 이낙연,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까지 합세해 부산·대구·광주 공항특별법을 만들자며 공항 돌풍을 일으켜 좁은 나라를 휘젓고 있다. 이 모든 것이 표를 의식한 포퓰리즘임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여당이나 야당이나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와 대선에서 이기겠다는 권력욕 앞에서 눈이 어두워졌고 판단력을 상실했다.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되는 공항 건설을 자기 돈으로 사 주는 떡인 양 흔들며 국민을 유혹하고 있다. 복지사회로 접어들며 써야 할 예산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현 정부 출범 때 660조원이었던 나랏빚은 2년 후에는 1070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를 넘어서 세계 1위가 됐다고 국제금융협회(IIF)가 최근 발표했다. 부동산 폭등 속에 20대 젊은 층까지 ‘영혼까지 끌어모아’(영끌) 대출을 받은 결과다. 이런 현실을 조금이라도 인식한다면 수십조 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대규모 국책사업을 이렇게 간단히 정치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 인천공항은 입안에서 완공까지 15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신중히 추진했다는 얘기다. 가덕도 신공항은 예비타당성조사까지 면제받으며 초음속 비행기에 올라탔다. 해놓고 보면 잘했다고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대형 국책사업을 확실한 미래 예측도 없이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이 절차를 생략하고 서둘러서야 되겠는가. 공항이 선심 정책의 표적이 된 적이 있다. 2000년대 초반이다. 그때도 “공항 줄게, 표 줘” 전략이었다. 현재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김포, 제주, 김해 등 서너 개만 빼고 모두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그 부담은 결국 국민이 지게 된다. 그런데도 가덕도 말고도 8개 공항이 포퓰리즘 논란 속에 추진되고 있다. 전국에 고속도로가 거미줄같이 깔리는 세상이다. 포스코는 시속 1000㎞가 넘는 고속전철 개발에 나선다고 한다. 국토가 작은 나라에서 지방공항의 미래는 자명하다. 예천공항은 중앙고속도로 건설로 2004년에 문을 닫았다. 울진공항은 취항하는 항공사가 없어 비행훈련장으로 쓰이고 있다. AFP는 “1억 4000만 달러를 들여 지은 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가 없다”며 울진공항을 2007년 황당뉴스로 선정하기도 했다. 가덕도 신공항이 ‘활주로에 고추를 말리는’ 공항이 될지, 기적적으로 승객이 넘쳐나는 공항이 될지는 확언할 수 없다. 다만 포퓰리즘에 기인한 도박 같은 결정이라는 점이 못내 걸린다. sonsj@seoul.co.kr
  • [근대광고 엿보기] 김두봉의 ‘깁더 조선말본’

    [근대광고 엿보기] 김두봉의 ‘깁더 조선말본’

    김두봉은 현대 한글 연구의 선구자 주시경의 여러 제자 가운데 수제자였다. 1889년 부산 기장에서 태어난 김두봉은 한학을 배우다 서울로 올라와 보성고등보통학교에 다니다 학생들을 가르치던 스승 주시경을 만났다. ‘히못’이라는 한글 호를 쓴 김두봉은 ‘한힌샘’ 주시경과 마찬가지로 순우리말주의자였다. 김두봉은 모교에서 교편을 잡는 한편 배재학당에 진학해 스승을 받들며 한글 연구에도 매진하고 조선어사전 말모이 편찬도 도왔다. 또한 대동청년단을 결성해 항일운동에도 참여했다. 1914년 주시경이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망명을 계획하다가 38세의 나이에 갑자기 사망하자 제자들은 스승이 못다 이룬 ‘조선말글본’ 연구를 계속했다. 1916년 김두봉이 맨조선말(순우리말)로 펴낸 ‘조선말본’은 그 산물이었다. 조선말본은 스승의 ‘국어문법’에 바탕을 두었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는 한글 문법서였다. 김두봉은 3·1운동에 참가했다가 일제의 추적을 피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상하이에서 김두봉은 임시의정원 의원과 신문사 편집위원 등의 일을 하며 한글 연구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망명 3년 만에 김두봉은 조선말본의 수정·증보판인 ‘깁더 조선말본’을 출간했다. 당시에는 드물게 가로쓰기였다. 이 책은 국내 신문에 신간으로 소개되고 광고도 실렸다. ‘깁더’라는 말은 깁고 더했다는 뜻이다. 깁더 조선말본에서 김두봉은 주시경의 문법 학설을 발전시켜 품사를 ‘씨’라 하고 9품사로 나누었다. 문(文)을 ‘월’이라고 하고 성분으로 나눴다. 이 책은 낱자를 모아서 글자를 만드는 조립식 활자를 사용했다. 독일로 유학을 가서 1927년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이극로는 이 활자를 얻어 독일에서 ‘허생전’을 인쇄해 발표했다고 한다. 김두봉은 항일 투쟁노선에서 이견을 보여 화북으로 이동해 1942년 옌안에 도착했다. 광복 후에는 북한으로 들어가 김일성대학 초대 총장, 북한 정권의 형식적인 국가수반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됐다. 그러나 옌안파 숙청을 피해 가지 못하고 평안남도의 산골 오지로 끌려가 중노동을 강요당하다 1961년 전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봉을 만난 것이 계기가 돼 한글 연구에 뛰어든 이극로는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징역 6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광복을 맞아 풀려났다. 1948년 4월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 참석차 평양에 갔다가 북한에서 잔류했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내고 1978년 사망했다. 두음법칙을 지키지 않는 등의 차이는 있지만, 북한의 언어와 표기법이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은 데는 김두봉과 이극로의 공이 크다고 할 것이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길섶에서] 어떤 동반/손성진 논설고문

    시시때때로 오락가락하는 사람에게 사람들은 서로 질린다. 반려동물에게 빠지는 이유는 하나. 변치 않는 마음 때문이다. 함께하는 사람을 향한 그들의 태도는 항상 일정하다. 사람의 변화무쌍한 감성은 지능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감성도 지능의 지배를 받는다. 반려동물의 감성이 변화가 적은 이유는 사람보다 지능이 낮기 때문이라고 할 것인데 아무래도 좋다. 똑똑하지 않아도 변함없이 늘 곁에 있어 준다면 그보다 더 좋을 것이 없다. 고양이 한 마리를 키우고 있다. 침대 발치에서 잠을 자며 일어나는 시간도 비슷하다. 야행 본능도 잃어버렸다. 알람 시계를 따로 둘 필요도 없이 아침이면 울음소리로 기상을 재촉한다. 출근 시간이면 아파트 복도에 나와 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꼬리를 흔들며 배웅한다. 집에 들어올 때면 온갖 몸짓과 소리로 격하게 환영해 준다. 이런 동반을 찾기가 어디 쉽겠는가. 짧은 생을 살고 가는 반려동물과의 이별이 힘들어 더는 키우지 않겠다는 사람들의 심정도 이해가 간다. 언젠가 닥칠 일이라 벌써 걱정도 된다. 얼마 전 내 동반자와의 이별을 미리 상상하다가 그만 울컥한 것을 술기운 때문이라고만 하기도 어려울 것 같다.
  • [근대광고 엿보기] 부산의 미국인 의사 ‘어을빈’ 이야기/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부산의 미국인 의사 ‘어을빈’ 이야기/손성진 논설고문

    1893년 3월 찰스 어빈(1862~1933)이라는 미국인이 부산에 의료 선교사로 왔다. 그는 어을빈(魚乙彬)이라는 한국 이름을 썼다. 어을빈은 현대식 `전킨병원’을 열어 1911년까지 2500여 명을 수술했는데 의료사고를 한 건도 일으키지 않았고 전킨병원은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쳤다. 어을빈은 1909년 부산 감만동에 `상애원’을 건립, 한센병환자 치료에도 힘썼다. 어을빈은 또 약품 연구에 몰두해 50여 종의 약을 생산했다. 그중에 ‘만병수’(萬病水)는 종기, 부종, 신경통과 심지어 반신불수, 급성매독에도 효험이 있는 신비의 만병통치약으로 소문이 나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국내뿐 아니라 일본, 대만에서도 주문이 쇄도했다. 어을빈은 큰돈을 벌어 김해, 마산 등지의 땅을 사들였고 수익금 30만원을 백산 안희제를 통해 상하이 임시정부에 보내기도 했다. 어을빈은 미모의 간호원 양유식과의 혼외 로맨스로 더 큰 화제를 뿌렸다. 조선 처녀와 26살이나 많은 서양인의 파격적인 애정 행각은 당시의 시대 상황에서는 용납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 선교사 회의에서는 어을빈을 교회에서 추방했고 미북장로회는 본국 소환령을 내렸다. 이때가 1910년 전후 무렵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양유식이나 어을빈이나 눈도 깜짝하지 않았다. 어을빈은 소환을 거부하고 선교사직을 사임하고는 개인병원 `어을빈병원’을 개업했으며 미국인 본처와 이혼하고 양유식과 살림을 차렸다. 이들을 갈라놓은 것은 양유식에게 찾아온 폐결핵이었다. 정신적 상처도 겹쳐 양유식은 34세에 세상을 떠났다. 만병수는 계속 잘 팔렸다. 만병수를 부치는 소포가 매일 100∼150상자에 이르자 부산우체국은 특별 수송차를 어을빈병원에 보내 만병수를 실어갔다. 이를 시샘한 부산상공회의소 의원이자 약사인 일본인 에비스가 어을빈병원 입구에 2층 벽돌집을 짓고 만병약수를 만들어 팔았다. 이름이 비슷한 만병약수를 만병수로 잘못 알고 사가는 사람이 많았다. 어을빈은 참을 수 없어 상표권침해소송을 내었지만 재판은 계속 지연됐다. 어을빈은 71세의 나이에 자택에서 사망해 40년간의 부산 생활을 마감하고 병원 근처 복병산 공원묘지에 쓸쓸히 묻혔다. 만병수 판매를 담당했던 지배인 양성봉은 양유식의 오빠였다. 그는 어을빈이 죽자 회사 경영을 맡았고 독립운동에 연루되어 투옥되기도 했다. 양성봉은 광복 후 부산시장, 경남도지사, 농림부장관에 오른다. 통역사로 일한 이하영은 후에 미국공사관전권대신이 되고 외부대신에 오른다. 약제사 고명우는 세브란스병원의 의사가 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