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속도
    2025-11-0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9,257
  •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6종 설비 화재 시연…화재 대응 메뉴얼 보완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6종 설비 화재 시연…화재 대응 메뉴얼 보완한다

    서울교통공사는 4일 지축차량기지에서 서울소방재난본부와 합동으로 전동차 객실과 실내 설비품 6종에 대한 화재 시연을 시행했다. 현재 새로 제작한 전동차 내 설비품(내장판, 단열재, 의자, 바닥재, 연결막, 손잡이)은 철도안전법(철도차량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화재안전 최우수등급(4등급) 조건을 만족하는 불연·난연 재질로 제작된 상태다. 그러나 지난 5월 5호선 방화 사건 이후 방염 성능을 비롯해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 확산 속도, 화재 온도, 유해가스 성분 등을 면밀히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공사는 최대한 실제 운행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전동차 안에 불을 붙여 내장재, 객실의자 등 주요 설비의 방염 성능 평가 등 화재 안전성 검증을 진행했다. 5호선 화재 차량과 운행 상태 등이 유사한 폐차가 예정된 420편성 전동차를 이용하기도 했다. 이번 시연은 ▲신조 전동차 실내 설비품(내장재 등 6종) 화재 안전성 검증 ▲전동차 객실 내 화재 상황 재현 ▲자연 소화 후 전동차 객실 내 상태 확인 등 세 가지 절차로 구성됐다. 우선 설비품을 거치대에 고정하고 화염원(토치)을 20초간 방사해 연소 가능 상태 확인 등 화재 안전성을 검증했다. 이어서 전동차 객실 한 칸에 인화물질(2L) 살포 후 불을 붙여 연소시간을 비교하고 연기 확산 속도, 유해가스 성분, 화재 온도 등을 확인했다. 또 공사는 이번 화재 시연 결과를 전동차 객실 설비 보완, 전동차·역사·터널 내 화재 대응 매뉴얼(승객 대피 포함), 소방 당국과 합동 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대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 시연 과정 중 발견된 문제점을 분석해 향후 전동차 설계·제작에도 반영한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매뉴얼과 설비품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한 지하철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캄보디아 만삭 아내 살인죄 벗고 보험금 100억 탄 그 남편의 근황[듣는 그날의 사건현장- 사건창고]

    캄보디아 만삭 아내 살인죄 벗고 보험금 100억 탄 그 남편의 근황[듣는 그날의 사건현장- 사건창고]

    ‘교통사고’로 위장된 ‘완벽한 범죄’ 의혹… 형사 재판 무죄, 민사 재판 승소의 딜레마2014년 8월,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충남 금산의 한 교통사고 사망 사건이 10년이 지난 지금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남편의 운전 부주의로 인한 단순 사고로 치부됐던 이 사건은, 사망한 만삭 아내 앞으로 가입된 100억 원에 달하는 거액의 보험금이 드러나면서 의혹의 실타래가 풀리기 시작했다. 살인 혐의로 기소된 남편은 긴 법정 공방 끝에 결국 무죄 판결을 받았고, 이와 별개로 진행된 민사 소송에서도 보험금을 타내는 데 성공하며 다시 한번 논란의 중심에 섰었다. 사건의 전말: 졸음운전인가, 고의적 사고인가?사건은 2014년 8월 23일 새벽,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에서 발생했다. 남편 이 모 씨는 만삭의 아내와 함께 승합차를 타고 귀가하던 중 갓길에 주차된 화물차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조수석에 타고 있던 캄보디아 출신 아내 A씨(당시 24세)가 사망했다. 남편 이 씨는 사고 직후 졸음운전이었다고 주장했지만, 경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여러 의문점이 제기됐다. 먼저, 사고 차량의 블랙박스와 CCTV 영상에 따르면 충돌 직전 차량의 상향등이 켜졌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졸음운전 상태에서는 흔치 않은 행동으로, 고의성을 의심하게 하는 대목이었다. 또한, 남편 이 씨는 가벼운 골절상에 그친 반면, 아내는 큰 충격을 받은 조수석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채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내 지인들은 평소 A씨가 안전벨트를 잘 착용했다고 증언하며 의혹을 키웠다. 결정적으로, 아내의 혈액에서는 수면유도제 성분이 검출됐다. 누가, 왜 수면유도제를 투여했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임신 7개월의 만삭 아내가 스스로 복용했을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항소심만 살인죄 인정→무기징역대법원 “증거 불확실…‘피고인 이익’ 우선”이 사건이 단순 사고를 넘어선 의혹으로 번진 가장 큰 이유는 거액의 보험금이었다. 사고 당시 전업주부였던 아내 A씨 명의로 11개 보험사에 총 25건의 95억 원에 달하는 생명보험이 가입되어 있었고, 수익자는 모두 남편과 그의 딸들이었다. 이는 남편의 월수입과 비교했을 때 매우 과도한 금액으로, 보험 가입 시기가 집중돼 있다는 점 또한 수상한 정황으로 지목됐다. 특히 유일하게 살인죄를 인정했던 항소심 재판부는 이 씨의 월수입이 불안정했으며, 보험 가입 과정에서의 진술이 오락가락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재판부는 “남편만 믿고 타국에서 온 아내가 그 남편에게 생명을 잃었다”고 판시하며 무기징역을 선고했다. 하지만 이 판단은 대법원에서 뒤집혔다. 대법원은 “합리적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거력을 갖지 않으면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형사법의 대원칙을 적용했다. 대법원은 졸음운전인지 고의적 사고인지 단정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고, 사고 두 달 전 거액의 보험을 가입한 것을 제외하면 꾸준히 보험을 들어왔기 때문에 범행을 노렸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국 2021년 3월, 이 씨는 살인 혐의에 대해 무죄가 최종 확정됐다. 형사 무죄, 민사 승소… 법의 딜레마형사 재판에서 무죄를 확정받은 이 씨는 이를 근거로 보험사들을 상대로 보험금 지급 소송을 제기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소송에서 승소하며 원금 95억 원에 10년간의 지연이자까지 더해 100억 원이 넘는 보험금을 수령하게 되었다.
  • 새만금, 에너지 대전환과 RE100 실현 주도한다

    새만금, 에너지 대전환과 RE100 실현 주도한다

    새만금지구가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RE100 산단과 에너지 대전환을 주도하고 실증하는 중심지로 도약할 전망이다.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는 새만금을 에너지 대전환과 지역 균형발전을 실현하는 성공 모델로 육성한다는데 뜻을 함께하기로 했다.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 에너지 대전환’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RE100 산단 지정 ▲해수유통·조력발전 등 3개 프로젝트를 정부에 건의했다고 4일 밝혔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수상태양광 1단계(1.2GW) 사업을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사업과 연계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다. 2단계(0.9GW)는 새만금 RE100 기업에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해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새만금지역에서 신규 조력, 태양광,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사업도 대폭 확대한다. 기존 계획(국정위) 6GW를 넘어선 재생에너지 개발 계획을 오는 12월 완료할 예정인 새만금 기본계획에 최대한 반영한다는 구상이다. RE100 산단은 새만금이 국내 어느 지역보다 이미 준비돼 있는 곳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3년 전 전국 최초로 지정된 (새만금)스마트그린산단을 기반으로 새만금 전역을 RE100 산단으로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해수유통·조력발전도 확대한다. 배수갑분 10개 신설, 14기 조력발전기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배수갑문 신설에 3000억원, 조력발전 건설 1조원 등 1조 3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다. 수질개선·홍수예방 목적의 배수갑문 신설은 국비로 추진하고 조력발전은 민간투자를 염두하고 있다. 김 청장은 “현 정부의 핵심 국정철학을 반영해 새만금을 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대전환과 진짜 RE100의 상징으로 힘차게 도약하는 모습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김미리 경기도의원, 김장문화 전통 보존과 남양주 공공의료원 신속 추진 앞장

    김미리 경기도의원, 김장문화 전통 보존과 남양주 공공의료원 신속 추진 앞장

    경기도의회 김미리 의원(개혁신당, 남양주2)은 지난 3일 YTN 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인터뷰에서 ▲경기도 김장문화 활성화 및 지원 조례 발의 취지 ▲농수산물 물가 안정 대응 ▲남양주 공공의료원 조기 착공 필요성 등을 밝히며 민생 중심의 정책 의지를 강조했다. 이날 김미리 의원은 “김장문화는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만큼 소중한 전통이지만, 핵가족화와 도시화로 인해 점차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며, 세대가 함께 배우고 체험하는 김장문화 교육과 시범사업 운영·협력체계 구축을 골자로 한 조례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아울러 “김장에 쓰이는 배추·무·고춧가루 등 도내 생산 농수산물 소비를 촉진해 지역 농어민 소득 증대와 취약계층 나눔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근 폭염과 집중호우로 인한 영향에 대해 김 의원은 “도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농수산물 가격 안정 대책을 집행부와 긴밀히 논의하며, 현장을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지역 현안인 남양주 공공의료원에 대해서는 “호평동 백봉지구에 300병상 이상 규모로 추진 중이며, 소아·분만·응급 등 필수의료와 돌봄서비스를 갖춘 혁신형 의료기관으로 조성하겠다”고 소개했다. 이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절차 단축을 통해 계획된 2030년이 아니라 2028년 착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드는 것이 의회의 역할”이라며 “김장문화 보존, 농수산물 안정,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같은 생활밀착 의제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다짐하며 인터뷰를 마쳤다.
  •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 속도낸다…해수부, 전담인력 배치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 속도낸다…해수부, 전담인력 배치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내년부터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해양수산부가 이 사업에 대한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에 대한 인건비를 내년도 예산안에 편성했다고 4일 밝혔다. 전담 인력은 5급 2명, 6급 1명 등 3명으로 인건비 예산안이 올해 국회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이들은 해수부 항만국 항만연안재생과 내에서 이 사업을 담당하게 된다. 시는 전담 인력 확보를 통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다는 목표다. 2007년 시민청원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인천 중구 북성동 일원 42만9000㎡에 주거·사업시설, 수변테크, 광장, 공원 등을 조성하는 것이다. 2012년 항만재개발기본계획에 반영됐고 2018년 마스터플랜이 수립됐다. 2023년 시와 인천항만공사, 인천도시공사가 공동사업시행 기본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 윤성근 경기도의원, ‘방염물품 실화재 실험’ 현장 참관…화재 확산 억제 효과 직접 확인

    윤성근 경기도의원, ‘방염물품 실화재 실험’ 현장 참관…화재 확산 억제 효과 직접 확인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윤성근 부위원장(국민의힘, 평택4)은 9월 3일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한국건설방재시험연구원에서 열린 ‘방염처리 물품의 화재 확산 억제 효과 측정 실화재 실험’에 참석해 방염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번 실험은 최근 잇따라 발생한 아파트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에 대한 대응책으로 마련됐다. 특히 방염처리 여부에 따라 연기 확산과 화재 피해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해, 방염제도의 개선과 관련 법·제도 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윤성근 부위원장은 “스프링클러 등 초기 소화설비가 작동되기까지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방염처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실험을 통해 방염처리의 효과가 명확히 확인된 만큼,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윤 부위원장은 “경기도의회 차원에서도 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시설의 방염 기준 강화와 함께, 비방염 물품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방염제품 보급 확대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실험은 방염처리된 주택 모형과 비방염 모형 두 동을 설치해, 동일 조건에서 점화 후 연소속도, 화염 확산 범위, 연기 농도 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에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LH, SH공사, 주택협회 등 관련 기관이 대거 참석해 실효성 있는 실험 결과에 주목했다. 한편 경기도의회는 앞으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내 건축물 및 주거시설의 방염 안전 기준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관련 조례 제정 및 개정을 통해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韩国艺人车银优在陆军训练所结业式中担任代表训练兵引发热议

    韩国艺人车银优在陆军训练所结业式中担任代表训练兵引发热议

    韩国组合ASTRO成员兼演员车银优在陆军训练所的结业式中担任了代表训练兵,其身着军装和贝雷帽的英姿在网络上迅速传播,引发了广泛关注。 车银优担任代表训练兵进行宣誓仪式 2日,在韩国忠清南道论山举行的陆军训练所结业式中,车银优作为代表,带领同期训练兵们完成了仪式。 当天,车银优身穿整齐的陆军军装,戴着贝雷帽,手持麦克风站在训练兵们面前。他以洪亮的声音宣布:“报告,训练兵李东民(音译)教育结业,已接到指示。在此报告,忠诚!” “对不起,儿子”……车银优的人气让妈妈们纷纷跑动 结业仪式结束后,车银优的身影迅速在各大网络社区和社交媒体上传播开来。训练兵家属们的反馈也成为了热门话题。 一位自称是训练兵父母的网友分享道:“妈妈们都忙着找车银优。我给儿子别上二等兵徽章后,大家都朝车银优的方向跑去。回来后又对儿子说‘对不起儿子’”,生动地描述了现场既好笑又感人的一幕。 网友们纷纷评论:“感觉像在独自拍电影”,“英姿飒爽”,“声音也很迷人”。 车银优将在军乐队继续服役,何时退伍? 据悉,车银优于7月28日入伍论山陆军训练所,完成了基础军事训练后,将在陆军军乐队继续服役。他的退伍日期是2027年1月27日。 车银优在训练所的出色表现不仅展示了他作为艺人的敬业精神,也让他在军中获得了极高的人气。粉丝们期待他在接下来的军乐队服役期间继续展现出优秀的表现。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가수 겸 배우 차은우, 육군훈련소 수료식에서 대표 훈련병으로 나서 화제 아이돌 그룹 아스트로 멤버이자 배우인 차은우가 육군훈련소 수료식에서 대표 훈련병으로 나서며 큰 화제가 되고 있다. 군복과 베레모를 착용한 그의 늠름한 모습이 온라인을 통해 빠르게 퍼지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2일, 충청남도 논산에서 열린 육군훈련소 수료식에서 차은우는 대표로 나서 동기 훈련병들을 이끌었다. 이날 차은우는 단정한 육군 군복과 베레모를 착용하고 마이크를 든 채 훈련병들 앞에 섰다. 그는 “신고합니다. 훈련병 이동민 교육 수료를 명 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 충성!”이라고 힘차게 외쳤다. “미안하다 아들”…차은우의 인기에 엄마들 뛴 사연수료식이 끝난 후, 차은우의 모습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훈련병 가족들의 후기도 화제가 되었다. 한 훈련병 부모라고 밝힌 네티즌은 “엄마들이 모두 차은우를 찾느라 바빴다. 아들에게 이등병 뱃지를 달아주고는 모두 차은우 쪽으로 달려갔다. 그리고 돌아와서는 ‘미안하다 아들아’ 하더라”고 웃픈 현장을 전했다. 네티즌들은 “혼자 영화 찍는 것 같다”, “늠름하고 씩씩하다”, “목소리도 멋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차은우, 군악대에서 계속 복무…전역은 언제?한편, 차은우는 지난 7월 28일 논산 육군훈련소에 입소했으며,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후 육군 군악대에서 계속 복무한다. 그의 전역일은 2027년 1월 27일이다. 차은우의 훈련소에서의 뛰어난 모습은 그가 연예인으로서의 직업정신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군대 내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 팬들은 그가 군악대에서 계속해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다.
  • (영상) 中 레이저 무기, 미사일도 격추?…열병식서 차량탑재형 LY-1 첫 공개 [밀리터리+]

    (영상) 中 레이저 무기, 미사일도 격추?…열병식서 차량탑재형 LY-1 첫 공개 [밀리터리+]

    중국이 3일 전승절 열병식에서 개량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東風·DF)-61을 비롯한 신무기를 대거 공개한 가운데, 레이저 무기도 모습을 드러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날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TWZ)등 외신은 중국이 고출력 레이저 무기 LY-1을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앞선 리허설에서는 방수포로 가려져 있었던 LY-1은 이날 특유의 큰 원형 렌즈를 뽐내며 차량 위에 장착된 채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그 옆으로 여러 개의 작은 렌즈도 있는데, 이는 목표물 포착 및 추적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양옆으로 상자 모양의 구조물에는 레이더나 무선 주파수 센서와 같은 장비가 탑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LY-1의 모습은 공개됐으나 레이저의 출력 등급을 포함한 세부 정보와 실전 배치 여부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LY-1은 동력 장치를 장착할 공간이 충분해 더 높은 출력을 보유할 수 있다”면서 “무인 장비의 공격뿐만 아니라 대함 미사일도 매우 낮은 비용으로 요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TWZ는 LY-1이 차량 위에 탑재된 것에 주목했다. 그간 LY-1은 주로 드론과 미사일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기 위한 함상용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열병식을 통해 지상을 이동하며 발사하는 형태로도 개발됐다는 것을 보여준 것. TWZ는 “LY-1의 크기와 구성을 볼 때 고출력 무기 범주에 속하며 드론이나 미사일과 같은 공중 위협으로부터 함선을 보호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함선 방어는 레이저 무기 개발의 주요 목표인데, LY-1은 미 해군의 레이저 무기 헬리오스(HELIOS)와 유사하다”고 짚었다. 이처럼 레이저 무기가 전승절 열병식에 등장한 것은 그만큼 이 무기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 영국, 이스라엘, 우크라이나 등 여러 국가가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레이저 무기는 고출력 에너지를 직접 표적에 집중시켜 파괴하는 기술로 빛의 속도로 목표물을 무력화시킬 수 있고 정밀 타격과 연속 교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무기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중국은 이날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육·해·공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전략적 핵 3축 체계’를 공개했다. 공중 발사 장거리 미사일인 징레이(驚雷·JL)-1을 비롯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巨浪·JL)-3, 지상 발사 미사일 DF-61, DF-31을 선보인 것이다. 또한 중국은 ‘괌 킬러’로 불리는 DF-26의 개량형인 DF-26D 대함미사일과 무인 잠수정, 항공기 등 유·무인 복합체계도 대거 공개하며 전 세계에 무력을 과시했다.
  • 최민규 서울시의원, 화재 대응 차별성 있는 연구와 소방관 심리 안정 강화로 재발 방지 대책 강조

    최민규 서울시의원, 화재 대응 차별성 있는 연구와 소방관 심리 안정 강화로 재발 방지 대책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속 최민규 의원(국민의힘, 동작2)은 제332회 임시회 소방재난본부 업무보고에서 지하공간 화재 대응 연구와 소방공무원 심신 건강 관리 대책을 질의하며, 재난 대응의 핵심은 재발 방지와 실효성 확보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지하공간 화재 대응 연구와 관련해 “서울연구원이 추진 중인 과제가 지난해 연구와 차별성이 없다면 의미가 없다”라며 “용역이 완료되는 대로 결과를 제출하고 현장 대응에 필요한 개선책이 담겨야 한다”고 요구했다. 소방재난본부는 “6월에 중간보고를 받았고, 용역은 9월 완료 후 11월 말까지 결과를 제출할 예정”이라며 “올해 연구는 지하공간 대응 매뉴얼과 첨단 장비 도입을 중점에 둬 지난해 연구와는 차별화해 현장 대응 매뉴얼 보완과 장비 개선에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 의원은 소방공무원 심신 건강 관리에 대해 “상담사 확충, 장비 교체 같은 실적만 나열될 뿐 상담 지속률·치료 연계율·PTSD 치료 관련 지표는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다”면서 “중대 사건 이후의 사후관리와 치료 성과 지표 관리가 반드시 강화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소방재난본부는 “심리적 지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치료 관련 지표 관리와 사후 지원 강화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소방재난본부가 화재 대응을 위한 복구 속도를 내세우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반복되는 피해를 줄이고 재발 방지로 이어질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거듭 개선을 당부했다
  • 12분 초고속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한다

    12분 초고속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한다

    국내 연구진이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 거리에 해당하는 800㎞를 주행할 수 있는 리튬메탈전지를 개발했다.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 운영하는 프론티어 연구소(FRL) 연구팀이 리튬메탈전지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응집 억제형 신규 액체 전해액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리튬이온전지가 최대 600㎞ 주행에 머물렀지만, 이번 기술이 적용된 리튬메탈전지는 1회 충전에 800㎞ 주행, 누적 30만 ㎞ 이상 수명을 갖고, 12분 초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9월 4일 자에 실렸다. 리튬메탈전지는 리튬이온 전지 핵심 재료 중 하나인 흑연 음극을 리튬메탈로 대체한 것이다. 리튬메탈 전지는 높은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전기차의 주행거리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지의 수명과 안정성 확보를 어렵게 하는‘덴드라이트’라는 기술적 난제를 가진다. 덴드라이트는 배터리 충전 시 음극 표면에 나뭇가지 모양의 리튬 결정체가 형성되는 현상인데, 급속 충전을 할 때 더 심각하게 발생하며 전지 내부 단락을 유발하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이 때문에 급속 충전 조건에서 재충전할 수 있는 리튬메탈전지의 기술은 구현이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급속 충전 시 덴드라이트 형성의 근본적 원인이 리튬메탈 표면에서 불균일한 계면 응집반응 때문이라는 점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응집 억제형 신규 액체 전해액’을 개발했다. 새로 개발한 액체 전해액은 리튬 이온과 결합력이 약한 음이온 구조를 활용해 리튬 계면 상의 불균일성을 최소화하고, 급속 충전 시에도 덴드라이트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높은 에너지밀도를 유지하면서도, 기존 리튬메탈전지에서 한계로 지적되던 느린 충전 속도를 극복해 긴 주행거리를 확보하면서도 빠른 충전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를 이끈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계면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해 리튬메탈전지의 기술적 난제를 돌파하는 핵심 토대가 돼, 리튬메탈전지가 전기차에 도입되기 위한 가장 큰 장벽을 넘어섰다”라고 말했다.
  • GH, 양주 은남산단 제조시설용지 공급···양주시, 매입비 10% 지원

    GH, 양주 은남산단 제조시설용지 공급···양주시, 매입비 10% 지원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양주 은남일반산업단지 내 산업시설용지 11필지를 신규 공급한다고 4일 밝혔다. 공급 용지는 제조시설용지 11필지로 입주 가능 업종은 식료품 제조업,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 등이다. 공급단가는 추정 조성원가로 3.3㎡당 199만7000원이다. 필지당 면적은 3598 ~7723㎡이며 공급 금액은 21억7359만 원~46억6556만 원이다. 대금납부 조건은 3년 이내 6개월 간격 균등 분할 납부이고, 토지 사용 시기는 사업준공 예정일인 2027년 12월이다. 입주 기업은 양주시로부터 부지매입비의 10%를 지원받을 수 있다. 분양 신청은 9월 16일~18일까지 가능하며, 양주시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9월 30일 선정한다. 양주 은남일반산업단지는 양주시 은현면과 남면 일원에 99만2361㎡ 규모로 조성된다.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서양주 IC, 서울-양주 고속도로(예정)와 인접해 인천공항 및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좋다.
  • 급가속 막고 ‘댕댕이’ 지키고… 기아, 패밀리 전기차 ‘EV5’ 출격

    급가속 막고 ‘댕댕이’ 지키고… 기아, 패밀리 전기차 ‘EV5’ 출격

    기아는 다섯 번째 전용 전기차인 ‘더 기아 EV5’(EV5)를 국내에서 출시하고 4일부터 계약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소형 EV3부터 대형 EV9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모두 갖추게 된 기아가 안전성을 강화한 ‘패밀리카’로 국내 전기차 시장 저변 확대에 나선 것이다.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EV5는 2023년 11월 중국에서 먼저 출시됐지만, 이번 모델은 중국형과 달라진 신차로 나왔다. 중국 생산 EV5는 BYD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적용하나,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생산되는 이번 EV5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춘 중국 CATL의 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NCM) 배터리를 장착했다. 기아 관계자는 “기존보다 고출력에 대응하는 고성능 배터리이며, 국내에선 NCM 배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1회 충전 시 460㎞ 주행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EV5에는 현대차그룹 최초로 가속 제한 보조 기능이 적용됐다. 차량이 시속 80㎞ 미만 속도로 주행 중인 상황에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깊고 오랫동안 밟을 경우 운전자에게 클러스터 팝업 메시지, 음성메시지로 경고해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후방에 장애물이 있는데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해 급조작하는 경우 페달 오조작 상황임을 알리고 가속 제한과 제동 제어를 하는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 기능도 탑재됐다. ‘펫 모드’도 탑재돼 반려동물을 차에 두고 내리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내 적정 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반려동물이 차량 내 각종 버튼을 눌러도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판매 가격은 4855만원부터 시작한다. 보조금을 고려하면 4000만원대 초반부터 구매가 가능하다.
  • 업계 첫 ‘양산용 노광 장비’ 도입… SK하이닉스 “AI 메모리 선도”

    SK하이닉스가 메모리 업계에서 처음으로 양산용 차세대 노광 장비인 ‘High(하이) NA EUV’를 이천 M16 팹(반도체 생산공장)에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 노광 장비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설계도인 회로 패턴을 웨이퍼 위에 새겨 넣는 장비다. 하이 NA EUV는 네덜란드 ASML이 개발한 ‘트윈스캔 EXE:5200B’ 모델로 현존 장비 중 가장 미세한 회로 패턴 구현이 가능해 선폭 축소와 집적도 향상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 EUV 대비 40% 향상된 광학 기술로 1.7배 더 정밀한 회로 형성이 가능하고 2.9배 높은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다. 패턴 구현 과정에서 반복 노광을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반도체 업체는 회로를 더 정밀하게 새길수록 웨이퍼당 칩 생산량이 늘고 전력 효율과 성능이 개선돼 생산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2021년 10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4세대 D램 공정에 EUV를 처음 도입한 이후 최첨단 D램 제조에 EUV 적용을 확대해 왔다. 이번 하이 NA EUV 장비 도입을 통해 기존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세대 메모리 개발 속도를 높여 성능과 원가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 환경에서 고객 니즈에 부응하는 첨단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반입 기념행사에는 ASML코리아 김병찬 사장, SK하이닉스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CTO)과 이병기 제조기술담당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차선용 CTO는 “급성장하는 AI와 차세대 컴퓨팅 시장이 요구하는 최첨단 메모리를 앞선 기술로 개발해 AI 메모리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3월 하이 NA EUV 장비를 들여와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메모리와 파운드리 제품 개발에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6 + 3 = 미래 도시 부산 강서’ 해내겠습니다

    ‘6 + 3 = 미래 도시 부산 강서’ 해내겠습니다

    부산의 변방이었던 강서구가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미래를 열어 나갈 중심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강서구는 부산에서 평지가 가장 넓은 낙동강 하구와 같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공항과 항만, 철도를 모두 갖춘 부울경의 교통 허브 중심도시다. 투자사업비가 모두 100조원을 넘어 기초지자체로선 전국 최대 규모의 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강서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3일 조명해 봤다. 강서구는 1978년 경남 김해에서 부산 북구로 편입된 데 이어 1989년 자치구로 승격했다. 강서구는 면적이 182㎢로 부산의 4분의1, 서울의 3분의1에 달한다. 여기에 산과 바다, 낙동강 등 4개의 국가하천과 부산 최대의 섬 가덕도를 모두 갖춘 천혜의 자연환경이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또 가덕도 신공항과 김해공항, 부산항 신항에다 남해고속도로 등 입체적인 연결 도로망을 갖춘 교통 물류 허브다. 일자리도 많다. 녹산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한 20여개 산업단지에서 5200여개 기업이 가동 중인 부산의 산업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가덕도 신공항과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세계 6위인 부산항 신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인 에코델타시티 복합수변공간 조성 등 대형 국가기반사업이 진행 중이어서 성장 잠재력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강서구에서 진행 중인 개발사업의 총투자사업비는 100조원이 넘는다. 기초지자체로는 전국 최대 규모다. 현재 에코델타시티(2012~2028, 계획인구 10만명), 명지국제신도시(2003~2026, 8만명), 연구개발특구 첨단복합지구(2012~2030), 대저공공주택지구(2020~2032, 6만명), 강동공공주택지구(2020~2026, 5000명),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2017~2030) 등 6곳이 조성되고 있다. 여기에 3곳이 추가로 조성된다. 제2 에코델타시티(10.4㎢)와 화전동 일원 트라이포트 복합물류단지인 동북아물류플랫폼(2.8㎢)이 지난 2월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됐고, 눌차·두문·천성 등 3개 지구를 개발하는 가덕도 공항복합도시(994만㎡)가 계획 수립 단계에 있다. 이와 더불어 교통 기반 시설도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명지국제신도시와 녹산국가산단을 연결하는 도시철도 하단~녹산선(13.47㎞, 2021~2029, 사업비 1조 4489억원), 강서구 남북을 가로지르는 강서선(21.1㎞, 2022~2032, 4850억원), 강서선과 연결되는 부전~마산 복선전철(32.7㎞, 2014~2026, 1조 6000억원) 등이 추진 중이다. 동부산과 서부산을 연결하는 낙동강 횡단교량 2개(대저·엄궁대교)가 상반기에 착공했고, 생곡동과 에코델타시티를 잇는 장낙대교도 이달 첫 삽을 뜬다. 부산신항~김해(13㎞) 고속도로도 1조 2653억원을 투입해 2029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강서구는 부산시 16개 기초지자체 중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력을 상징하는 지역내총생산(GRDP)이 2022년 기준 19조 509억원으로 1위이며, 1인당 GRDP도 1억 3249만원으로 부산시 평균 3446만원의 3.8배나 높다. 고용률도 지난해 하반기 기준 70.3%로 부산시(56.7%)는 물론 전국 평균(61.4%)을 훨씬 웃돈다. 인구 관련 지표는 특히 주목된다. 지난해 기준 합계출산율이 0.97명으로 부산시 평균 0.68명과 전국 평균 0.75명보다 훨씬 높은 1위다. 평균 연령은 40.7세로 전국 평균보다도 5살이나 젊다. 14세 이하 유소년 부양비는 26.9명으로 전국 1위다. 젊은 인구 유입에 힘입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17년간 인구가 지속 증가한 부산 유일의 자치구다. 강서구 인구는 6월 현재 14만 6843명으로, 가장 적었던 2007년 5만 1819명 대비 3배 가까이 급증했다. 반면 고령화율(65세 이상 인구비)은 15%로, 부산시 24%와 전국 평균 20.1%보다도 훨씬 낮다. 이에 힘입어 지난 7월 한국정책경영연구원의 지속가능도시 종합평가에서 전국 2위(특·광역시 자치구 69개 대상)를 차지했고 시민행복도시 부문은 1위에 올랐다. 강서구는 국가 기반 시설 개발에 걸맞은 생활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는다. 우선 대중교통 체계 혁신에 나서 시내버스 노선을 10개 증설하고 마을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하는 등 대중교통 소외 지역을 최소화했다. 문화 관광 인프라도 크게 늘렸다. 기초지자체 최초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낙동아트센터(630억원)와 빙상장을 갖춘 멀티콤플렉스 스포츠 센터(307억원),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277억원)가 있다. 국내 최장 해상도보교인 부산 수상워크웨이(442억원)는 설계용역 중이다. 108홀 규모의 대저생태공원 파크골프장은 부산 파크골프의 성지로 부상했다. 강서열린문화센터(332억원) 등 문화 공간도 증가했다. 교육환경 기반은 글로벌 명품급으로 다졌다. 기초지자체 최초로 초중고 모든 학생에게 입학준비금과 학습지원비를 준다. 부산시 1호 외국교육기관인 영국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초중고 과정, 2028년 개교)가 조성 중이고, 영국 웰링턴칼리지 부산캠퍼스(유치원과 초등 과정, 2027년 개교)도 건립 중이다. 사람 중심의 복지도 구현하고 있다. 70세 이상 어르신 구민들에게 분기별 목욕이용권을 지급하고 미등록 경로당도 지원한다. 500병상 규모의 동국대병원이 있는 명지복합메디컬타운과 350병상의 종합병원도 유치해 의료 복지 수준을 높이고 있다. 강서구는 서울 중심의 수도권 1극 체제를 극복할 부울경 중심의 글로벌 허브도시 구축의 선봉장이다. 현재 진행 중인 ‘6+3 도시’가 완성되면 5~6년 내에 강서구는 인구 30만명을 넘어 50만명에 이르는 부산 최대 인구 보유 기초지자체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5분 도시를 완벽하게 구현하는 직주근접 자족도시 완성도 가시화되면서 강서구는 부산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 전 세계 사정권 핵미사일·스텔스 AI 드론… 美겨냥 군사굴기 과시

    전 세계 사정권 핵미사일·스텔스 AI 드론… 美겨냥 군사굴기 과시

    美 본토 타격 가능한 둥펑-61둥펑-17, 사드 요격도 무력화 “신무기로 인태지역 균형 변화”육해공 핵미사일 발사 체계 차세대 전투기·AI드론도 공개“최신 기술 가진 군사강국 과시” 중국이 3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미국을 겨냥한 최첨단 무기와 장비를 대거 공개하며 ‘군사굴기’를 보여 줬다. 개량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DF)-61을 포함한 ‘핵 3축 체계’도 처음으로 모습을 보이면서 중국이 핵 능력 과시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차를 타고 사열하는 동안 화면을 통해 중국의 최첨단 무기들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미 본토를 사정권에 둔 무기들은 중국이 미국을 겨냥하고 있음을 보여 줬다. DF-61은 중국이 2019년 열병식 때 내보인 둥펑-41의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둥펑-41의 사거리는 1만 2000~1만 5000㎞로 미국 워싱턴DC까지 날아갈 수 있는데 DF-61도 미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DF-61은 신형 고체연료로 추진되는 시스템을 사용해 발사 준비 시간을 크게 줄였고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체’(MIRV)를 탑재해 동시에 여러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 DF-5B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DF-5C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대륙간 전략핵미사일이다. 최대 사거리 2만㎞이며 중국 신화통신은 “중국 전략 반격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타격 범위가 전 세계에 이른다”고 소개했다. 속도도 수십 마하 수준으로 추정돼 적의 방공망을 피할 수 있고 MIRV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사거리 5000㎞ 정도로 ‘괌 킬러’로 불리는 대함미사일 DF-26D도 눈길을 끌었다. 기존 DF-26의 개량형으로 정밀 타격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전해졌다. DF-26D는 ‘제2도련선’인 괌은 물론 주일 미군기지나 필리핀해를 공격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는 DF-26D가 “인도·태평양 지역 군사적 힘의 균형을 기울어지게 했다”면서 “DF-26D 때문에 대만 유사시 미 항공모함이 대만해협 1000㎞ 이상 떨어져야 해 항공 지원이 제한된다”고 전했다. ‘제1도련선’에서 주한미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및 일본의 SM-3 요격 시스템을 무력화할 것으로 평가되는 사거리 1800~2500㎞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DF-17도 선보였다. DF-17은 종말 단계(대기권으로 재진입해 목표를 향해 내려오는 마지막 구간)에서 예측 불가능한 궤도로 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에 직접적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이 자랑하는 대공방어망 무기 체계인 HQ-29도 공개됐다. HQ-29는 중장거리 요격 능력을 갖춘 차세대 지대공미사일로 그동안 대외에 공개되지 않은 중국의 최첨단 대공방어 체계다. 중국 본토 방어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로 고고도 요격까지 가능해 중국이 다층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날 열병식에서는 최초로 육해공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전략적 핵 3축 체계’도 공개됐다. 지상 발사 미사일 DF-31, 공중 발사 장거리 미사일인 징레이(JL)-1,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JL)-3 등이 선보였다. 신화통신은 “이들 무기는 중국의 주권과 민족의 존엄을 수호하는 전략적 에이스 전력”이라며 완전한 핵 억지력을 갖춘 무기 체계로 평가했다. 하늘에는 젠(J)-20S와 J-35A 등 중국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가 등장해 공중 전력을 과시했다. J-20S는 드론 통제 등 유무인 복합 임무 수행을 위해 개발된 기종이다. 또한 유인 항공기와 작전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자체 판단이 가능하고 스텔스 기능까지 갖춘 AI 드론 페이훙(FH)-97도 공개됐다.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초대형 무인 잠수정도 처음 선보였다.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를 피해 한반도 주변을 포함한 인근 해역 작전에 투입돼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올해 중국 열병식은 대함 극초음속미사일, 러시아 포세이돈과 유사한 무인 잠수정 등을 공개하며 중국의 서태평양 영역 지배 전략인 ‘반(反)접근·지역 거부’를 위한 최신 무기 체계가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지상과 공중, 해상 유무인 복합체계 공개와 함께 레이저 무기, 대형 다탄두 재진입체(RV)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최신 군사기술을 가진 군사 강국임을 과시했다”고 평가했다.
  • 민주노총, 26년 만에 노사정 ‘사회적 대화’ 복귀한다

    민주노총, 26년 만에 노사정 ‘사회적 대화’ 복귀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3일 국회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1999년 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탈퇴한 지 26년 만이다. 친노동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이재명 정부에서 민주노총의 이번 결정으로 사회적 대화 복원에 물꼬가 트일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마포구청 대강당에서 중앙위원회를 열고 ‘국회 사회적 대화’ 참여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재적 위원 355명 중 261명이 참석해 142명(54.4%)이 찬성했다. 민주노총은 “국회를 대화의 무대로 삼아 노정 교섭을 뒷받침하고 산별 교섭을 제도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회 사회적 대화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공들이는 노사정 대화 기구다. 지난해 8월 우 의장은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자 국회 중심의 사회적 대화를 제안했다. 본격 논의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됐다. 현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가 참여하며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 보호 강화’(노동계 제안), ‘첨단 신산업 경쟁력 강화’(경영계 제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민주노총이 복귀를 결정하면서 노사정 대화가 필수적인 ▲정년 연장 ▲주 4.5일제 등 산적한 현안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민주노총이 국회 대화에 참여하기로 한 것도 노동계가 주도적으로 입법에 참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비상계엄 시국에서 민주노총이 거리에서 역할을 했고 국민에게 효능감을 보여 줬다”면서 “새 정부에서 입법 정책으로 민주노총이 사회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경사노위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경사노위 관계자는 “멈췄던 노사정 대화가 재개된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이것을 계기로 민주노총이 경사노위에도 복귀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노동계의 발언권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통령과 정부 모두 친노동 정책을 밀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정 대화가 공평하게 진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노동계 주장만 입법에 반영되는 건 아닌지 경영계의 우려가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1999년 2월 공기업과 대기업 구조조정에 반발해 노사정위원회를 탈퇴했다. 2005년 지도부가 노사정 대화 복귀를 선언했지만 내부 강경파의 반발에 막혀 무산됐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사회적 대화 복원의 물꼬가 트이는 듯했지만, 2018년 6월 최저임금 심의에 대한 반발로 사회적 대화 참여로 이어지지 못했다. 2020년 7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문까지 작성했다가 발표 15분 전에 민주노총이 불참을 통보해 노사정 합의가 무산되기도 했다.
  • 중국의 ‘메이드 인 차이나’ 자부심…전 세계 타격 가능 첨단 무기 생중계

    중국의 ‘메이드 인 차이나’ 자부심…전 세계 타격 가능 첨단 무기 생중계

    중국이 3일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미국을 겨냥한 최첨단 무기와 장비를 대거 공개하며 ‘군사굴기’를 보여줬다. 개량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東風·DF)-61을 포함한 ‘핵 3축 체계’도 처음 모습을 보이면서 중국이 핵 능력 과시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차를 타고 사열하는 동안 중계화면에는 중국의 최첨단 무기들이 차례로 포착됐다. 미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둔 무기들은 중국이 미국을 겨냥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DF-61은 중국이 2019년 열병식 때 내보인 둥펑-41의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둥펑-41의 사거리는 1만2000~1만5000㎞로 미국 워싱턴DC까지 날아갈 수 있는데 DF-61도 미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둘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DF-61은 신형 고체연료로 추진하는 시스템을 사용해 발사 준비 시간을 크게 줄였고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체’(MIRV)를 탑재해 동시에 여러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 DF-5B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DF-5C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대륙간 전략핵미사일이다. 최대 사거리가 2만㎞로 중국 신화통신은 “중국 전략 반격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타격 범위가 전 세계에 이른다”고 소개했다. 속도도 수십 마하 수준으로 추정돼 적의 방공망을 피할 수 있고 MIRV를 탑재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사거리 5000㎞ 정도로 ‘괌 킬러’로 불리는 대함미사일 DF-26D도 눈길을 끌었다. 기존 DF-26의 개량형으로 정밀 타격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전해졌다. DF-26D는 ‘제2 도련선’인 괌은 물론 주일 미군기지나 필리핀해를 타격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핵과 재래식 탄두 모두 탑재 가능하다. 미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는 DF-26D가 “인도·태평양 지역 군사적 힘의 균형을 기울어지게 했다”면서 “DF-26D 때문에 대만 유사시 미 항공모함이 대만해협 1000㎞ 이상 떨어져야 해 항공지원이 제한된다”고 전했다. 제1도련선에서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및 일본의 SM-3 요격 시스템을 무력화할 것으로 평가되는 사거리 1800~2500㎞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DF-17도 선보였다. DF-17은 종말 단계(대기권으로 재진입해 목표를 향해 내려오는 마지막 구간)에서 예측 불가능한 궤도로 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에 직접적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이 자랑하는 대공방어망 무기체계인 훙치(红旗·HQ)-29도 공개됐다. HQ-29는 중장거리 요격 능력을 갖춘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로 그동안 대외에 공개되지 않은 중국의 최첨단 대공방어 체계다. 중국 본토 방어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로 고고도 요격도 가능해 중국이 다층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날 열병식에서는 최초로 육·해·공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전략적 핵 3축 체계’도 공개됐다. 지상 발사 미사일 DF-31, 공중 발사 장거리 미사일인 징레이(驚雷·JL)-1,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巨浪·JL)-3 등이 선보였다. 신화통신은 “이들 무기는 중국의 주권과 민족의 존엄을 수호하는 전략적 에이스 전력”이라며 완전한 핵 억지력을 갖춘 무기체계로 평가했다. 하늘에는 젠(殲·J)-20S와 J-35A 등 중국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가 등장해 공중전력을 과시했다. J-20S는 드론 통제 등 유무인 복합 임무 수행을 위해 개발된 기종이다. 또한 유인 항공기와 작전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자체 판단이 가능하고 스텔스 기능까지 갖춘 AI 드론 페이훙(飛鴻·FH)-97도 공개됐다. FH-97 공개는 중국이 미국보다 먼저 윙맨 전투기를 세계 최초로 실전 배치했음을 시사한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올해 중국 열병식은 대함 극초음속미사일, 러시아 포세이돈과 유사한 무인잠수정 등을 공개하며 중국의 서태평양 영역 지배 전략인 반접근, 지역거부를 위한 최신 무기체계가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지상과 공중, 해상 유무인복합체계 공개와 함께 레이저무기, 대형 다탄두 재진입체(RV)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최신 군사기술을 가진 군사강국임을 과시했다”고 평가했다.
  • 후티 관료 몰살하고 위성까지 쏜 이스라엘…“적 항상 감시 중”

    후티 관료 몰살하고 위성까지 쏜 이스라엘…“적 항상 감시 중”

    │예멘 공습과 정찰위성 발사로 정보·정밀타격 능력 결합…이스라엘, 압도적 대응 원칙 가동 이스라엘은 예멘 반군 후티 고위 인사 12명을 표적 공습으로 제거한 뒤 곧바로 신형 정찰위성을 발사하며, 정보·정밀타격 능력을 결합한 압도적 대응 전략을 드러냈다. 이스라엘은 ‘첩보-감시-타격’ 삼각체제를 본격적으로 가동하며 전후 중동 질서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후티 고위직 12명 ‘핀셋 공습’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보요원 두 명이 닷새 전 후티 장관 회동 신호를 포착한 지 몇 시간 만에 전투기를 출격시켰다”고 보도했다. 당시 후티 지도자 압둘 말리크 알후티가 화상 연설을 하던 회의장에 각료들이 모여 있었고, 공습으로 총리와 외무장관을 포함한 최소 12명이 사망했다. 후티 측은 다수의 고위 인사가 중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은 그동안 후티 공격에 항만·발전소 같은 인프라를 주로 타격했지만, 이번에는 각료들을 직접 겨냥하며 대응 방식을 바꿨다. 오데드 아일람 전 모사드 간부이자 예루살렘 안보외교센터 연구원은 “이스라엘이 비례적 보복 공식을 관두고 압도적 응징으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미국 기반 중동 분석가 모하마드 알바샤는 “이스라엘이 후티의 행정적 간판을 때렸을 뿐, 실질 권력 구조까지 무너뜨리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WSJ도 “과감한 공격이었지만 정보 승리로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스라엘 카츠 국방장관은 공습 직후 “후티 지도부 남은 세력이 사나에서 도망쳤다”며 추가 타격을 경고했다. 후티는 드론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했지만 이스라엘 본토에 도달하지 못했고, 홍해 선박 공격도 실패했다. 2년 반 만의 신형 정찰위성 이스라엘군과 방위산업체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은 이틀 뒤인 이달 2일 밤, 중부 팔마힘 공군기지에서 ‘오페크-19’ 레이더 정찰위성을 쏘아 올렸다. 이는 2023년 3월 ‘오페크-13’ 이후 2년 반 만이다. 이스라엘 국방부는 오페크-19가 궤도에 안착해 초기 시험을 통과하고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군사정보국 예하 시각정보 전문부대 ‘9900부대’가 곧바로 운용을 맡을 예정이다. 이츠하크 헤르조그 대통령은 “우리는 단순한 스타트업 국가가 아니라 우주 국가”라며 “적의 움직임을 언제든 포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요아브 갈란트 전임 국방장관도 “오페크-19 발사는 모든 적에게 보내는 메시지”라며 “우리는 항상 당신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FAFO 원칙”…압도적 대응 전략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최근 강경 노선을 “FAFO(F*** around and find out, 까불면 다친다)”라고 부른다. WSJ은 “이스라엘이 어떤 잠재적 위협에도 즉각적이고 강력히 반격하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밝혔다”고 전했다. 후티 수뇌부는 공습 이후 휴대전화를 끄고 은신처를 매일 옮기며 암살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후티 전담 첩보조직에 약 200명의 요원을 투입해 동향을 추적하며 장기적 억지 효과를 노린다. ‘첩보-감시-타격’ 삼각체제이스라엘은 후티 공습과 정찰위성 발사로 전후 안보 전략의 전환점을 명확히 했다. 후티 전담 첩보조직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오페크-19가 장기 감시망을 제공하며 정밀 타격 능력이 이를 완성한다. 이 삼각체제는 단순한 응징을 넘어, 정보와 전력을 통합한 지속적 압박 구조로 작동한다.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약화한 뒤 후티가 이란의 마지막 유력 대리세력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이스라엘은 전장을 ‘예방적 타격’과 ‘우주 기반 감시’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감시·첩보·타격을 하나의 전략 틀로 결합해 중동 내 세력 균형을 장기적으로 주도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 “항상 지켜본다”…이스라엘, 참수작전 하더니 신형 위성까지 가동 [핫이슈]

    “항상 지켜본다”…이스라엘, 참수작전 하더니 신형 위성까지 가동 [핫이슈]

    │예멘 공습과 정찰위성 발사로 정보·정밀타격 능력 결합…이스라엘, 압도적 대응 원칙 가동 이스라엘은 예멘 반군 후티 고위 인사 12명을 표적 공습으로 제거한 뒤 곧바로 신형 정찰위성을 발사하며, 정보·정밀타격 능력을 결합한 압도적 대응 전략을 드러냈다. 이스라엘은 ‘첩보-감시-타격’ 삼각체제를 본격적으로 가동하며 전후 중동 질서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후티 고위직 12명 ‘핀셋 공습’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보요원 두 명이 닷새 전 후티 장관 회동 신호를 포착한 지 몇 시간 만에 전투기를 출격시켰다”고 보도했다. 당시 후티 지도자 압둘 말리크 알후티가 화상 연설을 하던 회의장에 각료들이 모여 있었고, 공습으로 총리와 외무장관을 포함한 최소 12명이 사망했다. 후티 측은 다수의 고위 인사가 중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은 그동안 후티 공격에 항만·발전소 같은 인프라를 주로 타격했지만, 이번에는 각료들을 직접 겨냥하며 대응 방식을 바꿨다. 오데드 아일람 전 모사드 간부이자 예루살렘 안보외교센터 연구원은 “이스라엘이 비례적 보복 공식을 관두고 압도적 응징으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미국 기반 중동 분석가 모하마드 알바샤는 “이스라엘이 후티의 행정적 간판을 때렸을 뿐, 실질 권력 구조까지 무너뜨리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WSJ도 “과감한 공격이었지만 정보 승리로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스라엘 카츠 국방장관은 공습 직후 “후티 지도부 남은 세력이 사나에서 도망쳤다”며 추가 타격을 경고했다. 후티는 드론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했지만 이스라엘 본토에 도달하지 못했고, 홍해 선박 공격도 실패했다. 2년 반 만의 신형 정찰위성 이스라엘군과 방위산업체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은 이틀 뒤인 이달 2일 밤, 중부 팔마힘 공군기지에서 ‘오페크-19’ 레이더 정찰위성을 쏘아 올렸다. 이는 2023년 3월 ‘오페크-13’ 이후 2년 반 만이다. 이스라엘 국방부는 오페크-19가 궤도에 안착해 초기 시험을 통과하고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군사정보국 예하 시각정보 전문부대 ‘9900부대’가 곧바로 운용을 맡을 예정이다. 이츠하크 헤르조그 대통령은 “우리는 단순한 스타트업 국가가 아니라 우주 국가”라며 “적의 움직임을 언제든 포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요아브 갈란트 전임 국방장관도 “오페크-19 발사는 모든 적에게 보내는 메시지”라며 “우리는 항상 당신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FAFO 원칙”…압도적 대응 전략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최근 강경 노선을 “FAFO(F*** around and find out, 까불면 다친다)”라고 부른다. WSJ은 “이스라엘이 어떤 잠재적 위협에도 즉각적이고 강력히 반격하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밝혔다”고 전했다. 후티 수뇌부는 공습 이후 휴대전화를 끄고 은신처를 매일 옮기며 암살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후티 전담 첩보조직에 약 200명의 요원을 투입해 동향을 추적하며 장기적 억지 효과를 노린다. ‘첩보-감시-타격’ 삼각체제이스라엘은 후티 공습과 정찰위성 발사로 전후 안보 전략의 전환점을 명확히 했다. 후티 전담 첩보조직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오페크-19가 장기 감시망을 제공하며 정밀 타격 능력이 이를 완성한다. 이 삼각체제는 단순한 응징을 넘어, 정보와 전력을 통합한 지속적 압박 구조로 작동한다.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약화한 뒤 후티가 이란의 마지막 유력 대리세력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이스라엘은 전장을 ‘예방적 타격’과 ‘우주 기반 감시’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감시·첩보·타격을 하나의 전략 틀로 결합해 중동 내 세력 균형을 장기적으로 주도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 기어 ‘D’에 넣고 내렸다가 숨졌다…반복되는 주차 사망사고

    기어 ‘D’에 넣고 내렸다가 숨졌다…반복되는 주차 사망사고

    주행 상태에서 차량을 멈추지 않은 채 하차한 운전자가 차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잇따르면서 주의가 요구된다. 3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54분쯤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의 한 공터에서 40대 여성 A씨가 두 차량 사이에 끼여 발견됐다.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조사 결과 A씨는 차량의 변속기를 ‘주차(P)’에 두지 않고 ‘주행(D)’ 상태로 둔 채 하차한 것으로 파악됐다. 차에서 내린 뒤 차량이 앞으로 밀리자 이를 맨몸으로 막으려 했고, 앞에 서 있던 다른 차량과 사이에 끼이면서 변을 당했다. 비슷한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안산시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는 60대 여성이 주행 기어를 두고 내리다 차량 문과 기둥 사이에 끼여 숨졌다. 같은 해 10월 경기 동두천의 한 주차장에서는 50대 여성이 주차 요금을 내기 위해 정산기에 몸을 기울이던 중, 앞으로 굴러간 차량 문에 끼여 목숨을 잃었다. 2023년 11월에는 고속도로 무인 톨게이트에서 70대 남성이 기어를 주행에 둔 채 차 문을 열고 요금을 내리다 차량이 구조물과 충돌하면서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경찰은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전문가들은 “주차 시 반드시 변속기를 P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까지 채운 뒤 차량을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