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플라스틱·AI… 무엇이 현대문명 지탱할까
요즘 모였다 하면 챗GPT를 입에 올리곤 한다. 하지만 농업생산 기술이 인류를 얼마나 바꿨는지 얘기하는 이는 찾기 어렵다. 2세기 전 밀 1㎏을 생산하는 데 10분 걸렸던 것이 이제는 2초 안팎으로 줄었다. 인구의 80%가 빵을 만들거나 밥 짓는 데 매달려야 했다면 산업활동, 운송과 통신, 일상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은 혁신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현대 세계로 가는 길은 값싼 강철 쟁기와 무기질 비료로부터 시작됐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경이로움은 덧없는 것이며, 우리 세계는 어차피 강철과 플라스틱, 콘크리트와 암모니아로 만들어진다. 저자는 이를 현대 문명의 네 기둥이라고 했다.
현대인은 어느 시대보다 많은 정보를 접하고 있지만, 도시화·기계화 때문에 우리 생존의 기반이 되는 먹거리, 원자재, 상품 등이 어떻게 생산되고 이동하는지 알지 못한다. 이런 이해 부족 탓에 사람들은 채팅형 인공지능에 대한 장밋빛 기대나, 기후위기로 세계가 종말을 맞으리란 비통한 예언에 휘둘리곤 한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이 책은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무엇이 현대 문명을 지탱하는지에 대해 우리가 믿고 있던 것들이 뭐가 잘못됐는지 예리하게 들춰낸다. 식량과 환경부터 에너지, 바이러스, 기후변화, 세계화까지 객관적 통계와 수학적 자료를 토대로 인류의 과거를 돌아보고 현대 문명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가려낸다. 나아가 미래의 한계와 기회를 통찰하게 만든다.
저자가 국제기구에서 일하며 50여년 연구해 온 결과를 집대성한 이 책의 주제는 일곱 질문으로 압축된다. 빵과 닭고기, 토마토 중 무엇의 환경 비용이 더 클까? 합성비료 없이 세계 인구를 먹여 살리는 일이 가능할까?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까?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기후변화를 멈추는 방법이 있을까? 기후변화를 늦추는 정책의 손익분기 시점은 언제인가? 바이러스, 자연재해, 교통사고까지 일상의 위험을 계량할 수 있을까? 팬데믹 시대에 경험한 세계화 흐름은 이제 끝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