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깅·수영·사이클 등 유산소성운동/“혈관질환 예방” 과학적 입증
◎서울중앙병원 김철준 교수 연구결과/산소섭취량 늘려 심장운동능력을 배가/혈압·맥박수 낮춰 동맥경화·협심증 막아/역도등 무산소운동은 혈압상승등 오히려 역효과
새해가 되면 갖가지 건강에 대한 계획을 세우게 된다. 알맞은 영양섭취,적당한 운동은 건강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운동에 대한 계획중 특히 유산소성운동이 각종 성인병의 요체인 동맥경화등 심혈관질환에 좋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어 참고로 삼아야겠다.
울산의대부속 서울중앙병원 가정의학교실 김철준 교수는 「장기간의 유산소성운동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이란 연구에서 이같은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산소성운동」이 안정시와 운동시의 최고혈압인 수축기혈압과 심박(맥박)수·중성지방농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를 막아주는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을 높임으로써 동맥경화등 관상동맥질환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또 심장의 기능이 좋은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최대산소섭취량을 증가시켜 심장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교수는 6개월∼1년간 40∼60세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조깅·수영·고정식 자전거타기 등 유산소성 운동을 최대운동능력 60∼85%의 강도로 했을 때 체지방량의 변화·혈압·심박수의 변화 등을 측정했다.
규칙적인 운동하기 전과 후의 차이는 ▲몸무게·가슴둘레 등은 별다은 변화를 확장할 수 없었으나 지방분이 줄고 근육이 발달하는 체지방의 감소가 뚜렷했으며 ▲심박수는 1분당 76.6회에서 70.3회로,수축기혈압은 1백29.6㎜Hg에서 1백22.3㎜Hg로 떨어졌으나 최저혈압인 확정기혈압은 차이가 거의 없었고 ▲동맥경화의 요인중의 하나인 중성지방농도는 1백72.3㎎%에서 1백47.4㎎%로 떨어졌다. ▲이와 반대로 동맥경화를 막아주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44.9㎎%에서 48.8㎎%로,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23.0%에서 25.6%로 상승했고 ▲심장이 몸무게 1㎏당 1분에 몇㎖를 공급해줄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최대산소섭취량도 39.7에서 48.8로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교수는 『이처럼 유산소성운동이 안정시에 혈압과 심박수를 낮춰줌으로써 심장의 부담을 줄여주므로 동맥경화나 협심증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유산소성 운동은 운동중에 산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지구성운동,즉 마라톤·오래달리기·수영·사이클·걷기 등을 말한다. 이에 반해 무산소성 운동은 짧은 시간에 큰힘을 쓰는 것으로 운동중 필요한 에너지를 산소없이 만드는 운동,예컨대 단거리나 역도 등으로 심장에 부담을 주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김교수는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에 대한 적극성이 가장 중요하다』면서도 『주먹구구식으로 운동을 함부로 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나므로 자기의 운동능력에 알맞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