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공간으로 거듭난다
서울 중구 필동에 있는 ‘한국의 집’은 운치있는 한옥에서 전통 음식과 공연 등 수준 높은 한국 문화를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공간이다.한번이라도 찾았던 사람들은 다시 가고 싶은 곳으로 첫 손에 꼽는다.
하지만 적지 않은 사람들은 아직도 외국인들이 식사를 하면서 그저 그런 국악공연을 관람하는 ‘고급관광식당’의 인상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이런 한국의 집이 한국 최고의 전통문화공간으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하고 나섰다.
한국의 집은 3일부터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상설공연을 마련한다.‘인간문화재’들이 매주 수요일 오후 7시에 공연을 펼친다.경기민요 이춘희,춘앵무 이흥구,판소리 박송희,살풀이 정재만,대금산조 이생강,진도북춤 박병천 등 수요일 출연자 모두가 인간문화재다.‘코리아 톱 아티스트-한국의 명인명창’이라는 제목도 최고 출연진의 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공연이 열리는 민속극장은 190석의 아담한 공간.대형 무대라면 도저히 불가능한,명인명창의 숨결까지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다.이런 대가(大家)들의 공연을 매주 수요일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막을 여는 3일은 모든 출연진이 한 무대에 선다.인간문화재의 공연 사이에 한국의 집 예술단이 ‘가인전목단’과 ‘장구춤’으로 분위기를 돋운다.10일은 박송희,17일은 정재만,24일은 이생강,31일은 이춘희,4월7일은 이흥구,14일은 박병천이 차례로 단독무대를 꾸민다.
명인명창의 공연으로 한국의 집 분위기도 탈바꿈한다.적어도 매주 수요일 만큼은 공연이 ‘메인 이벤트’가 되고,전통음식이 오히려 부수적이 될 수 있다.그동안 전통음식을 맛보러 갔던 사람들이 ‘양념’으로 공연을 즐겼다면,앞으로는 전통음식이 공연의 ‘양념’외 될 듯하다.음식은 들지 않으면서 저렴한 값으로 공연만 관람할 수도 있다.
인간문화재들에게도 정기 무대는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고정적인 수입을 의미하는 만큼 바람직스럽다.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의 집으로서는 외국인들에게 수준 높은 전통문화를 체험케 하여 한국의 이미지를 높인다는 당초의 설립 의도를 살리고,인간문화재들에게도 혜택을 주는 윈-윈 전략을 세운 셈이다.지난해 취임한 뒤 적자에 시달리던 한국의 집을 흑자로 바꿔놓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이승규 이사장은 “한국의 집은 이제 최고의 음식과 최고의 공연을 함께 맛볼 수 있는 공간으로 차별화될 것”이라면서 “관람객이 늘어나면 무형문화재 공연을 일주일에 3회까지 늘려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재보호재단은 올해부터 전주전통문화센터도 운영하기 시작했다.한벽루와 이웃한 전통문화센터는 전통 음식과 공연은 물론 조리체험실과 시민교육관,놀이마당 등을 갖춘 종합 전통문화 체험공간이다.전통문화센터 역시 ‘해설이 있는 판소리’ ‘전통예술여행’ ‘우리 춤의 숨결’ 등 다양한 상설공연이 강점이다.풍물과 비빔밥 체험,공연 관람을 엮은 패키지 상품이 국내는 물론 해외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다.한국의 집 (02)2266-9101,전주전통문화센터 (063)280-7000.
서동철기자 dc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