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박물관 ‘한국의 초분’ 보고서
초분(草墳)은 시신이 탈육(脫肉)될 때까지 이엉으로 덮어놓았다가 몇년 뒤 씻골하여 땅에 묻는 장례 풍속이다.판소리 ‘흥보가’의 ‘놀부 심술’ 대목에는 ‘새 초빈(草殯)에 불지르기’‘이장할 때 뼈감추기’처럼 초분과 관련한 내용이 나온다.이렇듯 초분은 100년 전까지만 해도 친근한 장례풍속이었지만,최근에는 다큐멘터리 필름에서나 볼 수 있을 만큼 희귀해졌다.
●전남일대 초분 78기 조사
국립민속박물관의 현지조사 결과는 그러나 초분이 아직도 서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민속박물관은 문헌자료로 초분의 역사를 재구성하고,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초분의 실태를 현지조사한 내용을 담은 종합 조사보고서 ‘한국의 초분’을 최근 펴냈다.
초분은 북쪽으로는 충남 홍성,동쪽으로는 경북 구룡포에서도 최근까지 조사되고 있지만,아무래도 호남이 중심이다.민속박물관이 이번에 전라남도 일대에서 조사한 초분은 78기.영화 ‘서편제’로 유명해진 완도군 청산도에서만 20여기를 확인했다.영화의 주인공들이 ‘진도아리랑’을 부르며 가는 돌담길이 끝나는 언덕 위에도 있었다.
50여 가구에 불과한 영광군 송이도에서는 12기가 조사됐고,여수 금오도와 화양면,신안군 증도와 도초도·비금도,고흥군 나로도와 개도 등에서도 찾아냈다.초분한 장소는 알리고 싶어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므로 더 많은 초분이 있을 것으로 민속박물관은 추정한다.
●풍수설따라 만들어지는 게 보통
초분의 유래는 장례 풍속의 하나인 빈(殯)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지석에도 왕비를 2년 3개월 동안 서쪽에 있는 빈전(殯殿)에 모셨다가 개장(改葬)하여 왕과 합장을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초분은 명당을 택하여 길일에 장례를 치르면 후손이 발복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한편으로는 음력 정월이나 이월에 땅을 파면 토지신이 노한다고 생각하거나,살이 썩어 물이 빠진 메마른 뼈만으로 묻히는 것이 좋다는 속설에 따라 초분을 썼다.전염병으로 죽거나,객지에서 죽었거나,가난해서 장지를 구하지 못했거나,무령왕처럼 남편이 먼저 죽고 나서 아내를 합장하려 할 때도 초분을 만들었다.
초분의 이장은 보통 2∼3년이 지난 윤달이나 날을 잡아서 하지만,이번 조사에서는 6∼7년이 지난 것도 적지않았고,30∼50년이나 된 초분도 있었다고 한다.
초분은 일제강점기 위생법에 따라 공동묘지가 만들어지고 화장이 권장되면서 줄어들었고,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0년대에는 행정적으로 초분을 금지했지만,최근에는 ‘미개인들의 장례 풍속’이라는 편견도 없지 않다.
●지금도 ‘초분’ 모시는 후손들 있어
그럼에도 초분을 하는 사람들은 조상에게 예의를 다하면 후손들이 잘될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갖고,살아 계시는 부모님처럼 초분을 정성스럽게 모시고 있다.하지만 장례를 두 차례 치러야 하는 번거로움과 많은 비용 때문에 오늘날에는 효성이 지극한 사람이나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초분을 만드는 추세라고 한다.
상장례 전문가로 초분의 현지조사와 집필을 주도한 정종수 유물과학과장은 “조상에게 효성을 다하고,후손도 잘된다는 믿음이 있는 한 초분은 당분간 계속 만들어질 것”이라면서 “없어졌는 줄 알았던 초분이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서 풍속의 물꼬는 억지로 돌릴 수 없다는 교훈을 찾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한국의 초분’은 전국의 도서관·박물관·문화원·연구소 등에 무료로 배포하며,민속박물관 판매대에서 한정 판매한다.(02)725-5964.
서동철기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