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高 첫 유학반 ‘출사표’
수재, 미국대학수학능력시험(SAT), 엄청난 사교육비, 미국 아이비리그를 지망하는 중산층 이상의 자녀들….‘유학’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다. 그러나 이런 고정관념에 도전장을 던진 학생들이 있다. 실업계로는 처음 유학반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선린인터넷고 유학준비반 학생이 그들이다.
●민사고·특목고 빼곤 처음 운영
민족사관고와 외국어고를 제외하고는 첫 유학반인데다, 실업고의 특성을 살린 기술자격증으로 입학전형의 가산점을 노리는 색다른 유학을 시도하고 있다.
이들은 SAT를 보지 않는다. 대신 국제공인 기술자격증을 땄다. 시스코, 선 등 세계적 IT(정보기술) 기업의 특정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는 자격증이다.IT분야 특성화고인 만큼 자격증은 손쉽게 해결했다. 한국에 다양한 수시모집 전형이 있듯이, 미국의 대학들도 이런 자격증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가산점을 준다는 것을 겨냥했다.
●컴퓨터 범죄수사등 전공 다양
목표는 학비가 저렴하면서도 탄탄한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는 미국 50∼150위권의 주립대다. 전공은 컴퓨터범죄수사, 컴퓨터 보안, 네트워크 관리 등 국내에선 아직 생소한 분야다. 현재 3학년 16명을 비롯해 30여명의 학생들이 ‘세계적 기술 인재’의 꿈을 키우고 있다. 이들이 처음 유학에 눈을 돌린 것은 2003년 초. 동아리 활동으로 시작한 컴퓨터 보안 등의 분야를 국내에서는 가르치는 대학이 거의 없었다. 준비가 시작된 것은 하인철(41) 교사를 산학겸임교사로 초빙하면서부터다. 실업계고 관련교사들을 교육하는 강사로 참여했다가 ‘학생들을 지도해 달라.’는 제의를 받았던 하 교사는 처음엔 콧방귀를 뀌었다고 한다.
그러나 아이들을 만나보고는 마음을 고쳤다. 상고를 나와 미국에서 13년간 고학 끝에 석사학위를 받고 IBM 협력업체 연구소장으로 있던 그는 “컴퓨터에 빼어난 열의와 특기를 가진 아이들의 재능을 살려주는 것이 사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주당 6시간씩 심화과정 수업을 받으며, 자격증 준비에만 꼬박 1년이 걸렸다. 내신성적 관리는 물론이고, 토플 준비를 위해 학원을 다녔다. 중학교때 중위권을 맴돈 지극히 ‘평범한’ 학생들이었지만, 목표가 생기자 누구보다 열심이었다.“컴퓨터를 좋아하고, 인문계고에서는 서울에 있는 대학도 가기 힘들다고 판단해 실업계고를 선택했다.”는 3학년 서동철군은 “강요하는 사람이 없지만 하루 4시간씩 자며 어느때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美 50~150위권 주립대가 목표
어려운 가정형편도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2학년 김진수군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편이지만 자격증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며 고학할 각오를 하고 있다.”면서 “네트워크 관리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가 될 것”이라고 당차게 말했다.
하 교사는 “유학은 돈이 많이 들고 모든 과목을 다 잘해야만 하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면서 “실업계에서도 얼마든지 특기를 살려 세계 무대에 도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현재 일리노이, 캔자스, 오리건주립대 등 10여곳에 원서를 낸 학생들 가운데 12명은 합격이 확실시되고 있다. 소신을 갖고 ‘실속’을 택한 이들의 꿈이 영글고 있다.
이효용기자 utilit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