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층 무르익은 신선함!
파가니니, 생상, 멘델스존, 차이콥스키, 시벨리우스 같은 낭만파와 이제는 표준 레퍼토리가 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미국의 유명 인터넷 음반 쇼핑몰에서 ‘사라 장(Sarah Chang·장영주)’을 치면 20여종의 음반 목록이 나온다. 만 26세. 어느새 이렇게 많은 음반을 펴냈을까 자랑스럽지만, 레퍼토리의 폭이 좁아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이었다. 장영주는 지난해 9월21∼22일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지휘한 빈 필하모닉의 내한공연에서도 열광적인 호응을 이끌어냈었다. 역시 레퍼토리는 사라사테의 ‘지고이네르바이젠’으로 성숙한 변모를 기대한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서울 연주가 끝난 뒤 불과 이틀 뒤인 9월24일 장영주는 완전히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미국 뉴욕에서 오르페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자신의 본격적인 첫 바로크 레퍼토리인 비발디의 ‘사계’를 선보인 것이다. 장영주의 도전은 성공했고, 세계적인 음반회사 EMI는 장영주의 ‘사계’를 올가을 음반으로 펴내기로 했다. 장영주가 ‘사계’를 들고 오르페우스 체임버와 새달 고국을 찾는다. 장영주의 새로운 모습을 기다리는 팬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처럼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너무나 잘 알려진 탓에, 너무나 손쉬운 비교의 대상이 되어 쟁쟁한 바이올리니스트들도 선뜻 녹음하기를 꺼리는 ‘사계’는 장영주에게 일종의 시험대 역할을 할 것이 분명하다. 장영주는 “나의 ‘사계’는 작곡가가 원하는 것을 최대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면서 나의 색깔이 묻어나도록 할 것”이라면서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내가 ‘사계’를 들을 때마다 갖는 신선함과 아름다운 맛을 그대로 살려내고 싶다.”고 말했다.오르페우스 체임버는 이번에 ‘사계’말고도 골리요프의 ‘라스트 라운드’와 수크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를 들려준다. 장영주는 ‘사계’를 오르페우스 체임버와 내년 5월10일 뉴욕의 카네기홀에서도 연주할 예정이다. 내한 연주 일정은 11일 대전 문화예술의전당,12일 서울 세종문화회관,13일 수원 경기도문화의전당,16일 서울 예술의전당.(02)318-4304.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