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홍인기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33
  • 조선 달항아리 2점 국보 지정예고

    조선 달항아리 2점 국보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리움미술관이 소장한 보물 제1424호 조선백자 달항아리와 보물 제1440호인 개인 소장 달항아리를 국보로 지정예고한다고 31일 밝혔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주로 빚어진 달항아리는 높이가 40㎝ 이상 되는 대형으로 유백색(乳白色)의 빛깔과 둥근 형태가 보름달을 떠올리게 해 붙여진 이름이다. 두 달항아리가 30일 동안의 예고기간 이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보로 지정되면, 국보 달항아리는 기존의 우학문화재단이 소장한 국보 제262호와 함께 세 점으로 늘어난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문서뭉치인 묵서지편(墨書紙片)에서 이두(吏讀)가 다량으로 확인됐다. 국어학계는 기존 학설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만큼 문자발달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천혜봉 전 문화재위원을 위원장으로 조사연구위원회를 구성해 묵서지편을 판독한 결과 드러났다. 노명호 서울대 사학과 교수와 이승재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가 판독한 결과는 지난 27일 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열린 ‘석가탑 발견 유물조사 중간 보고’에서 공개됐다. 이두는 대체로 뜻을 가리키는 대목은 한자의 새김을 취하고, 문장의 형태를 만드는 대목은 한자의 음을 취하는 신라시대 이후의 표기법이다. 한문 문장의 이해를 돕고자 구절이 끝나는 곳에 끼워 넣은 구결(口訣)이나, 주로 향가에 쓰인 표기법인 향찰(鄕札)을 포괄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승재 교수는 “기존에 구결자로 알려진 몇몇 글자가 묵서지편에서는 이두문에 두루 쓰였다.”면서 “이런 사례는 아직껏 발견된 적이 없으므로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두자와 구결자의 혼용은 이두와 구결이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임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판독 결과 현종 15년 석가탑을 해체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9편(偏)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권(卷)을 꺼냈다가 석탑을 다시 세우며 보협인다라니경(보협인경)과 함께 사리공에 안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정종 4년 중수할 때는 보협인경과 함께 무구정경 1권을 다시 넣었다고 적었다. 또 석가탑은 고려 현종 15년(1024년)에 해체 보수했지만,12년 만인 정종 2년(1036년) 대지진이 일어나는 바람에 중수 공사를 다시 벌여야 했다. 하지만 사리장치를 안장하는 등 복원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어 가던 정종 4년(1038년) 다시 지진이 일어나, 또 한 차례 해체 수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단종복위운동 기리는 ‘금성단’ 사적 지정예고

    단종복위운동 기리는 ‘금성단’ 사적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금성단(錦城壇)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이라는 이름으로 지정될 금성단은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화를 당한 금성대군과 순흥 도호부사 이보흠의 충절을 기리고자 영조 18년(1742)에 설치한 제단이다. 금성대군은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세조(수양대군)의 아우이며 단종의 숙부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금동향로’이후 최대성과

    ‘금동향로’이후 최대성과

    충남 부여 왕흥사(王興寺)터에서 나온 백제시대 사리장엄이 학계를 흥분시키고 있다. 고구려·백제·신라를 통틀어 삼국시대의 사리장엄이, 그것도 완벽한 상태의 ‘한 세트’가 출토된 것은 처음이기 때문이다. 삼국시대의 사리구는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 알려진 것이 전혀 없었다. 다만 백제 지역에서는 부여 군수리사지 목탑터의 심초석 윗부분에서 유명한 납석제여래좌상과 금동보살입상이 나와 사리공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전북 익산 제석사의 목탑터 심초석함에 불사리를 담은 수정병 등을 봉안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신라 지역에서는 경주 황룡사와 분황사에 사리 관련 유물이 있다. 황룡사 구층목탑터의 심초석 아래에서 사리함으로 보이는 청동그릇이 발견되었으나, 도굴되어 원래 상태를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분황사 모전석탑에서도 사리장엄이 발견되었으나, 고려시대 유물이 함께 나와 훗날 사리장엄을 다시 만들어 넣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리장엄이 나온 왕흥사는 백마강을 사이에 두고 백제왕성과 부소산성을 마주보고 있는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다.1934년 ‘王興(왕흥)’이라고 찍힌 기와조각이 수습되면서 왕흥사터로 비정되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2000년 9월부터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으며,2001년 2월에는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다. 왕흥사 사리장엄이 특별히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것은 청동 사리함 바깥벽에 새겨진 29자의 명문(銘文) 때문이다.‘정유년 2월15일 백제왕 창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절을 세우고 본래 사리 두 매를 묻었을 때 신의 조화로 셋이 되었다.(丁酉年二月/十五日百濟/王昌爲亡王/子立刹本舍/利二枚葬時/神化爲三)’고 적혀 있다. 백제왕 창은 성왕의 맏아들인 위덕왕을 말한다. 성왕은 554년 당시 왕자 창을 보내 신라의 관산성(충북 옥천)을 공격하고, 뒤이어 자신도 출전했으나 전사한다. 위덕왕은 아버지가 죽은 충격으로 출가하여 불도를 닦으려 했던 것으로 ‘일본서기’는 전한다. 일본 쇼토쿠태자의 스승인 아좌태자(阿佐太子)는 위덕왕의 아들로 597년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사리함의 명문은 위덕왕에게 다른 아들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위덕왕은 성왕의 죽음에 대한 분풀이로 신라와 자주 싸웠는데, 이 과정에서 이 아들을 잃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덕왕이 세상을 떠난 뒤 성왕의 둘째아들이자 위덕왕의 동생인 혜왕(惠王)이 왕위를 이어받은 것도 이처럼 위덕왕의 아들들이 전사하거나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는 “목탑은 577년 건립되었으나 정작 왕흥사는 법왕(백제 29대왕) 시절인 600년에 창건이 시작된 것으로 전한다.”면서 “왕자의 명목을 비는 목탑과 사찰이 당초 별도로 각각 조성되었음을 시사하는 만큼 왕흥사터 목탑은 ‘위덕왕 발원탑’이나 ‘위덕왕 왕자 추복탑’으로 명명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백제 사리장엄 첫 발굴

    백제 사리장엄 첫 발굴

    충남 부여의 왕흥사 목탑터에서 사비 백제시대 사리장엄(舍利莊嚴) 일체가 완벽한 형태로 발굴됐다. 사리장엄은 높이 10.3㎝의 청동제 원통형 사리함에 은제 사리병을 봉안하고, 다시 이 안에 금제 사리병을 안치한 형태로 되어 있다. 청동제 사리함 바깥벽에는 특히 이 사리장엄을 577년 백제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절을 세웠다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백제시대 사리장엄 일체가 확인된 것은 처음으로,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 이후 백제 지역 최대의 발굴 성과로 학계는 받아들이고 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4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 왕흥사터 현장에서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와 기자설명회를 열고 출토 유물을 공개했다. 사리함이 봉안된 목탑은 이층으로 이루어진 기단을 갖고 있으며, 아래층 기단은 사방 14m의 정사각형이다. 사리함은 목탑터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직사각형 심초석의 남쪽 끝 16×12×16㎝ 크기의 사리공 내부에, 화강암 뚜껑에 덮인 채 들어 있었다. 심초석 남쪽에서는 목걸이와 팔찌, 비녀, 금제귀고리 등과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550∼577)에서 쓴 상평오수전 등 다양한 진단구가 확인됐다. 진단(鎭壇)이란 집을 지으면서 단을 세운 뒤 발원하는 의식을 말한다. 부여문화재연구소는 “명문 및 사리구의 내용으로 왕흥사가 같은 위덕왕 대에 세워진 능산리절터(567년)보다 10년 늦게 조성되었다는 연대가 밝혀졌다.”면서 “백제사 편년과 이 시기 고고학적 자료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사리장엄 부처나 스님의 법신(法身)을 다비하여 나온 사리를 봉안하는데 쓰는 공예품으로, 사리를 담는 사리구와 이 사리구를 탑 속에 봉안하는 사리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사리장엄구로도 불린다.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1)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1)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양식(樣式)이란 ‘시대나 부류에 따라 각기 독특하게 지니는 형식’이라고 국어사전은 정의합니다. 실제로 불교가 전래된 이후 우리 불교미술은 시대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여왔지요. 하지만 최근의 불교조각은 과거 작품에서 좋아 보이는 요소를 덜어내 조합시키곤 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지금 이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양식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훗날의 미술사학자들은 정확한 시기와 제작지를 알기 어려운 고대 불상이 아니라,20∼21세기에 만들어진 불상 때문에 혼선을 빚을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나아가 이 시대의 불교조각은 아예 미술사의 연구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마저 듭니다. 양식이 사라진 시대에 조각가 최종태(1932∼)의 관세음보살상은 ‘창작 불상’이라는 새로운 경지를 보여 주었습니다. 법정 스님의 권유로 조성된 이 관음상은 2000년 4월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 봉안되었습니다. 길상사 관음상이 더욱 화제가 되었던 것은 불모(佛母)를 맡은 이가 가톨릭미술가협회장을 맡을 만큼의 독실한 천주교 신자이기 때문이지요. 그는 호기심을 갖는 이들에게 “땅에는 나라도, 종교도 따로따로 있지만 하늘로 가면 경계가 없다.”고 했습니다. 최종태는 소녀상과 소녀다운 성모 마리아상으로 이름을 날린 조각가입니다. 길상사 관음상의 이미지가 성모상의 연결선상에 있는 것도 심성의 참된 가치를 발견하는 불교의 견성(見性)이나,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나라가 모두 같은 울타리 안에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하지요. 이 관음상은 한국 불교 미술을 대표하는 걸작의 하나인 국보 제83호 삼산관반가사유상과 이미지가 비슷합니다. 사유상이 미소를 머금고 있는 반면 관음상의 표정에서는 슬픔이 스쳐가고 있음에도 그렇습니다. 관음상은 여러 개의 봉우리가 솟은 관을 쓰고 있는데, 반가상의 삼산관(三山冠)을 떠올리게 하여 더욱 닮았다는 느낌이 들었을 것입니다. 최종태는 실제로 창작에 한계를 느꼈던 젊은 날, 삼산관사유상을 비롯한 삼국시대 불상들이 막혔던 길을 뚫어주는 역할을 했다고 회고하고 있지요. 길상사 관음보살은 삼국시대 말기 이후에 많이 만들어진 관음상처럼 왼손에는 맑은 물이 담긴 정병(淨甁)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목이 길다란 전형적인 관음보살의 정병이 아니라 조선시대 초기의 분청사기 편병처럼 납작한 모양이지요. 그것도 들고 있다기보다는 가슴에 품듯 감싸안고 있습니다. 오른손은 아무 걱정 하지 말라는 뜻으로 손바닥을 펴든 시무외(施無畏)인을 하고 있는데, 아마도 이 관음상에서 가장 불교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부분일 것입니다. 하지만 부드럽게 흘러내린 겉옷은 관음보살의 대의라기보다는 수녀복에 가깝고, 대좌 또한 연화좌가 아니라 성모상에 흔히 쓰는 장식 없는 사각형이지요. 이미지는 삼국시대 불상과 닮았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제로 닮은 데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최종태는 앞으로 불상을 더 만들 일은 없을 것 같다고 말합니다. 이렇듯 파격적인 불상이 예배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술 쪽에서도 이 관음상을 불교미술사의 영역이 아닌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평가할 가능성이 크겠지요. 그렇다 하더라도 전통을 잃어버린 시대에 길상사 관음상은 우리 불교미술의 돌파구가 어디인지 한번쯤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dcsuh@seoul.co.kr
  • 순종어차 80년만에 종로거리 행차

    순종어차 80년만에 종로거리 행차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과 순정효황후가 탔던 어차(御車)가 80여년 만에 서울 종로 행차에 나선다. 국립고궁박물관은 28일 오전 10시∼낮 12시 창덕궁에서 고궁박물관까지 순종과 순정효황후의 어차행렬을 재현한다고 23일 밝혔다. 어차행렬은 대한제국 호위병 복식을 한 의장대의 호위를 받는 가운데 창덕궁과 종로, 세종로 사거리, 세종로를 거쳐 고궁박물관으로 향할 예정이다. 이날 어차는 실제로 주행하지 않고 특수차량에 실려 이동한다. 등록문화재 제318호인 순종어차는 미국 GM사가 1918년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이며 순정효황후 어차(등록문화재 제319호)는 영국의 다임러사에서 1914년에 제작한 차량이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BC 7세기 철기유물 강원도 홍천서 출토

    서기전 7세기 무렵의 철기 유물이 강원도 홍천에서 출토됐다. 한반도의 철기문화는 서기전 3세기 무렵 중국의 철기문화가 들어오면서 형성되었다는 그동안의 학설을 뒤엎는 것이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 철기는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녹인 쇠를 틀에 부어서 만드는 주조 방식이 아니라 철기의 발상지인 서아시아 지역처럼 쇠를 두드려서 강도를 높이는 단조(鍛造)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철기의 전래 경로에도 새로운 연구 과제를 던져주었다. 강원문화재연구소는 국도 확장 공사 구간인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일대 12만 6509㎡를 지난해 2월부터 발굴조사한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소형 단조 철기 1점을 수습했다고 21일 밝혔다. 지현병 연구실장은 “이 소형 철기는 제58호 주거지에서 무문토기 등 유물을 수습한 뒤 바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찾아냈다.”면서 “주거지에서 수거한 목탄(숯)을 시료로 서울대 기초과학공동기기연구원에 탄소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BC 640∼BC 620년으로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지 실장은 “이 철기의 연대가 서기전 7세기로 확인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철기가 한반도에 출현한 시기를 훨씬 앞당길 수 있는 데다, 뚜렷한 정설이 확립되지 못한 청동기시대의 하한 연대도 결정할 수 있는 자료”라고 덧붙였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종교건축기행34/김성호 서울신문 문화전문기자

    미륵신앙의 본산이자 동학혁명의 발원지였으며, 강증산의 후천개벽 사상을 낳은 우리나라 민중종교운동의 본거지인 전북 김제 모악산 들머리에는 개신교의 순례성지가 하나 자리잡고 있다.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전통 윤리를 교회건축에 그대로 살려낸 금산교회가 그것이다. 유교적 전통이 완강하던 1908년 세워진 금산교회는 ‘ㄱ’자형이다. 합각을 이룬 모서리에 있는 강단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여성, 오른쪽에는 남성 신자들이 예배를 봤다. 그런가 하면 경남 양산 통도사의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다. 대웅전의 북쪽에는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기 때문이다. 대웅전에서는 북쪽 벽에 난 커다란 창으로 금강계단, 즉 부처를 향하여 참배할 수 있다. 김성호 서울신문 문화전문기자가 쓴 ‘종교건축기행34’(W미디어 펴냄)를 펼쳐들면 한국 종교건축이 언제 이렇게 다양한 전통을 만들었을까 새삼 놀라게 된다. 한국 문화의 저변을 형성한 불교의 절집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불과 100년이 조금 넘는 건축 역사를 지닌 천주교와 기독교의 예배공간이 이미 우리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자산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다는 사실을 34곳의 사례는 분명히 일깨워 준다. ‘종교건축기행’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호평을 받으며 서울신문에 실린 연재물. 종교건축의 아름다움에 머물지 않고 정치·사회·종교·문화적 배경으로 시야를 확대한 만큼 한국 종교문화사를 개괄한 입문서로도 손색이 없다. 초창기 백정을 대상으로 목회를 하여 ‘백정 교회’로 불린 서울 인사동의 승동교회와 국내 유일의 정사각형 교회인 봉화 척곡교회 등 개신교회 8곳, 천주교도를 처형한 전주 풍남문의 석재를 주춧돌로 쓴 전주 전동성당과 한옥으로 지은 익산 나바위성당 등 천주교회 11곳을 소개했다.‘한국 불교 1번지’인 서울 조계사와 시인 고은이 출가한 절로 일본 에도(江戶)시대 건축양식으로 지은 군산 동국사 등 절집 10곳도 둘러볼 수 있다. 무엇보다 원불교의 발상지인 영광 영산성지와 증산도의 성소인 대전 태을궁, 천도교의 발상지인 경주 용담정, 한국정교회의 요람 성 니콜라스 서울대성당, 한국 이슬람의 핵인 서울 이슬람중앙사원 등 소수 종교 및 종파의 건축물도 자세히 소개한 것은 이 책의 가치를 높인다.1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명성황후 시해 ‘건청궁’ 20일부터 개방

    명성황후 시해 ‘건청궁’ 20일부터 개방

    1873년 고종이 경북궁 동북쪽 깊숙한 곳에 지은 궁궐 속의 작은 궁궐인 건청궁(乾淸宮)이 복원됐다. 건청궁은 1895년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가 시해된 참극의 현장으로, 주로 고종과 명성황후가 머물며 외교사절을 접견하는 용도로 썼다. 문화재청은 18일 건청궁 복원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진 데 이어 20일부터 일반인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건청궁은 1896년 고종이 러시아 공관으로 피신한 아관파천 이후 기능을 잃어버렸고,1909년에는 일본인들에 의해 헐려 사라졌다. 건청궁 자리에는 조선총독부미술관이 지어졌고, 이 건물은 해방 이후 한동안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쓰여지다가 1998년 철거됐다. 건청궁은 왕의 거처인 장안당(長安堂)과 왕비의 거처인 곤녕합(坤寧閤), 그리고 부속건물인 복수당(福綏堂)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덕궁의 연경당과 낙선재 등과 함께 안채와 사랑채로 구분된 일반 사대부 저택과 비슷한 건축형식을 지녔으며, 따라서 단청도 하지 않았다. 건청궁은 1887년 미국의 에디슨전기회사가 발전기를 설치해 한국 최초로 전깃불을 밝힌 곳으로도 알려졌다. 일반인의 건청궁 관람은 경복궁 홈페이지(www.royalpalace.go.kr)의 인터넷 예약접수를 통해 하루 6차례 실시된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계룡산 모든것’ 공주 박물관서 보세요

    국립공주박물관과 국립청주박물관이 각각 계룡산과 우암 송시열과 계룡산을 주제로 하는 특별전을 연다.국립광주박물관이 호남선비 하서 김인후를 기리는 기획전을 갖고 있는데 이어 지역이 갖고 있는 문화 자원을 집중 조명하는 지방 국립박물관들의 노력이다. 공주박물관(041-850-6360)이 23일부터 12월30일까지 여는 ‘계룡산’특별전은 특정한 산을 주제로 잡았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이미 신라시대에 국가적으로 중요한 오악(五岳) 가운데 서악(西岳)으로 등장한 계룡산의 역사적 유래와 풍수지리적 특징,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인간이 이룩한 종교와 문화를 살펴본다. 계룡산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문헌이나 문학작품을 모았고, 산악신앙과 풍수도참설, 불교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이 산만의 독특한 종교적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유물도 곁들인다. 백제시대에 축조된 표정리 고분군의 출토 유물과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에서 구워낸 분청사기도 나온다. 청주박물관(043-252-0710)의 ‘우암 송시열 탄신 400주년 특별전’은 박물관 개관 20주년을 겸하는 행사.23일 개막해 내년 1월30일까지 계속된다. 우암의 학문세계와 삶을 조명하고자 우암 종가에서 기탁한 유물 90점을 내놓는다. 성리학 완성자인 주희의 글과 말을 모은 ‘주자대전’을 염두에 두고 만든 우암 전집인 ‘송자대전’(宋子大典)도 만날 수 있다. 24일에는 정세근 충북대 철학과 교수와 이용삼 충북대 천문학과 교수가 각각 ‘우암 다시보기’와 ‘전시대의 혼천의 복원-우암의 혼천의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특별강연도 갖는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 서울 봉은사의 헤라클레스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 서울 봉은사의 헤라클레스

    그리스·로마 신화에 상상력을 가미하는 작업으로 명성을 얻은 작가 이윤기는 런던에 있는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을 찾았을 때 깜짝 놀란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도록 몇권을 사가지고 나와 입구의 계단에 앉아 펼쳐보다가 ‘바즈라파니(Vajrapani)’라는 제목이 붙은 사진에 눈길이 갔습니다. 곧 금강역사인데, 뜻밖에도 ‘헤라클레스 차림으로 제우스의 벼락을 든 부처님의 수행원’이라는 설명이 붙어있었다지요. 그는 다시 박물관으로 뛰어들어가 부처님 일행을 돋을새김한 이 간다라 조각을 찾았습니다.‘수행원’은 사자 가죽을 머리에 쓰고 왼손에는 제석천이 아수라를 쳐부술 때 썼다는 금강저, 오른손에는 굵직한 몽둥이 같은 것을 들고 있었지요. 올리브 나무를 뿌리째 뽑아 만든 몽둥이를 든 헤라클레스가 성미가 고약한 네메아 골짜기의 사자를 30일 밤낮으로 목졸라 죽인 뒤 그 가죽을 쓰고 다녔다는 그리스 신화 그대로였습니다. 최근 발간된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4-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간다라의 불교 미술이 묘한 매력을 발산하는 것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지요. 오늘날 파키스탄의 페샤와르 지역인 간다라는 서기전 327년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에게 정복되었습니다.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 슬그머니 부처님의 호위무사로 자리를 옮길 수 있었던 것도 대대적인 문화융합의 결과였을 것입니다. 헤라클레스의 사자는 그리스 시대에 이미 무사의 어깨를 보호하는 갑옷의 어깨(肩甲·견갑) 장식으로 정착된 듯합니다.‘영웅 따라 하기’를 좋아했던 로마 황제들은 사자가 입을 벌린 채 마치 어깨를 무는 듯한 견갑 장식을 즐긴 것으로 알려지지요. 간다라에서 불교에 편입된 헤라클레스는 흔히 서역으로 부르는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전해졌습니다. 미술사학자 권영필은 중국에서 헤라클레스를 상징하는 사자가 어깨 장식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당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설명합니다.657년 시안(西安)의 무덤에서 나온 무인상이 그렇습니다. 베이징 교외의 명 13릉에 도열한 무인석의 어깨 장식도 로마 황제의 그것과 매우 닮았지요. 간다라에서 금강역사가 된 헤라클레스는 동쪽으로 전해지면서 다시 사천왕으로 변신합니다. 신라 문무왕이 682년 세운 경주 감은사 서탑의 사리함에 새겨진 사천왕상에 헤라클레스의 사자가 나타난 것이지요. 금강역사나 사천왕 모두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니 역할은 달라지지 않은 셈입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봉은사의 목조 사천왕상은 헤라클레스로 하여금 불법을 수호케 하는 전통이 조선시대에도 이어졌음을 보여줍니다. 사천왕은 일주문에 해당하는 진여문(眞如門)에 버티고 있습니다. 조선 영조 22년(1746년) 당시 능창군 이숙 부부의 시주로 조성되었다는 내용을 담은 발원문이 2002년 발견되었지요. 사자 모양의 어깨 장식을 하고 있는 사천왕은 정면에서 보아 진여문의 왼쪽 바깥쪽에 서 계시는 서방광목천(추정)입니다. 어깨뿐 아니라 배에도 사자 머리가 장식되었는데, 무섭기보다는 어수룩해 보이는 광목천의 표정에 걸맞게 귀여운 아기 사자의 모습입니다. 사자 머리 아래에는 한 마리 분의 사자 가죽이 고리로 매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헤라클레스가 가죽을 벗겼다는 네메아의 사자일 것입니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유서깊은 절이 지금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주인공의 호위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신화보다 더 신화적이지 않습니까. dcsuh@seoul.co.kr
  • 태안 보물선 신비 간직한 ‘바코드’ 물품 꼬리표 목간 발굴

    ‘탐진에서 개경에 있는 대정 인수에게 보낸다.…최대경 댁에 올린다.´(耽津亦在京隊正仁守·탐진역재경대정인수…崔大卿宅上·최대경택상) 탐진은 전남 강진의 옛이름이고 개경은 고려의 수도로 오늘날의 개성이다. 대정은 고려시대 하급 관리, 대경은 고위 관직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주꾸미를 낚던 어민의 신고로 드러난 뒤 고려청자를 쏟아내고 있는 ‘태안 보물선’이 이번에는 물품꼬리표인 목간(木簡)을 내놓았다. 판독 결과 강진에서 만든 청자를 싣고 개경으로 가던 배가 태안 앞바다에서 거센 물살에 휩쓸려 침몰했을 것이라는 그동안의 추정이 사실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1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남 태안의 대섬 앞바다에서 침몰한 채 발견된 고려시대 청자운반선의 2차 발굴 결과를 발표했다.목간은 소나무 껍질에 먹으로 쓴 것으로 청자를 포장한 쐐기목과 함께 3종류가 나왔다. 첫 번째 목간에는 앞면에 ‘탐진…’, 뒷면에 ‘선적 책임자 ○가 배에 실었다.’는 내용의 ‘○재선진(○載船進)’이라고 씌어 있다. 두 번째 목간에 적힌 ‘○안영의 집으로 사기 일과를 보낸다.’는 ‘○안영호부사기일과(○安永戶付沙器一 )’에서 ‘과’는 한 꾸러미를 뜻하는 것으로 추정됐다.‘최대경택상’은 세 번째 목간에 씌어 있었다. 적외선 촬영으로 목간을 분석한 최연식 목포대 교수는 “고려시대 도자기 생산과 운송체계, 해상항로, 선박사, 도자사, 생활사 등을 밝히는 귀중한 자료”라면서 “국내 수중발굴사의 한 획을 그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문화재청은 그동안의 발굴에서 모두 1만 9000점 남짓한 12세기 전반의 청자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에 출토된 철화(철분이 섞인 안료로 그린 무늬)와 퇴화(붓으로 두껍게 올려서 만든 무늬)로 장식한 두꺼비모양 청자 벼루(靑磁鐵畵堆花文蟾形硯)와 사자모양 청자 향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형태이다. 두꺼비모양 벼루는 피부와 눈동자를 검붉은 철화와 하얀 퇴화로, 입과 다리는 음각으로 표현했고, 사자모양 향로는 독특한 조형감이 일품이다. 도자기 전문가인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평생 도자기를 봐왔지만 이렇게 흥분되는 순간은 처음”이라면서 “목간과 사자향로 같은 이형(異形)청자 등은 청자연구사에서 경이롭고 놀랄 만한 발견”이라고 강조했다. 문화재청은 태안 보물선에 대한 발굴을 연말까지 마무리지을 계획이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소통과 교류의 땅 신의주’ /혜안 펴냄

    ‘소통과 교류의 땅 신의주’(혜안 펴냄)는 북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 연구의 성과이다. 서인범 동국대 교수 등 12명의 한국사와 중국사 연구자가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워크숍 형태로 신의주의 역사를 한국사 체계에 맞추어 재구성한 것이다. 의주가 우리 역사의 일부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전기부터이다. 서희가 993년(성종 12년) 거란의 소손녕과 담판하여 이듬해 의주 지역을 포함한 강동 6주를 고려의 영역 아래 두었다는 ‘고려사’의 기록은 유명하다.1033년(덕종 2년)에는 또 압록강에서 동해안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세기 전반까지 고려는 이 지역에 대한 완전한 지배권을 확보하지 못한 채 거란 및 여진과 섞여 살았다. 그러다 1117년(예종 12년) 여진이 금을 세우자 거란이 압록강 동쪽에 쌓은 포주와 내원성을 바치며 고려에 투항함으로써 이 지역이 완전하게 고려의 통치권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이에 고려는 의주방어사를 두어 치안과 통치를 담당하게 했는데, 이때부터 의주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신의주는 일제가 1905년 한반도 수탈과 만주침략을 위해 경의선을 개설하면서 의주 서쪽의 압록강가에 있는 넓은 벌판에 역사(驛舍)를 지으면서 비롯된 일종의 신도시이다. 일제는 또 한일합병 이듬해인 1911년 열강의 반대를 무릅쓰고 당시의 압록강 철교를 가설하는데, 신의주는 이후 경제적인 가치는 물론 정치, 군사, 외교적인 가치를 지니며 오늘에 이르게 된다. 이기동 동국대 사학과 교수는 “국민국가시대에 들어와 국경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이 책은 신의주라는 한 국경도시의 역사를 통해 한국사의 본류에 육박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1만 7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4세기 이후 中불상 한눈에

    4세기 이후 中불상 한눈에

    중국은 한나라(기원전 206∼서기 220년) 후기에 이미 불교 교단이 성립되었지만, 불상이 예배대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육조시대인 4세기에 들어선 이후로 알려진다. 인도 불상을 서툴게 모방하는 초기 단계에서 5세기 북위시대에 이르면 ‘왕이 곧 부처’라는 사상이 생겨나면서 겉옷인 대의(大衣)가 황제의 곤룡포와 같은 포복식을 바뀌는 등 중국화된 불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서울대학교박물관이 마련한 ‘중국 불교조각 1500년-불상, 지혜와 자비의 몸’특별전은 바로 육조시대 초기 불상부터 수나라, 당나라를 거쳐 청나라 시대에 이르는 중국 불교조각사의 전 흐름을 관통한다. 서울대박물관과 타이완 국립역사박물관이 공동 주최하여 58건,61점의 수준 높은 중국 불교조각이 출품되는 이번 특별전은 17일부터 12월22일까지 열린다. 진준현 서울대박물관 학예연구관은 “그동안 중국 미술 전시회가 적지 않았지만 이번 처럼 중요한 불교조각이 다수 한국을 찾는 것은 처음”이라면서 “특히 중국 불상과 중국 불상에 영향을 받은 한국 불상의 사진을 함께 제시하여 인도와 중국, 중국과 한국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품작 가운데 용문석굴에서 출토된 북위 시대(386∼534) 석회암으로 제작한 아난두(阿難頭·부처의 제자인 아난존자의 머리 조각·높이 55cm)는 인도사람이 가진 이목구비의 특징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어 불상 제작 초기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북제 시대(550∼577)에 역시 석회암으로 만든 반가사유상(높이 65cm)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국보 78호와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또 어떻게 우리 스타일로 재창조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작품이다. 서울대박물관은 전시회가 시작되는 17일 오후 1시부터 특별강연회도 연다.(02)880-5333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39) 불암산 학도암 마애관음보살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39) 불암산 학도암 마애관음보살

    마애불(磨崖佛)이란 벼랑바위에 새겨놓은 부처이지요.‘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서산 마애삼존불처럼 바위 속에서 부처가 걸어나오고 있는 듯 높게 돋을새김해놓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통일신라 말기부터는 갈수록 평면화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아예 선각(線刻)에 가까워지지요. 이런 현상을 두고 조각기법이 퇴화한 결과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시대가 떨어지는 마애불은 이렇듯 세상의 평가가 후하지 않으니, 기대를 갖지 않게 마련이지만 뜻밖에 조선 후기 것이 감동을 주기도 합니다. 학도암 마애관음보살좌상이 그렇습니다. 학도암(鶴到庵)은 서울 노원구 중계동의 불암산(佛巖山) 남서쪽 기슭에 있는 작은 암자입니다. 관음보살상은 절 바로 뒤에 우뚝 솟은 높이 22m의 거대한 바위에 새겨졌지요. 학도암에 오르면 왼쪽으로는 멀리 삼성동 무역센터 너머로 청계산이 산세를 자랑하고, 가운데로 눈길을 옮기면 관악산과 남산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 장관이 펼쳐집니다. 산 아래 마들에서 시작된 건물 숲은 끝간 곳이 없는데, 군데군데 솟은 산은 회색 바다 위에 떠있는 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불경에 관음보살은 작고 흰꽃이 피어 있는 바닷가 봉우리에 살고 있다고 했으니, 이곳에 관음보살좌상을 새긴 사람도 분명 이런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학도암 마애불은 1872년 명성황후의 시주로 조성된 것으로 사지(寺誌)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학도암은 1624년(인조 2년) 창건된 이후 줄곧 작은 암자였다고 하지요. 절터가 가파른 경사지여서 앞으로도 큰 규모의 중창불사는 그리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이곳에 왕실의 발원으로 거대한 마애불이 조성되었다는 것은, 관음보살의 상주처로 꼭 맞는 환경조건을 가졌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학도암 마애불이 예기치 않은 감동을 주는 것도 이처럼 현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상징성이 더해졌기 때문이겠지요. 높이가 13.4m에 이르는 학도암 관음보살은 일단 크기로 참배객을 압도합니다. 그러면서도 자비의 화신인 관음보살의 성격에 걸맞게 부드럽고 넉넉해 보이지요. 전체적으로는 조각이라기보다 그림처럼 느껴집니다.‘화폭’으로 쓰여진 바위는 자연석으로는 보기 드물게 희고 판판합니다. 좋은 ‘그림’의 바탕에 좋은 재료가 뒷받침되었습니다. 실제로 학도암 마애불은 화승이 그린 밑그림을 바탕으로 새긴 것입니다. 마애불에는 명문(銘文)도 남겨놓았는데, 화승을 뜻하는 금어(金魚) 장엽의 이름이 보입니다. 명문에는 또 김흥연 이운철 원승천 박천 황원석 등 석수(石手) 5명의 이름도 올려놓았지요. 마애불전문가인 이경화는 법명(法名)을 쓰지 않는 석수들을 1865년 시작되어 1872년 마무리된 경복궁 중건과 연결지었습니다. 선의 강약과 리듬을 살려내는 솜씨로 보면 궁중에서 실력을 쌓은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장엽의 작품인 삼척 신흥사 아미후불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균형감각과 유려한 필선을 장기로 하는 그가 비계에 매달려 초본대로 바위 표면에 관음보살상을 그려놓으면 궁중 석수들이 선을 따라 새겨나갔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쯤되면 마애불 전통의 퇴화가 아닌 회화와 조각이 만나는 새로운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보아도 좋지 않을까요. 불암산이 뒷동산이나 다름없는 중계동 주민이라면 우리 동네에 정말 훌륭한 문화유산이 있다는 자부심을 한껏 가져도 좋을 것 같습니다. dcsuh@seoul.co.kr
  • ‘청자 주꾸미’ 동상 세운다

    ‘청자 주꾸미’ 동상 세운다

    수만점의 고려청자를 실은 채 충남 태안앞바다에 침몰한 운반선을 찾는 데 결정적인 ‘공로’를 세운 주꾸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진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주꾸미 동상 건립을 이완구 충남지사에게 제안했다.”면서 “충남도나 태안군 모두 적극적으로 찬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11일 말했다. 유 청장은 특히 주꾸미가 청자 접시를 붙든 채 바다에서 건져올려지는 장면을 스케치한 동상 설계안을 직접 그려 충남도와 태안군에 전달했다. 태안군 관계자는 “우리 지역 바다에서 발견된 고려청자와 운반선을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어 전시관과 함께 주꾸미 동상을 건립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면서 “동상 건립 시기는 내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안 고려청자 운반선은 지난 5월 충남 태안군 근흥면 대섬의 이웃 바다에서 통발로 주꾸미를 잡던 현지 어민 김용철(58)씨가 주꾸미가 움켜쥔 청자대접 한 점을 건져 올림에 따라 본격적인 발굴이 이루어졌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에 최인규씨

    제32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에서 최인규씨의 청자상감당초화문대반이 대통령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이완규씨의 다뉴세문경과 동검(거푸집)은 국무총리상, 손영학씨의 열녀춘향수절가 목판은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는다. 또 문화재청장상에는 조복래씨와 백은종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상에는 윤정숙씨와 이수예씨,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 이사장상에는 신경혜씨의 작품이 각각 뽑혔다. 대통령상에는 3000만원, 국무총리와 문화부장관상에는 각각 1500만원과 1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대통령상 수상작인 청자상감당초화문대반은 지름 73㎝, 높이 25㎝ 크기로 심사위원들로부터 기법이 매우 독창적이고 과감하다는 평을 들었다.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가 주관하는 전승공예대전은 올해 본선 심사를 완전 공개로 전환했고, 심사위원도 10명에서 23명으로 확대하여 공정성을 높였다. 전승공예대전의 개막식을 겸한 시상식은 오는 16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에서 열린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신미양요때 뺏긴 어재연 장군기 126년만에 돌아온다

    신미양요때 뺏긴 어재연 장군기 126년만에 돌아온다

    신미양요(1871년) 때 강화도 광성진이 미군에 함락되는 바람에 전리품으로 빼앗긴 어재연 장군기가 126년 만에 돌아온다. 문화재청은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帥字旗)를 장기 대여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가로, 세로 각 4.5m에 장수를 뜻하는 수(帥)자가 씌어 있는 이 장군기는 2년씩 5차례 연장이 가능해 최장 10년 동안 빌릴 수 있다.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인 어재연 장군기는 국내에서도 희귀한 군사자료로 역사적,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매우 높은 문화재이다. 문화재청은 “어재연 장군기는 당초 영구반환을 추진했지만 미국 해군사관학교측이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의회 및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등 불가능하다는 뜻을 고수하여 우선 장기대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장군기는 오는 15∼16일 한·미 두 나라 관계자가 입회한 가운데 상태를 점검한 뒤 18일 워싱턴을 출발해 19일 오후 5시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장군기는 일단 국립고궁박물관이 보관하면서 내년 3월 특별전시되며 5월 이후 인천광역시립박물관,2009년에는 새로 문을 여는 강화박물관으로 옮겨져 장기 전시된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日 쇼쇼인展 신라가야금 공개

    올해로 59회를 맞는 일본 나라(奈良)국립박물관의 연례 행사인 쇼쇼인(正倉院) 특별전이 27일 개막해 새달 12일까지 계속된다. 쇼쇼인은 일본 나라시에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인 도다이지(東大寺) 경내에 자리잡은 일본 고대 황실의 보물창고로, 이곳 소장품은 매년 10월말에서 11월초에 걸쳐 약 2주 동안 나라박물관이 개최하는 특별전에 일부가 공개된다. 올해 특별전에는 뒷면에 꽃과 새 무늬를 도안한 팔각형 동경(銅鏡)인 화조배팔각경(花鳥背八角鏡)과 가죽에 칠을 입히고 금과 은으로 장식한 상자인 금은평탈피상(金銀平脫皮箱), 사찰에서 분향할 때 사용한 자루 달린 향로 일종인 자단금세병향로(紫檀金鈿柄香爐)를 비롯해 70건이 출품된다. 이 가운데 17건은 이번 특별전을 통해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다. 쇼쇼인 특별전에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물품도 적잖이 전시돼 해마다 한국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올 특별전에서는 신라금(新羅琴)과 그것을 보관하는 상자인 신라금궤가 선보여 눈길을 끈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