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08-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24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3)김시습과 만복사 석불입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3)김시습과 만복사 석불입상

    매월당 김시습(1435∼1493)처럼 전국 곳곳에 흔적을 남겨 놓은 옛사람도 흔치 않을 것입니다. 매월당이 최후를 마친 충남 부여 무량사에는 그의 무덤이라고 할 수 있는 부도가 있습니다. 무량사에는 그의 초상화도 영정각에 모셔져 있는데, 유·불·선(儒·佛·仙)을 넘나든 이 사상가가 이곳에서는 깨달음을 얻은 선사(禪師)로 대접받았음을 뜻합니다. 최근 매월당의 관향(貫鄕)이자 어머니의 시묘살이를 했던 강릉의 경포대에는 김시습기념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율곡 이이가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태어난 오죽헌이 지척이지요. 율곡은 선조의 명으로 매월당의 전기를 짓기도 했으니 이래저래 인연이 깊습니다. 잘 알려진 대로,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은 1453년(단종 1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키고,1455년(단종 3년) 마침내 보위에 오르자 책을 불사르고 방랑을 시작합니다. 그는 모두 2200편에 이르는 시를 남겼습니다.‘유관서록(遊關西錄)’과 ‘유관동록(遊關東錄)’,‘유호남록(遊湖南錄)’,‘유금오록(遊金鰲錄)’은 일종의 기행연작시이지요. 시의 제목을 훑어가다 보면, 전국적으로 그의 발걸음이 닿은 곳보다 닿지 않은 곳을 찾는 편이 오히려 빠를 지경입니다. ‘유금오록’은 김시습이 30대 시절, 오늘날에는 남산이라는 이름으로 친숙한 경주 금오산에서 지은 것입니다. 짐작처럼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소설인 ‘금오신화’도 그가 금오산 남쪽 용장사에 머물고 있을 때 썼습니다. ‘금오신화’는 5편의 단편 소설을 모은 것으로,‘만복사 저포놀이(萬福寺樗蒲記)’도 그 하나이지요. 저포란 나무로 만든 일종의 주사위를 던져서 승부를 겨루는 중국 놀이라고 하는데, 우리식의 윷놀이도 한자로는 저포라고 적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만복사는 전북 남원의 기린산에 있었던 절입니다. 지금도 남원시내에서 순창으로 가는 길가에서 절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문종(1019∼1083)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하지요. 탁발을 마치고 만복사로 돌아가는 스님의 행렬(萬福寺歸僧)이 ‘남원 8경’의 하나로 꼽혔다는 얘기가 전설처럼 전하고 있습니다. ‘만복사 저포놀이’는 양생(梁生)이란 노총각이 만복사를 찾아가 부처님과 저포놀이를 하여 이기고는, 소원대로 불공을 드리러 온 처녀를 만나 이승의 3년에 해당하는 꿈 속 같은 3일을 지내고는 헤어진다는 내용입니다. 무남독녀 외동딸이었던 처녀는 왜구의 난리를 만나 죽임을 당한 혼령으로, 이후 양생도 다시 장가들지 않고 지리산에서 약초를 캐며 살았다고 했습니다. 만복사는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모두 불탔다는 기록이 전합니다. 하지만 이보다 100년도 훨씬 전에 씌어진 ‘만복사 저포놀이’에 벌써 ‘이미 퇴락하여 스님들은 한쪽 구석진 방에 머물고 있었다.’고 했습니다. 당시 퇴락의 원인도 왜구의 침입이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만복사에는 창건 당시 조성된 석불입상이 하나 전하고 있습니다. 원만하고 양감있는 얼굴과 유려하고 굴곡있는 신체 곡선이 자연스럽습니다. 전체 높이가 2m라지만 대좌와 광배를 제외하면 부처님은 사람키와 비슷하지요. 저포놀이를 하자는 양생의 제안을 기꺼이 받아들일 것 같은 친근한 모습입니다. 매월당은 세조 8년(1462) 여름을 순천 송광사에서 보내다 남원으로 발걸음을 옮겨 ‘광한루에 오르니 피리소리 들리다’는 시를 남겼습니다. 아마도 그는 이 때 만복사에 머물며 지금은 보물 43호로 지정된 이 석불입상을 만났을 것입니다. 춘향과 판소리의 고장에서 뜻밖에 ‘금오신화’의 주인공과 마주치고, 매월당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은 특별한 즐거움이 아닐 수 없습니다. dcsuh@seoul.co.kr
  • 파평 윤씨 문중 ‘병적 기록부’ 한바탕 홍역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이 최근 공개한 조선 숙종시대의 보물급 군적(軍籍) 자료의 출처를 놓고 파평 윤씨 문중이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이 자료가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명재 윤증(1629∼1714) 집안의 소장품이었다고 알려지자, 혹시 명재의 종손이 집안 몰래 거액을 챙기고 이 자료를 박물관에 팔아 넘긴 것이 아닌가 오해를 받았기 때문이다. 명재의 종손 윤완식(51)씨는 6일 “토지박물관이 입수했다는 군적은 우리가 아니라, 할아버지(명재)의 이름을 내건 연구소를 운영하는 사람에게서 나온 문건”이라면서 “그럼에도 보도 이후 친지들에게 걸려 오는 각종 전화가 하루 100통이 넘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하소연했다. 윤씨는 명재 이후 종가에 축적된 각종 희귀문서 9000점을 2002년 국사편찬위원회에 일괄적으로 관리를 위탁했으며, 이 가운데 윤증의 초상화와 집안의 인장은 보물로 지정되기도 했다.그럼에도 최근 걸려온 전화는 ‘종손이 말로는 문중자료를 국가기관에 관리를 위탁했다고 해 놓고 좋은 자료는 뒤로 빼돌리는 것 아니냐.’는 내용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윤증 고택’으로 잘 알려진 충남 논산의 명재 종가는 희귀 문서가 많다는 소문이 돌아 국사편찬위원회 위탁 이전에 세 차례나 도둑이 들었으며 일가족이 흉기로 협박받은 일도 있었다.윤씨는 “공공성 있는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고자 국사편찬위에 위탁한 것인데 엉뚱한 오해를 사다니 분해서 잠이 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태릉사격장 내년초 철거”

    문화재청은 사격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2008년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태릉사격장의 철거를 시작할 것이라고 7일 밝혔다. 엄승용 문화유산국장은 이날 “사격계의 요구로 12월 말까지 사격장의 유상사용을 허가했으나, 예산이 확보되면 내년 1월부터라도 사격장을 철거할 것”이라면서 “이미 이번 주부터 사격장 외곽의 입간판과 육교 등의 시설의 철거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엄 국장은 “내년 3∼10월에 조선왕릉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심사하기 위해 유네스코 실사단이 방문할 예정이어서 사격장 철거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문화재보호구역인 태릉 경내에 자리잡은 태릉사격장은 봉분에서 직선거리로 100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그동안 조선왕릉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걸림돌로 지적되어 왔다. 엄 국장은 “태릉사격장 내 수영장과 예식장은 사격진흥회로부터 기부채납 받은 뒤 2012년까지 유상사용허가를 내주고, 그 이후에는 완전히 철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中 예식진과 백제의 예식은 동일인물”

    “中 예식진과 백제의 예식은 동일인물”

    지난해 중국 시안(西安)에서 출토된 묘지명의 주인인 예식진( 寔進)은 600년 나당연합군의 백제정벌 때 의자왕을 협박해 항복토록 한 예식( 植)과 동일인물이라는 연구 결과가 한·중 학자에 의해 동시에 제기됐다. 바이건싱(拜根興) 중국 산시(陝西)사범대 역사문화학원 교수는 충남대 백제연구소 주최로 8일 열리는 ‘제13회 백제연구국제학술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당과 백제의 국제관계에 관한 두 가지 문제’를 발표한다. 앞서 김영관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장은 최근 발간된 ‘신라사학보’ 10호에 실린 ‘백제 유민 예식진 묘지 소개’에서 “예식진은 ‘구당서(舊唐書)’ 소정방 열전에 보이는 백제대장군 예식과 동일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예식진 묘지명은 지난해 뤄양(洛陽)의 골동품가게에 나타난 뒤 중국 지린성(吉林省) 사회과학원이 발간하는 ‘동북사지(東北史地)’에 ‘시안 출토 당대 백제인 묘지 탐색’이라는 논문에 내용이 소개됐다. 묘지명에는 예식진이 백제 웅천(공주) 사람으로 당나라에서 좌위위대장군을 역임했으며, 할아버지는 좌평까지 오른 예다(藝多), 아버지는 역시 좌평을 역임한 사선(思善)이라고 적혀있다. 예식진이 당 고종 함형 3년(672) 5월25일 내주(來州) 황현(黃縣)에서 사망하자, 당의 수도인 시안으로 운구되어 고양원(高陽原)에 묻혔다고 적혀 있다. 바이건싱 교수는 “당시 웅진으로 피신한 의자왕이 나당연합군에 투항하는 것은 장수들의 쿠데타적 협박에 인한 것이었으며, 그 주역은 당연히 웅진성 방어를 총지휘한 웅진방령 예식”이라면서 “의심할 필요도 없이 예식은 당나라에서 특별한 대우와 큰 작위를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예식진이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산둥반도 동북부에 있는 황현에서 죽은 것도 신라가 옛 백제지역을 공략하고 있는 상황에서 웅진도독 세력을 지원하는 역할과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영관 박사는 “묘지명에서 예식진을 두고 ‘창해에서 명성을 드날리고, 청구에서 기개를 떨쳤다.’거나 ‘아득한 바다 동쪽에서 황제의 가르침을 펼치고, 보검을 휘두르며 활 시위를 보름달처럼 당겼다.’고 묘사한 것으로 볼 때도 그가 백제의 고위 무장이었음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는 “예식진 묘지명은 기존 백제사에서 알려진 이른바 대성팔족(大姓八族)말고도, 예식진이 대표하는 예씨 집단이 웅진을 거점으로 대대로 좌평직을 세습하면서 백제 지배층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확인케 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순모 충남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예식진묘지명’에 대한 고증을 심화시켜 당과 백제 관계 연구를 진일보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작업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하지만 7세기 한자발음에서 식(植)과 식(寔)을 같은 발음으로 인정한다고 해도 진(進)이라는 글자가 추가된 원인은 보다 자세히 설명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성주 한개마을 중요민속자료 지정예고

    성주 한개마을 중요민속자료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경북 성주 한개마을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로 지정을 예고했다고 5일 밝혔다. 성주 한개마을은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를 역임한 이우(李友)가 입향한 이래 성산 이씨가 모여 살고 있다. 한개마을의 가옥은 대부분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사이에 지어졌다. 풍수 사상에 따른 전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상류주택과 서민주택의 입지조건이 잘 드러나는 등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숙종시대 병적기록부 발견

    17세기 후반 충청도 관찰사의 지휘를 받는 군인의 개별 신상 정보를 담은 군적(軍籍)이 발견됐다. 거주지와 키, 나이, 얼굴 생김새, 흉터같은 신체 특징, 신원보증인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왕조가 병역 자원을 어떻게 관리했는지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제7좌사좌초관(左司左哨官) 예하 일기(一旗)에 소속된 임유청(林有靑)은 나이 43세로 병촌(幷村)에 살며, 얼굴에는 마마 자국이 있고, 수염은 적으며, 왼쪽 빰에 흉터가 있다고 했고, 아버지 이름은 ‘맛생’, 주특기는 포(砲·포병)라고 적었다.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 명재 윤증(1629∼1714) 집안에서 보관하고 있던 숙종시대 충청도 관찰사 휘하 군인의 군적을 최근 입수하여 4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군적은 모두 3책으로 2책의 작성 시기는 강희 18년(숙종 5년,1679)과 강희 36년(숙종 23년,1697)이며, 나머지 1책은 작성 연대를 알 수 없다. 이현수 육군사관학교 교수부장은 “조선시대 군적은 서애 류성룡 가문에 전하는 17세기 초반의 ‘진관관병용모책(鎭管官兵容貌冊)’과 육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8세기 후반 자료 정도”라면서 “이번 군적은 대단히 희귀한 데다, 수록된 정보도 다른 군적보다 훨씬 광범위하다.”고 평가했다. 군적에 따르면 충청도 관찰사 휘하 군대는 천총(千摠·정3품)이 지휘하던 사단급이었다. 그 아래 여단장, 연대장, 대대장, 소대장에 해당하는 파총(把摠·종4품), 초관(哨官·종9품), 기총(旗摠), 대장(隊長)이 있었다. 군적에는 모두 3878명의 신상명세가 올라 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넬슨 만델라 평전/자크 랑 지음

    넬슨 만델라 평전/자크 랑 지음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인정권의 흑인차별정책(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아프리카 민중의 인권을 위해 살아온 만델라는 정의감에 넘쳐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순수한 열혈청년인가? 프랑스 좌파정권에서 12년 동안 문화부와 교육부 장관을 지낸 자크 랑의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주저주저하고 어수룩한 모습에서 친숙함 자크 랑에 따르면 만델라는 추장의 아들로 태어나 섭정의 도움으로 궁정에서 유년생활을 보내고 대학 교육까지 받는 등 보통의 아프리카 흑인이라면 꿈도 꾸지 못할 특혜를 누렸다. 게다가 만델라는 자신의 행동이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를 감안해 행동의 수위를 조절하는 노련한 정치인이다. 자신을 어떻게 포장하면 가장 극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잘 알고 있으며, 마치 연극인처럼 ‘무대의상’과 ‘무대장치’까지 세심하게 고려한다. 무엇보다 젊은 날의 만델라는 뭇 여성들과 댄스파티를 즐기며, 여성의 시선을 즐기는 평범한 젊은이이기도 했다. 게다가 다른 사람들의 칭찬에 쉽게 우쭐해지는 보통 사람으로, 오랜 죄수 생활 끝에 양복을 걸치면서 “수상 같다.”는 주변 사람들의 아부에 만족해하는 그런 사람이라는 것이다. 자크 랑의 ‘넬슨 만델라 평전’(윤은주 옮김, 실천문학사 펴냄)은 만델라라는 인물에 진솔하게 접근한다. 랑이 그려내는 만델라는 결코 성인(聖人)이 아니며, 그의 말과 행동은 종종 기존 영웅의 풍모와는 거리가 멀다. 만델라는 자신이 옳다는 확신을 갖고 있으면서도 때로는 두려워하고, 때로는 부끄러워하며, 때로는 숨기기도 한다. 하지만 자크 랑이 그려내는 만델라의 힘은 바로 여기서 나온다. 주저주저하고 어수룩한 모습의 만델라에게서 인간적인 친숙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자크 랑은 만델라 구명운동을 벌이는 예술가들의 음악회를 후원하기도 했다. 랑은 흑인차별정책 당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현실을 누구보다 직시했다. 그는 “남아프리카가 보여준 예외적인 모습은 어떠한 분석도 불가능하다. 그것은 고전적인 독재정치가 아니라 전례없이 짐승 같은 짓거리였기 때문”이라고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연극배우 출신인 랑은 이 책에서 서양 고전 연극의 형식을 빌려 아프리카라는 무대에 선 배우로 만델라를 묘사한다. 제1막에서 만델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주인공 가운데 가장 고상한 성격의 소유자인 안티고네의 아프리카인 형제로 등장한다. 이상주의적이고 열정적인 젊은이는 도시의 법에 복종해 왔지만, 어느날 숭고한 책무를 위해 그것을 위반해야 함을 깨닫는다. 제2막에서 만델라는 검투사 스파르타쿠스가 된다. 비참한 처지에 있는 동료들의 선두에 서서 로마에 대항해 양날 검을 휘두른다. 제3막에서 그는 인간에게 해방의 불을 가져다준 죄로 바위의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다. 제4막에서 그의 조국은 혼란이 극심해지지만, 만델라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에 나오는 프로스페로가 되어 치밀한 계획으로 모든 이를 화합과 용서의 세계로 이끈다. 제5막에서 그는 ‘넬슨왕’이 되는데, 마침내 자유로워진 조국의 창조자이자, 비극으로부터 교훈을 얻어 침몰하기 직전의 아프리카 대륙을 미몽에서 깨나도록 한 선지자가 된다. ●흑인뿐 아니라 백인도 해방시켜야 한다는 사명 느껴 만델라는 27년 동안 수감 생활을 겪으면서 억압 받는 자뿐 아니라 탄압하는 자의 영혼도 마찬가지로 파괴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긴 영어의 생활을 끝내고 자유를 만났을 때 그는 흑인뿐 아니라 백인 또한 해방시켜야 한다는 것을 사명으로 여겼다고 한다. 그는 최근에도 “커다란 언덕을 올라갔지만 아직 더 많은 언덕이 남아 있음을 발견했다. 가야 할 여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니 꾸물거릴 틈이 없다.”며 전 지구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힘쓰고 있다.1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광화문 창건당시 터 찾았다

    흥선대원군이 1864년(고종 원년) 중건한 광화문은 1395년(태조 4년) 경복궁을 창건할 당시의 광화문과 위치는 물론이고 규모, 중심축이 거의 똑같은 것으로 밝혀졌다. 광화문의 복원을 앞두고 옛 광화문 터를 발굴하고 있는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중건 당시의 광화문 기초 아래서 창건기 광화문의 흔적이 거의 완벽하게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문화재연구소는 태조 시대에 광화문을 창건하는 과정에서 허약한 지반을 강화하고자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박은 지정말뚝도 확인했다. 경복궁은 창건 이후 200년 남짓 조선왕조의 정궁으로 역할을 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뒤 고종시대에 중건이 이루어지기까지 250년 동안 폐허인 상태로 방치되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광화문 기초 아래서 고려시대 기와와 13세기 무렵에 유행한 최고급 고려청자 사금파리가 다량 출토되었다.경복궁 일대가 고려시대 남경(南京)의 중심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왕흥사 목탑, 위덕왕이 세 왕자 위해 세운것”

    “왕흥사 목탑, 위덕왕이 세 왕자 위해 세운것”

    충남 부여 왕흥사터에서 최근 출토된 백제시대 사리장엄에 새겨진 명문에서 그동안 ‘망(亡)’자로 읽혀졌던 글자는 ‘삼(三)’자의 이체자(異體字)로 밝혀졌다. ‘망(亡)왕자’가 아니라 ‘삼(三)왕자’라면, 백제 위덕왕(554∼598)은 죽은 세 왕자를 위하여 577년 왕흥사에 목탑을 세우고 사리를 봉안한 것이 된다.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는 “‘亡’자처럼 보이는 글자는 ‘三’의 이체자로 중국 제나라의 방주타 무덤에서도 ‘三’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교수는 “‘망왕자’로 판독하면 세상을 떠난 왕자가 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면 ‘망왕자 누구누구’라는 식으로 이름을 쓰거나, 몇째 왕자로 언급했어야 했다.”면서 “문맥상으로도 ‘삼왕자’로 판독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이체자란 뜻과 음은 정자와 같으나 형태가 다른 글자를 말한다. 왕흥사 사리장엄의 동제 사리호에 새겨진 ‘삼’자는 정자 ‘三’의 중간획과 아래획의 왼쪽 상하로 획을 하나 더 파놓은 모습이다. 왕흥사 명문에는 三을 비롯해 立(입)·刹(찰)·本(본)·葬(장)·神(신) 등이 이체자이다. 이 교수는 “세 왕자가 모두 고인이 된 시대적 배경을 찾는 일이 긴요하다.”면서 “‘위덕왕 8년(561년) 백제가 신라의 변경을 침공했으나 패하여 1000여명의 사상자를 냈고, 위덕왕 24년(577년)에는 신라 서변을 침공하다가 3700여명이 전사했다는 ‘삼국사기’ 기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백제와 신라의 577년 전투는 10월의 일로, 목탑이 건립된 577년 2월15일보다 오히려 늦지만, 신라측 사료에서 나온 기록인 만큼 신라 기년에 따르면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광개토왕릉비문’에서 확인된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즉위년은 ‘삼국사기’ 기록보다 1년 앞선 391년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이 교수는 “이렇듯 여러 차례의 전쟁에서 전몰한 왕자의 숫자가 3명에 이르렀던 것 같다.”면서 “위덕왕의 뒤를 아들이 아닌 아우인 혜왕이, 그것도 70세 안팎의 고령에 계승한 것은 아들들이 모두 일찍 죽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성왕이 신라와의 전투에서 목숨을 잃고 아들인 위덕왕도 전쟁을 몸소 치렀듯이 왕실이 왕자들을 사령관으로 하는 전쟁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왕자들이 잇따라 전사했고,‘亡’자와 닮은 이체자로 사망한 왕자들을 위해 목탑을 세운다는 의식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는 ‘일본서기’에 기록된 아좌태자의 존재 또한 “당시는 왕의 동생도 왕자라고 표기한 만큼 위덕왕의 아들이기보다는 아우일 가능성도 열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교수는 “경주 ‘황룡사찰주본기’에 나오는 刹柱(찰주)가 ‘탑기둥’을 뜻하는 것 처럼, 왕흥사 명문에 나오는 立刹(입찰)도 ‘절을 세우다.’가 아니라 ‘탑을 세우다.’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다.”면서 “따라서 왕흥사는 ‘삼국사기’ 기록대로 600년(법왕 2년)에 축조되고,634년(무왕 35년) 낙성되었다는 데 아무런 변동이 없다.”고 덧붙였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연천 호로고루城서 탄화곡물 다량 발견

    연천 호로고루城서 탄화곡물 다량 발견

    경기도 연천 호로고루 고구려성에서 동물뼈와 탄화곡물이 다량으로 남아있는 지하시설물이 발견됐다. 소, 말, 개, 사슴, 노루, 멧돼지의 뼈와 쌀, 조, 콩, 팥 등 곡물은 고구려 군대의 식생활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토지박물관은 31일 호로고루 2차 발굴보고서를 내고 성 내부에 대한 시굴 및 발굴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호로고루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에 고구려가 목책의 형태로 처음 축조한 뒤 6세기 중엽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상실하자 임진강 유역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하면서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벌인 성으로 추정된다. 이때 기와건물과 지하시설물 등을 갖춘 복합 방어시설로 재정비되어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신라세력을 방어하는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신라가 장악한 뒤에는 당나라와 전투에 대비하여 고구려 성벽에 새로운 성벽을 덧붙여 보강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로 지역에 있는 옛 성이라는 뜻의 호로고루(瓠蘆古壘)는 삼국시대 호로하로 불린 임진강 중상류에 있다. 말을 타고 강을 건널 수 있는 이곳은 현재도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2) 정선의 ‘박연폭’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2) 정선의 ‘박연폭’

    진경산수는 우리 산천에 어울리는 필법으로 경관의 정취를 회화적으로 재구성했다는데 특징이 있습니다. 겸재 정선(1676∼1759)이 위대한 화가로 대접받고 있는 것은 이런 진경산수의 시조이자 완성자이기 때문이지요. 겸재의 진경산수는 실제의 현장 모습과는 상당히 다른 것이 보통입니다. 현장에서 사생한 초본을 토대로 그린 것이 아니라, 현장을 다녀간 뒤 기억을 되살렸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그의 그림을 보면 진경(眞景)이라는 개념이 실경(實景)과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미술사학자인 이태호 명지대 교수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풍의 화가들이 얼마나 실제의 경치와 닮게 그렸는지를 수치로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는데, 겸재의 ‘현장충실도’는 30∼50% 수준에 그쳤지요. 다만 비에 젖은 바위의 강렬한 인상을 강조한 걸작 ‘인왕제색도’에 겸재의 작품으로는 예외적으로 70%를 주었습니다. 최근 개성에서 시범 관광이 이루어지면서 송도삼절(松都三絶)의 하나이자, 조선삼대명폭(朝鮮三大名瀑)의 하나인 박연폭포를 찾은 사람들은 “겸재가 그린 박연폭포와는 닮은 것 같기도 하고, 닮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고 고개를 갸우뚱거렸습니다. 겸재의 ‘박연폭(朴淵瀑)’은 까마득한 곳에서 쏟아지는 폭포수의 장쾌한 기운이 생동감있게 묘사되어 있습니다.‘소리의 리얼리티를 평면에 구현해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요. 마치 화면에서 폭포수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는 찬사일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바라보는 박연폭포는 그림 속의 그것만큼 높지 않습니다. 그림에서와 같은 기운을 느끼려면 폭포 바로 아래서 올려다볼 때만 가능하지요. 하지만 겸재의 그림은 폭포에서 얼마간 떨어져, 그것도 약간 높은 위치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야 폭포의 전모를 보여주면서, 폭포수의 강렬한 이미지도 화폭에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화면 오른쪽 아래엔 박연폭포에 감탄하고 있는 두 사람의 선비와, 이들을 이곳으로 안내한 듯한 동자승의 모습이 작게 보입니다. 실제로는 오른쪽으로 조금 올라가야 하는 언덕에 지어져 있는 범사정(泛斯亭)도 폭포가 떨어지는 고모담에 바짝 붙여놓았지요. 미술사학자 유홍준은 이를 두고 ‘현장감과 스케일을 동시에 느끼게하는 조형적 배려’라고 했는데, 실제로 이 부분이 없었다면 화면 속의 박연폭포는 그리 장쾌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실제의 박연폭포는 펑퍼짐한 바위 위로 물줄기가 흘러내리고 있는 모습이지만, 겸재는 좌우 암벽 사이를 좁혀 긴장감을 더했습니다. 겸재는 진경산수에 이렇듯 특유의 변형방식을 적용했습니다. 다른 그림도 마찬가지여서, 대표작의 하나인 ‘금강전도’(1734년, 삼성미술관 소장)는 마치 새처럼 하늘을 날며 금강산 전체를 굽어본 듯한 풍경이지요.‘금강팔경도첩’(1730∼1740년, 간송미술관 소장)의 ‘정양사’는 천일대에서 내려다 본 정양사와 정양사에서 올려다 본 비로봉 일대를 합성한 시점입니다. 이렇게 실경을 재해석하여 조형적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거쳤으니 겸재의 진경산수는 실제 경치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만년의 걸작인 ‘박연폭’에서 보여주는 과감한 변형은 당연히 예술적 완성도에 대한 겸재의 자신감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 dcsuh@seoul.co.kr
  • 조선 달항아리 2점 국보 지정예고

    조선 달항아리 2점 국보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리움미술관이 소장한 보물 제1424호 조선백자 달항아리와 보물 제1440호인 개인 소장 달항아리를 국보로 지정예고한다고 31일 밝혔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주로 빚어진 달항아리는 높이가 40㎝ 이상 되는 대형으로 유백색(乳白色)의 빛깔과 둥근 형태가 보름달을 떠올리게 해 붙여진 이름이다. 두 달항아리가 30일 동안의 예고기간 이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보로 지정되면, 국보 달항아리는 기존의 우학문화재단이 소장한 국보 제262호와 함께 세 점으로 늘어난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문서뭉치인 묵서지편(墨書紙片)에서 이두(吏讀)가 다량으로 확인됐다. 국어학계는 기존 학설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만큼 문자발달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천혜봉 전 문화재위원을 위원장으로 조사연구위원회를 구성해 묵서지편을 판독한 결과 드러났다. 노명호 서울대 사학과 교수와 이승재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가 판독한 결과는 지난 27일 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열린 ‘석가탑 발견 유물조사 중간 보고’에서 공개됐다. 이두는 대체로 뜻을 가리키는 대목은 한자의 새김을 취하고, 문장의 형태를 만드는 대목은 한자의 음을 취하는 신라시대 이후의 표기법이다. 한문 문장의 이해를 돕고자 구절이 끝나는 곳에 끼워 넣은 구결(口訣)이나, 주로 향가에 쓰인 표기법인 향찰(鄕札)을 포괄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승재 교수는 “기존에 구결자로 알려진 몇몇 글자가 묵서지편에서는 이두문에 두루 쓰였다.”면서 “이런 사례는 아직껏 발견된 적이 없으므로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두자와 구결자의 혼용은 이두와 구결이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임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판독 결과 현종 15년 석가탑을 해체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9편(偏)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권(卷)을 꺼냈다가 석탑을 다시 세우며 보협인다라니경(보협인경)과 함께 사리공에 안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정종 4년 중수할 때는 보협인경과 함께 무구정경 1권을 다시 넣었다고 적었다. 또 석가탑은 고려 현종 15년(1024년)에 해체 보수했지만,12년 만인 정종 2년(1036년) 대지진이 일어나는 바람에 중수 공사를 다시 벌여야 했다. 하지만 사리장치를 안장하는 등 복원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어 가던 정종 4년(1038년) 다시 지진이 일어나, 또 한 차례 해체 수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단종복위운동 기리는 ‘금성단’ 사적 지정예고

    단종복위운동 기리는 ‘금성단’ 사적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금성단(錦城壇)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이라는 이름으로 지정될 금성단은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화를 당한 금성대군과 순흥 도호부사 이보흠의 충절을 기리고자 영조 18년(1742)에 설치한 제단이다. 금성대군은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세조(수양대군)의 아우이며 단종의 숙부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금동향로’이후 최대성과

    ‘금동향로’이후 최대성과

    충남 부여 왕흥사(王興寺)터에서 나온 백제시대 사리장엄이 학계를 흥분시키고 있다. 고구려·백제·신라를 통틀어 삼국시대의 사리장엄이, 그것도 완벽한 상태의 ‘한 세트’가 출토된 것은 처음이기 때문이다. 삼국시대의 사리구는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 알려진 것이 전혀 없었다. 다만 백제 지역에서는 부여 군수리사지 목탑터의 심초석 윗부분에서 유명한 납석제여래좌상과 금동보살입상이 나와 사리공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전북 익산 제석사의 목탑터 심초석함에 불사리를 담은 수정병 등을 봉안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신라 지역에서는 경주 황룡사와 분황사에 사리 관련 유물이 있다. 황룡사 구층목탑터의 심초석 아래에서 사리함으로 보이는 청동그릇이 발견되었으나, 도굴되어 원래 상태를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분황사 모전석탑에서도 사리장엄이 발견되었으나, 고려시대 유물이 함께 나와 훗날 사리장엄을 다시 만들어 넣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리장엄이 나온 왕흥사는 백마강을 사이에 두고 백제왕성과 부소산성을 마주보고 있는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다.1934년 ‘王興(왕흥)’이라고 찍힌 기와조각이 수습되면서 왕흥사터로 비정되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2000년 9월부터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으며,2001년 2월에는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다. 왕흥사 사리장엄이 특별히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것은 청동 사리함 바깥벽에 새겨진 29자의 명문(銘文) 때문이다.‘정유년 2월15일 백제왕 창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절을 세우고 본래 사리 두 매를 묻었을 때 신의 조화로 셋이 되었다.(丁酉年二月/十五日百濟/王昌爲亡王/子立刹本舍/利二枚葬時/神化爲三)’고 적혀 있다. 백제왕 창은 성왕의 맏아들인 위덕왕을 말한다. 성왕은 554년 당시 왕자 창을 보내 신라의 관산성(충북 옥천)을 공격하고, 뒤이어 자신도 출전했으나 전사한다. 위덕왕은 아버지가 죽은 충격으로 출가하여 불도를 닦으려 했던 것으로 ‘일본서기’는 전한다. 일본 쇼토쿠태자의 스승인 아좌태자(阿佐太子)는 위덕왕의 아들로 597년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사리함의 명문은 위덕왕에게 다른 아들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위덕왕은 성왕의 죽음에 대한 분풀이로 신라와 자주 싸웠는데, 이 과정에서 이 아들을 잃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덕왕이 세상을 떠난 뒤 성왕의 둘째아들이자 위덕왕의 동생인 혜왕(惠王)이 왕위를 이어받은 것도 이처럼 위덕왕의 아들들이 전사하거나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는 “목탑은 577년 건립되었으나 정작 왕흥사는 법왕(백제 29대왕) 시절인 600년에 창건이 시작된 것으로 전한다.”면서 “왕자의 명목을 비는 목탑과 사찰이 당초 별도로 각각 조성되었음을 시사하는 만큼 왕흥사터 목탑은 ‘위덕왕 발원탑’이나 ‘위덕왕 왕자 추복탑’으로 명명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백제 사리장엄 첫 발굴

    백제 사리장엄 첫 발굴

    충남 부여의 왕흥사 목탑터에서 사비 백제시대 사리장엄(舍利莊嚴) 일체가 완벽한 형태로 발굴됐다. 사리장엄은 높이 10.3㎝의 청동제 원통형 사리함에 은제 사리병을 봉안하고, 다시 이 안에 금제 사리병을 안치한 형태로 되어 있다. 청동제 사리함 바깥벽에는 특히 이 사리장엄을 577년 백제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절을 세웠다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백제시대 사리장엄 일체가 확인된 것은 처음으로,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 이후 백제 지역 최대의 발굴 성과로 학계는 받아들이고 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4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 왕흥사터 현장에서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와 기자설명회를 열고 출토 유물을 공개했다. 사리함이 봉안된 목탑은 이층으로 이루어진 기단을 갖고 있으며, 아래층 기단은 사방 14m의 정사각형이다. 사리함은 목탑터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직사각형 심초석의 남쪽 끝 16×12×16㎝ 크기의 사리공 내부에, 화강암 뚜껑에 덮인 채 들어 있었다. 심초석 남쪽에서는 목걸이와 팔찌, 비녀, 금제귀고리 등과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550∼577)에서 쓴 상평오수전 등 다양한 진단구가 확인됐다. 진단(鎭壇)이란 집을 지으면서 단을 세운 뒤 발원하는 의식을 말한다. 부여문화재연구소는 “명문 및 사리구의 내용으로 왕흥사가 같은 위덕왕 대에 세워진 능산리절터(567년)보다 10년 늦게 조성되었다는 연대가 밝혀졌다.”면서 “백제사 편년과 이 시기 고고학적 자료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사리장엄 부처나 스님의 법신(法身)을 다비하여 나온 사리를 봉안하는데 쓰는 공예품으로, 사리를 담는 사리구와 이 사리구를 탑 속에 봉안하는 사리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사리장엄구로도 불린다.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1)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1)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양식(樣式)이란 ‘시대나 부류에 따라 각기 독특하게 지니는 형식’이라고 국어사전은 정의합니다. 실제로 불교가 전래된 이후 우리 불교미술은 시대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여왔지요. 하지만 최근의 불교조각은 과거 작품에서 좋아 보이는 요소를 덜어내 조합시키곤 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지금 이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양식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훗날의 미술사학자들은 정확한 시기와 제작지를 알기 어려운 고대 불상이 아니라,20∼21세기에 만들어진 불상 때문에 혼선을 빚을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나아가 이 시대의 불교조각은 아예 미술사의 연구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마저 듭니다. 양식이 사라진 시대에 조각가 최종태(1932∼)의 관세음보살상은 ‘창작 불상’이라는 새로운 경지를 보여 주었습니다. 법정 스님의 권유로 조성된 이 관음상은 2000년 4월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 봉안되었습니다. 길상사 관음상이 더욱 화제가 되었던 것은 불모(佛母)를 맡은 이가 가톨릭미술가협회장을 맡을 만큼의 독실한 천주교 신자이기 때문이지요. 그는 호기심을 갖는 이들에게 “땅에는 나라도, 종교도 따로따로 있지만 하늘로 가면 경계가 없다.”고 했습니다. 최종태는 소녀상과 소녀다운 성모 마리아상으로 이름을 날린 조각가입니다. 길상사 관음상의 이미지가 성모상의 연결선상에 있는 것도 심성의 참된 가치를 발견하는 불교의 견성(見性)이나,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나라가 모두 같은 울타리 안에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하지요. 이 관음상은 한국 불교 미술을 대표하는 걸작의 하나인 국보 제83호 삼산관반가사유상과 이미지가 비슷합니다. 사유상이 미소를 머금고 있는 반면 관음상의 표정에서는 슬픔이 스쳐가고 있음에도 그렇습니다. 관음상은 여러 개의 봉우리가 솟은 관을 쓰고 있는데, 반가상의 삼산관(三山冠)을 떠올리게 하여 더욱 닮았다는 느낌이 들었을 것입니다. 최종태는 실제로 창작에 한계를 느꼈던 젊은 날, 삼산관사유상을 비롯한 삼국시대 불상들이 막혔던 길을 뚫어주는 역할을 했다고 회고하고 있지요. 길상사 관음보살은 삼국시대 말기 이후에 많이 만들어진 관음상처럼 왼손에는 맑은 물이 담긴 정병(淨甁)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목이 길다란 전형적인 관음보살의 정병이 아니라 조선시대 초기의 분청사기 편병처럼 납작한 모양이지요. 그것도 들고 있다기보다는 가슴에 품듯 감싸안고 있습니다. 오른손은 아무 걱정 하지 말라는 뜻으로 손바닥을 펴든 시무외(施無畏)인을 하고 있는데, 아마도 이 관음상에서 가장 불교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부분일 것입니다. 하지만 부드럽게 흘러내린 겉옷은 관음보살의 대의라기보다는 수녀복에 가깝고, 대좌 또한 연화좌가 아니라 성모상에 흔히 쓰는 장식 없는 사각형이지요. 이미지는 삼국시대 불상과 닮았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제로 닮은 데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최종태는 앞으로 불상을 더 만들 일은 없을 것 같다고 말합니다. 이렇듯 파격적인 불상이 예배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술 쪽에서도 이 관음상을 불교미술사의 영역이 아닌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평가할 가능성이 크겠지요. 그렇다 하더라도 전통을 잃어버린 시대에 길상사 관음상은 우리 불교미술의 돌파구가 어디인지 한번쯤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dcsuh@seoul.co.kr
  • 순종어차 80년만에 종로거리 행차

    순종어차 80년만에 종로거리 행차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과 순정효황후가 탔던 어차(御車)가 80여년 만에 서울 종로 행차에 나선다. 국립고궁박물관은 28일 오전 10시∼낮 12시 창덕궁에서 고궁박물관까지 순종과 순정효황후의 어차행렬을 재현한다고 23일 밝혔다. 어차행렬은 대한제국 호위병 복식을 한 의장대의 호위를 받는 가운데 창덕궁과 종로, 세종로 사거리, 세종로를 거쳐 고궁박물관으로 향할 예정이다. 이날 어차는 실제로 주행하지 않고 특수차량에 실려 이동한다. 등록문화재 제318호인 순종어차는 미국 GM사가 1918년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이며 순정효황후 어차(등록문화재 제319호)는 영국의 다임러사에서 1914년에 제작한 차량이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BC 7세기 철기유물 강원도 홍천서 출토

    서기전 7세기 무렵의 철기 유물이 강원도 홍천에서 출토됐다. 한반도의 철기문화는 서기전 3세기 무렵 중국의 철기문화가 들어오면서 형성되었다는 그동안의 학설을 뒤엎는 것이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 철기는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녹인 쇠를 틀에 부어서 만드는 주조 방식이 아니라 철기의 발상지인 서아시아 지역처럼 쇠를 두드려서 강도를 높이는 단조(鍛造)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철기의 전래 경로에도 새로운 연구 과제를 던져주었다. 강원문화재연구소는 국도 확장 공사 구간인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일대 12만 6509㎡를 지난해 2월부터 발굴조사한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소형 단조 철기 1점을 수습했다고 21일 밝혔다. 지현병 연구실장은 “이 소형 철기는 제58호 주거지에서 무문토기 등 유물을 수습한 뒤 바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찾아냈다.”면서 “주거지에서 수거한 목탄(숯)을 시료로 서울대 기초과학공동기기연구원에 탄소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BC 640∼BC 620년으로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지 실장은 “이 철기의 연대가 서기전 7세기로 확인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철기가 한반도에 출현한 시기를 훨씬 앞당길 수 있는 데다, 뚜렷한 정설이 확립되지 못한 청동기시대의 하한 연대도 결정할 수 있는 자료”라고 덧붙였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종교건축기행34/김성호 서울신문 문화전문기자

    미륵신앙의 본산이자 동학혁명의 발원지였으며, 강증산의 후천개벽 사상을 낳은 우리나라 민중종교운동의 본거지인 전북 김제 모악산 들머리에는 개신교의 순례성지가 하나 자리잡고 있다.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전통 윤리를 교회건축에 그대로 살려낸 금산교회가 그것이다. 유교적 전통이 완강하던 1908년 세워진 금산교회는 ‘ㄱ’자형이다. 합각을 이룬 모서리에 있는 강단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여성, 오른쪽에는 남성 신자들이 예배를 봤다. 그런가 하면 경남 양산 통도사의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다. 대웅전의 북쪽에는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기 때문이다. 대웅전에서는 북쪽 벽에 난 커다란 창으로 금강계단, 즉 부처를 향하여 참배할 수 있다. 김성호 서울신문 문화전문기자가 쓴 ‘종교건축기행34’(W미디어 펴냄)를 펼쳐들면 한국 종교건축이 언제 이렇게 다양한 전통을 만들었을까 새삼 놀라게 된다. 한국 문화의 저변을 형성한 불교의 절집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불과 100년이 조금 넘는 건축 역사를 지닌 천주교와 기독교의 예배공간이 이미 우리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자산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다는 사실을 34곳의 사례는 분명히 일깨워 준다. ‘종교건축기행’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호평을 받으며 서울신문에 실린 연재물. 종교건축의 아름다움에 머물지 않고 정치·사회·종교·문화적 배경으로 시야를 확대한 만큼 한국 종교문화사를 개괄한 입문서로도 손색이 없다. 초창기 백정을 대상으로 목회를 하여 ‘백정 교회’로 불린 서울 인사동의 승동교회와 국내 유일의 정사각형 교회인 봉화 척곡교회 등 개신교회 8곳, 천주교도를 처형한 전주 풍남문의 석재를 주춧돌로 쓴 전주 전동성당과 한옥으로 지은 익산 나바위성당 등 천주교회 11곳을 소개했다.‘한국 불교 1번지’인 서울 조계사와 시인 고은이 출가한 절로 일본 에도(江戶)시대 건축양식으로 지은 군산 동국사 등 절집 10곳도 둘러볼 수 있다. 무엇보다 원불교의 발상지인 영광 영산성지와 증산도의 성소인 대전 태을궁, 천도교의 발상지인 경주 용담정, 한국정교회의 요람 성 니콜라스 서울대성당, 한국 이슬람의 핵인 서울 이슬람중앙사원 등 소수 종교 및 종파의 건축물도 자세히 소개한 것은 이 책의 가치를 높인다.1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