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 이유미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 박철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 김기중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 홍인기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33
  • “3년반 원없이 터지고 원없이 일하다 갑니다”

    “3년반 원없이 터지고 원없이 일하다 갑니다”

    “3년 반 동안 원없이 일하고, 원없이 터지다가 갑니다. 그래도 문화재를 전문으로 다루는 기자들에게는 비판받지 않은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이 10일 국립고궁박물관 카페테리아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참여 정부의 임기가 한달 이상 남은 상황에서 그의 조금 이른 듯한 ‘고별 간담회’는 일찍 마음을 정리하고 ‘제자리’로 돌아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였다. ●“원각사탑 중앙박물관으로 옮길 계획”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로 스타 미술사학자로 떠오른 그가 문화재청장에 임명된 것은 2004년 9월1일. 그는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충남 서산마애불의 보호각을 최근 철거한 것을 언급하며 “그것 한 가지 하는데 임기를 모두 보낸 것 같다.”며 문화재 행정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유 청장은 “야외에 석조문화재를 노출시키는 것이 어떻게 보호냐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지만, 탑골공원의 원각사터십층석탑처럼 유리벽으로 싸놓으면 제대로 보호하는 것이냐.”고 반문하면서 “앞으로 원각사탑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고 탑골공원에는 복제품을 세우는 것으로 정리했다.”고 밝혔다. ●“대통령 취임식 근정전에서 해도 좋을 듯” 유 청장은 이날 “광화문으로 청장을 시작하여, 광화문으로 청장을 끝내는 것 같다.”고 광화문 복원에 대한 애정을 다시한번 표현했다. 그는 “새 정부에서는 여의도가 아닌 광화문 광장에서 취임식을 갖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하고는 “경복궁의 근정전은 어떨지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반도 대운하로 화제가 이어지자 유 청장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운하가 지나는 곳의 문화재 지표조사는 문화재청이 맡도록 특별법에 넣고, 발굴도 국책발굴단을 만들어 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적극적으로 ‘운하 추진 대책’을 마련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대운하를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는 질문에는 “(문화재청장을 물러난) 2월26일에 대답하겠다.”면서 웃었다. 유 청장은 퇴임하면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로 돌아간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조선시대 무덤 한눈에 본다”

    “조선시대 무덤 한눈에 본다”

    무덤 앞에 세워져 주인공의 신분을 알리고 생전의 공덕을 칭송하는 비석은 크게 신도비(神道碑)와 묘갈(墓碣), 묘표(墓表)로 나누어진다. 조선시대에 신도비가 왕릉과 2품 이상의 무덤에 세워졌다면 묘표는 신분의 제약 없이 소략한 내용을 단순한 형태의 비석에 새겼다.3품 이하 중간 품계와 양반사대부의 비석인 묘갈은 신도비보다는 작고 묘표보다는 컸다. 그런데 제주도의 무덤에는 신도비나 묘갈은 거의 없고 묘표가 주류를 이룬다고 한다. 높은 품계에 이른 사람이 적었던 탓도 있지만 비와 바람이 많은 데다 무른 현무암이 쉽게 마멸되는 환경적인 원인도 없지 않다고 한다. 비석을 자주 교체할 수밖에 없어 오래된 묘표도 많지 않다는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전국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을 현지조사한 결과를 담은 e북 ‘조선시대 묘제(墓制) 자료집’을 내놓았다.‘초분(草墳)’과 ‘한국의 제사’를 펴냈던 민속박물관이 한국인의 통과의례 분야에서 내놓은 또 하나의 연구 성과이다. 무덤은 죽은 사람을 위한 공간인 동시에 조상에 대한 효와 숭모의 마음이 시각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는 지극히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이 자료집에 ‘죽은 자, 또한 산 자의 공간, 무덤’이라는 부제가 붙여진 것도 이런 이유일 것이다. DVD와 책자로 이루어진 이 자료집에는 사대부 무덤 225기와 제주도 무덤 33기, 왕실 무덤 47기 등 모두 305기의 무덤을 조사한 내용과 1만 1000장에 이르는 이미지가 담겼다. 상장례뿐 아니라 사회, 정치상까지를 보여주는 조선시대 무덤에 대한 종합 자료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자료집에는 무덤의 입지와 구성물 배치, 좌향(坐向), 봉분에서부터 동자석(童子石), 석수(石獸), 혼유석(魂遊石) 등 각종 석물에 대한 기본 정보와 피장자 정보 등 조사한 무덤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담았다. 예를 들어 DVD를 작동시킨 뒤 ‘권근과 경주 이씨’를 클릭하면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다는 무덤의 위치와 함께 여말 선초의 문신 겸 학자로 호는 양촌이며 1409년 향년 58세로 사망하여 경기도 광주에 안장되었다가 1443년 지금의 위치로 이장되었다는 인물에 대한 기초정보가 소개된다. 또 ‘무덤개관’으로 권근의 합장무덤은 봉분의 크기가 가로 760㎝에 세로 760㎝, 높이 260㎝에 호석은 높이가 70㎝이며 해발고도 155m 지점에 남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아울러 20장 남짓한 현장사진으로 무덤의 전경과 각종 석물의 모습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신광섭 국립민속박물관장은 “그동안 조선시대 무덤은 왕릉을 제외하면 자료가 전무했던 상황”이라면서 “이 자료집이 종합적 기초자료가 부족한 조선시대 상장례 문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자료집은 비매품으로 도서관, 박물관 등 공공기관에만 배포되며 일반인은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http:///www.nfm.go.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51)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부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51)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부도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회암사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이름을 떨친 거찰이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무학대사를 머물게 하고 불사가 있을 때마다 참례토록 한 것은 물론 상왕으로 물러앉은 다음에는 아예 이곳에서 도를 닦았던 것으로도 유명하지요. 하지만 조선이 성리학을 국교로 삼은 마당에 왕실의 권위를 등에 업고 번성한 회암사는 더더욱 유생들의 집중 견제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쇠락해가던 회암사는 조선 중기 이후 어느 때인가 폐허가 되고 말았습니다. 회암사터는 1997년부터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그 전모가 드러나고 있지요. 발굴 현장에 마련된 전망대에 오르면,262칸에 이르렀다는 전성기 회암사터의 규모에 놀라게 됩니다.14세기의 대(大)여행가로 새롭게 주목받는 지공(持空·1300∼1363)의 부도는 그가 중창한 회암사가 있는 천보산 중턱에 법제자인 나옹과 무학의 부도와 나란히 세워졌습니다. 고려 불교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킨 지공은 본명이 디야나바드라(Dhyanabhadra·提納薄陀)로 인도의 마가다국(摩竭提國) 출신입니다. 그는 히말라야산맥을 넘고 원나라 수도 연경을 거쳐 충숙왕 13년(1326년)에는 고려에 들어와 ‘환생한 부처’로 극진한 환대를 받으며 3년 가까이 머물게 되지요. 지공은 1328년 연경으로 돌아간 뒤에는 고려인들이 세운 법원사(法源寺)에 머물렀습니다. 그러자 나옹과 백운, 무학 등이 다투어 원나라로 건너가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게 되지요. 지공의 가르침에는 개혁사상이 담겨 있었던 듯 나옹은 고려 말 개혁정치를 시도한 공민왕의 왕사(王師)가 되고, 무학은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를 엽니다. 지공은 1361년 11월 겨울 입적하는데,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는 과정의 혼란 속에 그의 유골을 네 사람의 제자가 나누었다고 합니다. 이들 가운데 두 사람이 고려로 가져온 유골이 회암사와 장단 화장사, 묘향산 안심사에 나뉘어 안치된 것입니다. 마가다국에서 고려에 이르는 지공의 행적은 목은색이 지은 지공의 회암사 부도비명 병서에 자세히 전합니다. 지공은 인도의 동북부에서 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오늘날의 스리랑카에 이르는 인도의 전역을 여행했습니다. 그럼에도 인도사(史)는 14세기 초에 이르면 인도의 대부분은 이슬람의 영향권에 들었고, 이를 전후한 시기에 힌두교가 성행하기 시작하였던 반면 불교는 거의 사라졌다고 서술하고 있다고 하지요. 하지만 지공의 행적을 보면 적어도 인도의 동부는 당시 불교의 전통이 강하게 존속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공은 처음엔 바닷길로 중국으로 가고자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의 미얀마와 말레이반도의 초입까지 진출했다가 돌아선 것으로 짐작되고 있지요. 이후 인도 서부의 사막과 히말라야산맥을 넘어 티베트와 운남, 연경을 거쳐 고려에 이르게 됩니다. 그는 고려에서도 개경에만 머물지 않고 금강산과 양산 통도사에서도 설법을 했습니다. 지공은 티베트에서는 주술사가 독약을 타놓은 차를 마셔야 했고, 하성(蝦城)에서는 이교도들로부터 얻어맞아 이가 부러졌으며, 중국의 양자강 상류에 속하는 대독하(大毒河)에서는 도적을 만나서 알몸으로 도망가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지공의 발자취를 담은 기록은 당시 아시아 각국의 지리와 민속, 종교를 밝히는 매우 중요한 단서입니다. 지공을 모로코 탕헤르 출신으로 이슬람세계와 중국을 여행한 이븐 바투타(1304∼1368)와 비교되는 대여행가로 주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회암사에 있는 지공의 부도를 더욱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dcsuh@seoul.co.kr
  • “관객과 가까이서 호흡하겠다”

    황병기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이 올해부터 매달 국립극장 별오름극장 무대에 오른다. 가야금의 명인으로 더욱 유명한 황 감독이지만 연주자가 아닌 ‘사랑방 음악회’ 해설자의 자격이다. 이 음악회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이 관객들과 더욱 가까워져야 한다며 황 감독 자신이 기획한 것. 지난해 세 차례에 걸친 ‘실험’에서 자신을 얻어 올해부터는 상설공연으로 확대했다.●`사랑방 음악회´ 해설자로 무대 올라 별오름극장은 74석에 불과한 작은 무대이다. 보통 50∼60명 남짓한 단원이 무대에 오르는 국악관현악단의 덩치에는 걸맞지 않는다. 하지만 황 감독은 오히려 다양한 악기편성이 국악관현악단의 장점을 살려 재미를 가미한 실험정신을 관객과 호흡하며 펼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황 감독은 “지난해 ‘사랑방 음악회’의 객석을 채운 관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면서 “많은 이들이 국악을 가까운 곳에서 섬세하게 듣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관객뿐만 아니라 단원들도 ‘사랑방 음악회’를 환영하고 있다. 독주나 실내악을 하고 싶어 하는 단원들이 기량을 가다듬어 ‘실전’에 나설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올해부터 매달 상설공연으로 확대 올해 첫 무대인 24일의 주제는 ‘삼현육각’. 원래 피리 둘을 비롯해 대금과 해금, 장구, 북으로 이루어진 악기 편성을 뜻하는데, 이런 구성으로 연주하는 전통음악을 지칭하기도 한다. ‘삼현영산회상’의 피날레에 해당하는 ‘함녕지곡’을 서곡으로 해금수석인 김영미가 연주하는 지영희류 해금산조, 최훈정의 피리독주 ‘상령산’, 박경민의 대금독주 ‘청성자진한입’에 이어 민속악 합주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대풍류’로 대미를 장식한다.‘사랑방 음악회’는 7월을 제외한 매월 넷째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에 열린다. 전석 2만원.(02)2280-4115.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태극기 근대 문화재 등록 추진

    태극기의 근대 문화재 등록이 추진된다. 백범 김구 선생이 서명한 태극기를 비롯해 상하이 임시정부 태극기, 광복이 머지않다는 뜻으로 ‘불원복(不遠復)’이라고 쓴 의병장 고광순의 태극기 등이 검토 대상이다. 문화재청은 광복 60주년을 맞아 근대 문화재의 범위를 부동산뿐 아니라 태극기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동산으로 넓혀 광복절이 있는 8월쯤 등록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한반도 대운하 커지는 논란] 대운하 주변 문화재 얼마나

    경부운하저지국민행동은 7일 한반도 대운하 예정지역에 분포하는 문화재 및 매장문화재의 현황을 공개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 3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경부운하 예정지의 반경 100m 이내에 매장문화재 분포지가 177곳에 이르며, 반경 500m 이내에 72점의 국가 및 시·도 지정 문화재가 있다고 보고했다. 국민행동에 따르면 경부운하가 지나가는 한강 및 낙동강 주변에는 국보 제6호 충북 충주시 중원 탑평리 7층석탑과 경기 여주군 북내면 신륵사 조사당을 비롯한 보물 6점이 있다. 또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 등 사적 15점과 경북 구미시 옥성면 농소리 은행나무 등 천연기념물 3점,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동 박엽씨 가옥 등 중요민속자료 1점 등 26점의 국가지정문화재가 분포한다.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의 삼강사비 등 시·도 유형문화재 10점과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정약용 묘소 등 시·도 기념물 19점,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부군당 등 시·도 민속자료 2점, 경남 함안군 칠북면 봉촌리 광심정 등 시·도 문화재자료 15점 등 시·도 지정문화재도 46점에 이른다. 매장문화재는 한강수계에 경기 양평군의 두물머리 나루터와 상자포리 유물산포지, 여주군 흔암리 선사유적, 충북 충주시 가금면 안반내사지 등 118곳, 낙동강수계에 경남 밀양시 삼랑진성지와 낙동강변 선사유적지 등 59곳이다.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문화재청의 보고는 정밀도가 낮은 기존 문화재 분포지도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정밀 조사를 하면 훨씬 많은 문화유적이 분포할 수 있다.”면서 “실제 운하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터미널, 갑문, 수중보, 연결도로, 편의시설, 관광단지 등을 포함하면 문화유적의 분포 반경은 얼마나 더 넓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대운하 예정지 문화유적 170곳”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대운하(경부운하) 예정지에 170곳의 문화유적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유적을 발굴 조사할 수 있는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새 정부가 계획하는 경부운하의 조기착공에 최대 난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문화재청은 4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산하 한반도 대운하 태스크포스(TF)에 이런 사실을 보고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인수위는 효율적인 문화재 조사를 당부했다.”면서 “인수위가 철저한 문화재 조사의 필요성을 먼저 제기한 데다, 문화재 조사는 법대로 할 것이며, 중요한 유적지를 파괴하면서까지 운하를 지나가게 할 생각은 없다는 메시지 또한 분명히 전달받았다.”고 말했다.문화재청은 문화유적 조사에 투입할 발굴 인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놓고 행정중심복합도시 추진과정에서 제안한 ‘국책사업발굴단’의 필요성을 제시했지만 인수위는 새 정부가 슬림화를 표방하는 마당에 어렵지 않겠느냐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문화재청은 경부운하 구간의 문화유적 조사와 관련한 문제를 전담할 태스크포스를 조만간 출범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다가오는 미래/제임스 데이터 엮음

    미래학자들은 종종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는다고 한다.‘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미래를 연구할 수 있는가.’라거나 ‘미래학자들이 미래를 예언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호주 멜버른 미래연구센터의 리처드 슬로터는 앞의 질문에는 ‘그래도 할 수 있다.’고 대답한다. 미래는 현재를 구성하는 지대하게 중요한 요소이거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현재의 행동이나 존재의 본원(本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슬로터는 뒤의 질문에는 부정적이다. 물론 미래를 이해하고 탐구하고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창조할 수는 있지만 예언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다가오는 미래’(제임스 데이터 엮음, 우태정 옮김, 예문 펴냄)는 슬로터를 비롯한 12개국 29명의 미래학자가 쓴 글을 한데 모은 책이다. 아마도 일반인들이라면 이 책에서 ‘미래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미래학자 지망생들이라면 ‘미래학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책을 엮은 제임스 데이터 미국 하와이대학 미래학연구소장은 흔히 ‘미래학의 대부’로 불린다. 그가 1969년 버지니아공대에서 미래학(future studies)을 소개한 것을, 그 학문적 시작으로 보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미래’는 데이터가 28명의 미래학자에게 ‘미래학이란 무엇이고 미래학자의 임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데 대한 답변이다. 정치학, 사회학, 역사학, 인류학, 지리학, 경영학 등 각 분야 전문가로 이루어진 필진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답했지만 하나의 통일성이 나타났다고 한다. 미래연구란 실제로 어떤 미래가 닥치기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정확하게 말한다는 의미에서의 예언(prediction)은 아니라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는 것이다. 데이터의 결론은 이렇다.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학자는 유일한 ‘하나의 미래’보다는 ‘대안적 미래들(alternative futures)’이 실재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미래란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일들의 장(場)’이 아니라 아직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가능한 일들의 장’이다. 따라서 미래학자는 미래를 예언하는 사람이 아니라 다양한 대안적 미래를 예측(prospect)하는 사람이다.3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청도 수몰예정지서 신라 유물 무더기로

    경북 청도군 풍각면 성곡리 일대에서 4세기말∼6세기 초반 무렵 신라시대 고분이 900기 가까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성곡리는 한국농촌공사 경산지사가 농업용 저수지 건설을 추진 중인 수몰 예정지다. 경북문화재연구원(원장 이재경)은 2일 “성곡리 산 210-2번지를 중심으로 실시한 시굴조사에서 유적이 밀집돼 있는 것으로 확인된 3만 6800㎡ 지역을 본격적으로 조사한 결과 총 940기에 이르는 각종 유적을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발굴된 가장 특징적인 유적은 852기에 이르는 석곽묘(石槨墓) 혹은 그 일종인 석곽옹관묘(石槨甕棺墓)다.5세기 중기에서 말기 사이에 축조된 석곽옹관묘는 돌을 쌓아 덧널(곽·槨)을 짠 다음, 그 안에 독으로 제작한 널(관·棺)을 다시 안치한 무덤을 말한다. 깬돌이나 강돌을 이용해 네 벽면을 쌓고 바닥까지 깐 보통의 석곽묘와 달리, 석곽옹관묘는 묘광(墓壙) 네 벽면 혹은 바닥에 판돌을 세우거나 깐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136기가 조사된 석곽묘들은 해발 126∼145m 되는 능선 중에서도 햇볕이 잘 드는 동쪽이나 남쪽 경사면에 밀집된 분포를 보였다. 대부분 동·서 방향을 이루는 무덤 장축과 몇몇 무덤의 동쪽 벽면에서 귀고리가 발견되는 점으로 볼 때, 시신은 머리가 동쪽으로 향하도록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덤 머리 쪽인 동쪽 벽면과 발치 쪽인 서쪽 벽면에 부장품을 각각 나눠 배치한 경우가 93기였고, 한쪽 단벽에만 유물을 안치한 사례는 37기에 이르렀다. 발굴단은 유물의 양쪽 벽면 배치 형태를 검토한 결과 “머리쪽(동쪽)에는 유개고배(有蓋高杯·뚜껑 갖춤 굽다리접시)나 고배(高杯·굽다리접시), 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받침대 갖춤 목이 긴 항아리)가, 발치쪽(서쪽)에서는 호(壺·항아리형 토기) 종류 토기가 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신라가 건국해 성장해 가던 무렵 청도 일대에 이서국(伊西國) 혹은 이서고국(伊西古國)이라 불리는 정치체가 있었다는 삼국사기 기록을 감안할 때, 이번 성곡리 유적 발굴이 청도 지역 삼국시대 매장문화와 주변지역 고대 정치체 간 관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오르가슴-12초의 희열이 세계를 바꾼다/최상안 옮김

    미국대통령이었던 케네디는 과도한 성행위를 즐기다가 근육이 손상되는 바람에 보호대를 착용해야 했다고 한다. 실제로 암살 사건 당시를 찍은 사진이나 TV화면을 자세히 보면 케네디의 자세는 부자연스러울만큼 허리가 뻣뻣해 보였다. 댈러스에서 오즈월드가 케네디를 향해 총탄을 발사했을 때 피하지 못했던 이유도 코르셋을 차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독일의 학술 프리랜서 작가 롤프 데겐은 ‘오르가슴-12초의 희열이 세계를 바꾼다’(최상안 옮김, 한길사 펴냄)에서 “이런 의미에서 케네디의 생명을 앗아간 주범은 오르가슴”이라고 결론짓는다. 오르가슴(orgasm)이라는 단어는 부풀어오른다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오르개인(orgaein)에서 비롯되었다. 성적 흥분이 고조되어 뭔가 터질 듯이 부풀어오르는 느낌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사전은 오르가슴을 ‘지극히 편안한 이완감을 동반하는 성욕의 절정상태’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오르가슴은 성행위를 통해 추구하는 희열의 최고 절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오랫동안 공공장소에서는 침묵의 외투로 덮어야 할 절대적 금기의 상징이기도 했다. 성과학자 마스터 존슨이 ‘인간의 성반응’이라는 연구에서 성행위 과정에서 인간의 신체가 어떻게 대단원에 이르는지를 최초로 밝혀낸 것은 40년 전. 이후 오르가슴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내고자 진화생물학·뇌과학·동물학·인류학·심리학·내분비학·약학을 비롯한 각 분야의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이 책은 바로 각기 다른 분야에서 이루어진 오르가슴에 관한 연구 결과를 한데 모아보고 싶은 야심찬 소망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은이는 밝힌다. 그럼에도 이 책은 논지를 분명하게 드러내겠다는 의도 때문인지 프롤로그인 ‘생명의 승리, 오르가슴’부터 ‘육욕의 미래’라고 이름 붙인 에필로그까지 학구적이라기보다는 솔직하다. 군데군데 들어간 삽화도 오르가슴의 실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지은이는 성적 쾌락과 오르가슴이 문화와 기술 분야 발전을 위한 로켓 엔진과 같다면, 충동을 억압하는 행위는 중세시대로 후퇴하려는 짓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섹스에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문화환경 속에서는 삶의 기쁨을 누리기 어렵고, 나아가 지성의 발전도 저해된다는 것이다.1만 6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퀄컴이야기/박정태 옮김

    퀄컴(Qualcomm)은 낯설지 않지만, 막상 어떤 기업이냐고 물으면 대답은 궁색해진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가 국내에서도 위인전에 오르고 있는 마당에 쌍벽을 이루는 퀄컴의 창업자가 누구인지를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퀄컴이 우리나라 휴대전화에 쓰여지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의 원천기술을 갖고 있어서 거액의 로열티를 챙겨가는 ‘얄미운 기업’이라는 사실 정도는 알려져 있다. ●한국서 CDMA 로열티 연 1조원 이상 챙겨 퀄컴의 발전에는 한국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퀄컴이 미국에서조차 CDMA를 표준화하는 데 실패하여 맞은 도산 위기를 한국시장이 구해냈기 때문이다. 한국은 1992년 이동통신 표준기술을 CDMA 방식으로 표준화하겠다고 결정했고, 1996년 SK텔레콤(SKT)이 세계 최초로 CDMA 이동통신을 상용화했다. 이후 한국의 CDMA 기술은 최고 수준을 인정받아 경쟁국을 압도했고, 퀄컴은 한국시장의 성공을 발판으로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퀄컴이 로열티로 한국에서만 연간 1조원 이상을 챙겨간다는 사실은 곧 한국의 이동통신 기술이 퀄컴에 종속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퀄컴은 1985년 MIT 출신으로 NASA(미 항공우주국) 연구원과 UCSD(캘리포니아주립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 교수 출신의 어윈 제이콥스가 1968년 설립한 통신기술 컨설팅회사 링카비트 출신의 동료 6명과 1985년 창업한 무명의 벤처기업이었다. 이들이 불과 10년만에 전세계 휴대전화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기업으로,20년만에 연매출이 60억달러, 영업이익률이 60%가 넘는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한 비결은 무엇일까. 미국의 무선통신 엔지니어이자 컨설턴트인 데이브 목이 쓴 ‘퀄컴이야기’(박정태 옮김, 굿모닝북스 펴냄)는 퀄컴의 성공스토리가 우연이 아니라 땀과 열정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한다. 지은이가 진단한 퀄컴의 성공요인은 크게 세 가지.▲첨단 지식으로 무장한 전문가 집단이 ▲지적재산권 비즈니스라는 독특한 사업모델을 만들어냈으며 ▲기존 업계의 질서를 허물어뜨리는 와해성 혁신전략을 추진했다는 점이다. 제이콥스는 창업 당시를 두고 “우리가 그 때 마음 속에 그려둔 제품은 아무 것도 없었다.”고 회상한다. 하지만 퀄컴은 곧 세계 무선통신사업에서 비교의 대상을 찾을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친 기술을 상용화하는데, 그것이 바로 CDMA이다. CDMA는 퀄컴이 휴대전화 시장에 도입하기 이전에 이미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어 기밀에 부쳐졌던 개념이라고 한다. 퀄컴이 CDMA를 ‘발명’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퀄컴은 보도자료에도 CDMA 기술의 ‘개척’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퀄컴이 CDMA와 관련한 수천 건의 특허권을 갖고 있지만,‘CDMA 기술의 발명’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제시 지은이는 이것이 어쩌면 사소한 차이처럼 보이지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발명가가 엄청난 부를 함께 누리는 사례는 극히 드문데, 퀄컴처럼 진짜로 영리한 발명가는 자신의 발명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정확히 알고, 뭔가 획기적인 개념에 그것을 응용하여 큰 돈을 번다는 것이다. 이 책이 단순히 한 기업의 성장과정을 기록한 것이라면 그다지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퀄컴의 사례는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어떻게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지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한 이상철 광운대 총장도 추천사에서 퀄컴의 성공 방정식을 기술개발로 성장을 이끌어내야 하는 우리 기업에 교훈으로 삼을 것을 강력히 주문했다.1만 48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우암 송시열의 글씨 ‘刻苦’ 첫 선

    지금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는 ‘직필(直筆)’이라는 범상치 않은 제목을 가진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학자이자 정치가인 동춘당 송준길(1606∼1672)과 우암 송시열(1607∼1689)을 통하여 도학자(道學者)들에게 글씨란 무엇인가를 살펴보자는 취지이다. 두 사람은 같은 은진 송씨로 동춘당이 세상을 떠나자 우암이 ‘공과 나는 성도 같으니 다만 부모만 다를 뿐’이라고 추모했을 만큼 가까웠다. 노론을 이끌었던 두 사람을 두고 정치적으로는 공과를 따질 수도 있겠지만, 양송체(兩宋體)라고 일컬어졌던 이들의 글씨는 조선후기 진경문화의 토대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동춘당 고택에 있는 대전선비박물관이 소장한 동춘당의 ‘양기발처(陽氣發處)’ 8곡병풍과 ‘진로(振鷺)’ 8곡병풍, 우암의 안식처였던 화양을 이형부(1791∼?)가 그리고 발문을 쓴 ‘화양구곡도첩(華陽九曲圖帖)’ 등 처음 공개되는 희귀작품이 적지 않게 출품되어 있다. 하지만 전시장에서 관람객의 발걸음을 가장 오래 머물게 하는 작품은 역시 우암의 ‘刻苦(각고)’이다. 세로 164㎝에 가로 82㎝의 대작으로, 마른 붓의 거친 필획 속에서 도학자의 꼿꼿한 기개가 그대로 전해져 온다. ‘각고’는 우암의 제자인 유명뢰가 스승에게 청하여 받은 글이다. 유명뢰가 비단글씨폭의 오른쪽, 우암의 또 다른 제자인 권상하와 정호가 각각 오른쪽과 아래쪽에 발문을 남겼다. 특히 “학문을 다잡아 하지 않고 어정쩡하게 아까운 세월을 허송하는 것이 학자의 가장 큰 병통이니…‘각고’ 두 글자가 어찌 병통에 알맞은 좋은 처방이 아니겠는가.”라는 권상하의 발문은 그의 문집에 실려있어 일찍부터 후학들에게 가르침이 되어 왔다. 우암은 ‘주희가 아들을 공부시켜 타관으로 보낼 때는 근근(勤謹·부지런하고 삼감) 두 글자로 경계하였고, 임종시에는 주위사람들에게 견고각고(堅固刻苦·뜻을 굳게 갖고 열심히 노력함) 네 글자를 당부하였다. 이 여섯 글자야말로 후학들이 죽을 때까지 가슴에 새겨둘 일이 아니겠는가.’라는 글을 ‘송자대전(宋子大全)’에 남겼다. 우암은 주자가 당부한 여섯 글자를 가슴에 담고 있다가 다른 네 글자까지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가진 ‘각고’ 두 글자를 제자에게 써주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암이 쓴 ‘각고’의 존재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일반에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이 글씨는 우암을 추종한 대표적 노론의 한 사람인 민유중(1630∼1687)의 집안에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알려진다. 권상하는 발문을 ‘지금 붓을 잡고 제(題)하려고 하니 나도 모르게 부끄러워 흐르는 땀이 옷을 적신다. 그러나 지금부터라도 맹렬히 다스려서 힘껏 고쳐나간다면 또한 끝내 미혹하여 바른 길로 돌아오지 못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그러니 삼가 서로 이를 힘써야 할 것이다.’라고 마무리했다. 권상하는 발문을 쓰면서 ‘백발이 성성한 때에 이르렀다.’고 밝히고 있다.‘각고’하기에 그래도 늦지 않았다는 뜻이다. 전시장에서는 ‘각고’를 탁본으로 찍어보는 체험행사도 열린다.‘직필’전시회는 내년 2월24일까지. 월요일은 휴관. 일반 5000원, 학생 4000원.(02)580-1284.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창녕고분의 금귀고리 주인은 ‘젊은 여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동 가야 고분에서 발굴한 금귀고리 차림의 인골(서울신문 12월21일자 17면 보도)은 키 135㎝의 젊은 여성으로 밝혀졌다. 창녕 송현동 15호분은 도굴이 이루어져 유물 대부분은 사라졌지만, 주인공의 시신이나 관을 놓는 시상(屍床)과 순장자 4구의 시신 및 토기를 비롯한 관련 부장품이 남아있었다. 특히 석실 남쪽 벽에 가까운 곳에 놓였던 주인공은 머리를 남쪽, 다리는 북쪽에 둔 데 비하여 반대편에 있던 순장자의 시신은 한결같이 머리를 동쪽에 두고 있었다. 순장자의 시신은 도굴 과정에서 훼손되어 두개골과 발뼈만 남긴 채 몸통 부분은 남아있지 않았는데, 금귀고리는 석실 북쪽에 가장 가까이 있던 인골의 왼쪽 귀에서 발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서민석 박사는 15세 이후가 되면 닫히는 성장판이 닫혀 있었고, 치아상태와 골반뼈를 바탕으로 이 인골은 20∼30대 여성의 것이라고 26일 설명했다. 이 인골의 키는 135㎝로 머리나 발의 피부 등을 고려해도 137㎝가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됐다. 한반도에 살던 고대인들의 키가 현재보다는 작았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적지 않지만, 그래도 성인여성으로는 작은 편이다. 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발굴로 가야 시대 순장 풍습의 일단이 밝혀졌지만 방식의 전모를 파악하려면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0) 대한제국 자주의식 상징 환구단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0) 대한제국 자주의식 상징 환구단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천의례는 고조선 이래 이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접어들면 국가적 차원의 제천의례는 쉽지 않아 집니다. 천자(天子)만이 하늘과 직접 소통할 수 있다는 중국 중심의 세계관 때문이지요. 따라서 하늘에 제사 지내는 환구단(丘壇)을 건립한다는 것은 곧 중국과 동등한 나라임을 선포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있는 환구단은 1897년(고종 34년) 10월11일 완공되었습니다. 이튿날 고종은 이곳에서 대한제국의 출범을 하늘에 고하고 황제에 오르게 되지요. 대한제국이 중국, 나아가 호시탐탐 한반도를 노리던 열강과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음을 안팎에 천명하는 자리였습니다. 환구단은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늘에 제사 지내던 환구단은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황궁우(皇穹宇)만이 남아 있지요. 황궁우는 황천상제(皇天上帝)와 태조의 격을 황제로 높인 태조고황제 등 하늘신과 조상신을 모시고 있습니다. 환구단은 중국의 베이징을 찾은 사람이라면 한번쯤 방문했을 천단(天壇)이 모델이 되었을 것입니다. 명나라 영락제가 처음 세운 뒤 오늘날에는 천단공원(天壇公園)으로 알려진 천단 역시 환구단과 황궁우가 중심이지요. 서울의 황궁우는 팔각형의 3층집 모양이지만, 내부는 바닥부터 지붕까지 하나로 뚫려 있는 통층(通層)입니다. 천장에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데, 발톱이 7개인 7조룡(七爪龍)인 것은 역시 황제국을 상징합니다. 황궁우는 14칸이니 그다지 큰 규모라고는 할 수 없겠지요. 반면 원추형의 황금빛 지붕에 바닥이 3단으로 지어졌던 원구단은 아랫단이 144척(약 43.2m)이었다니 제법 볼 만한 규모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구단의 윗단은 하늘과 땅, 가운데는 일월성신, 아랫단은 산천 및 자연신을 위계에 맞게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대한제국의 칭제건원(稱帝建元)은 일본의 이해와 맞아떨어졌던 것도 사실이었습니다.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시모노세키조약(1895)이 맺어진 뒤 고종에게 황제국가를 선포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고 하지요. 그렇게 되면 중국이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음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조선의 자주권을 되찾으려는 노력은 일본이 요구하던 상징적인 수준을 넘어섰던 것이 분명합니다. 황제국 격상을 넘어서 환구단을 세우는 것까지 일본이 지지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승지를 지낸 이숙영의 상소문에도 자주국가에 대한 열망이 담겨 있습니다. 그는 ‘황제 즉위는 다른 나라들 때문이 아니라 국민이 원하기 때문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자주독립의 국가에 어울리는 칭호가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요. 환구단이 아니었다면 칭제건원 역시 일본의 꼭두각시 놀음으로 폄하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오늘날 환구단이 마치 조선호텔의 정원처럼 고립되어 있는 것도 당시 일본의 불쾌감과 관련이 없지 않을 것 같습니다. 대한제국을 병합한 일제가 1913년 황궁우만 남겨놓고 환구단 건물을 철거한 자리에 조선호텔의 전신인 철도호텔을 지은 이후 앞뒤로 온통 호텔촌(村)이 되고 말았으니까요. 환구단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이르는 격변기에 불과 15년 남짓 존속했고, 실제로 제사터로 기능을 유지한 것은 그보다도 훨씬 짧았던 비운의 문화유산입니다. 하지만 민족자존을 강조하는 시대에도 민족자존의 상징인 환구단은 너무도 관심권에서 멀어져 있었던 듯 합니다. dcsuh@seoul.co.kr
  • ‘인간 채플린’ 그를 말한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반 고흐 미술관에는 도록에서만 보아 오던 그의 대표작이 줄지어 걸려 있다. 하지만 뉴욕이나 파리, 도쿄에서 대규모 반 고흐 전시회가 열릴 때면 상황은 달라진다.‘해바라기’ 같은 대표작이 빠져 나간 전시실에는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그림이 대신 걸리기 마련인데, 그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전시가 이루어지곤 한다. ‘감자먹는 사람들’처럼 ‘민중미술가’에 가까웠던 네덜란드 시절의 그림부터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하기까지의 작품을 훑어보다 보면 그의 광기(狂氣)란 결코 천재성의 발로가 아니라, 평범한 인간이 현실에서 느끼는 지독한 괴리의 결과였음을 깨닫게 된다. 대표작이 줄지어 걸려 있을 때의 반 고흐 미술관보다 감동은 오히려 깊다. ‘찰리 채플린-나의 자서전’(이현 옮김, 김영사 펴냄)도 그렇다.‘황금광시대(Gold Rush)’와 ‘시티라이츠(City Lights)’,‘모던 타임스(Modern Times)’,‘위대한 독재자(The Great Dictator)’ 같은 걸작이 ‘해바라기’라면 채플린의 자서전은 ‘해바라기’를 낳을 수 있었던 그의 ‘감자먹는 사람들’시절의 이야기이다.‘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라는 통찰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찰리 채플린(1889∼1977)은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다재다능한 배우였지만 술 때문에 세상을 일찍 떴고, 채플린을 낳은 이듬해 아버지와 이혼한 어머니 또한 유능한 가수였지만 후두염을 앓으면서 목소리를 잃었다. 채플린이 다섯 살에 처음 무대에 섰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어머니는 당시 런던의 햄프셔주에 있는 육군훈련기지의 병영극장에 나가고 있었다. 노래를 부르던 어머니의 목소리가 갈라지자 극장안은 야유로 가득찼고 채플린은 감독의 손에 이끌려 무대로 나가 노래를 불렀다.‘잭이 옛 친구들을 대하는 것 좀 보세요. 정나미가 뚝 떨어져요.’라는 가사의 노래였는데 중간쯤 불렀을 때 동전이 빗발치듯 무대 위로 날아들었다. 이날의 무대는 채플린 인생의 첫번째 무대였지만 어머니에게는 마지막 무대였다. 이후 어머니와 형 시드니, 그리고 채플린은 런던의 한 빈민구호소에 들어간다. 출소 이후 채플린 처지는 누군가의 표현대로 궁지에 몰린 눈먼 쥐가 맞아 죽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았다고 한다. 신문팔이, 인쇄소 일, 장난감 만드는 일, 유리 부는 일, 병원 잡부, 장작 패는 일 등 온갖 일을 다했지만, 배우가 되겠다는 생각은 한시도 마음에서 떠난 적이 없었다. 지칠 줄 모르는 노력과 꺼지지 않는 열정의 배후에는 ‘머리를 숙이고 땅바닥만 쳐다 봐야 건질 것은 하나도 없다.’는 어머니의 인생관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채플린은 각본·감독·주연·음악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다재다능한 영화인으로 코미디에 머물지 않는 인간의 보편적 삶에 대한 진지한 접근, 산업화와 대공황의 시기에 인간성 상실을 가슴 아프게 생각한 휴머니스트로 우리에게 인상지워져 있다. 그가 “세상은 내게 최상의 것과 최악의 것을 동시에 선사했다.”고 술회한 것도 이처럼 극단의 인생을 살아 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플린이 반 고흐처럼 인생을 끝내지 않고 행복하게 노년을 보낼 수 있었던 것은, 말미에서 밝혔듯 “살아 오는 동안 좋지 않은 일도 많이 겪었지만, 나는 행운과 불운은 떠다니는 구름처럼 종잡을 수 없는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는 인생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유머는 우리가 살아 있다는 느낌을 고양하고, 우리가 제정신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유머 덕분에 우리는 인생의 부침을 견뎌낼 수 있는 것이다.”채플린이 말하는 ‘살아야 할 이유’이다.3만 2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9)햇골산 마애불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9)햇골산 마애불

    중원문화권은 충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북도 일대를 가리키지요. 한반도 중심부의 내륙인 이 지역은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고구려·신라·백제가 각축을 벌인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 중원문화권에는 당연히 삼국의 문화유산과 통일신라 이후의 문화유산이 두루 남아있는데, 그 ‘출신 국가’를 두고 논란이 빚어지기도 합니다.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에 있는 햇골산 마애불상군(群)이 대표적입니다. 햇골산이라는 이름은 동쪽에서 해가 환하게 비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하지요. 햇골산은 해발 80m의 야트막한 동산이지만 마애불은 가파른 절벽에 새겨져 있어 답사객을 위해 설치해놓은 철제사다리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오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마애불은 산 중턱의 동남향 바위에 새겨져 있지요. 불상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있는데, 오른쪽 사유상은 좌우에 협시보살을 두어 삼존상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그 왼쪽에는 세 보살이 나란히 서 있는데, 삼존불과 중첩되도록 새겨놓아 제법 원근감까지 살아나고 있지요. 이 불상군의 왼쪽에는 다시 큼직한 여래좌상과 이 여래에게 고개숙인 공양상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미술사학자들은 이 마애불이 고구려 양식으로 6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면 크게 무리는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6세기 중엽 고구려 제작설에서 7세기 중엽 신라제작설까지 다양한 학설을 제기하고 있기도 합니다. 6세기 중반설을 내놓은 쪽에서는 이 마애불이 북위(386∼534)의 전통을 이어받은 고구려 초기양식을 보여준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사유상을 보면, 백제의 서산 마애삼존불이나 신라의 경주 단석산 마애불군의 사유상에서 느껴지는 아이 같은 모습이나 둥근맛이 없는 만큼 마애사유상으로는 삼국을 통틀어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이지요. 반면 7세기 중엽설을 주장하는 쪽은 백제에는 태안과 서산에 마애삼존불이 있으나 고구려 것으로 확정된 마애불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고구려에는 마애불 전통이 없었다는 논리를 폅니다. 따라서 햇골산 마애불은 신라가 삼국통일을 앞두고 중원지역을 포섭하는 차원에서 조성했다는 것이지요. 문제는 600년 안팎을 주장하는 쪽입니다. 고구려는 장수왕(재위 413∼491) 시절 이 지역을 세력권에 두었습니다. 햇골산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중원고구려비의 존재도 이런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지요. 광개토대왕비와 닮은 중원비에는 고구려왕이 남하하여 신라왕과 그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했다는 내용도 들어있습니다. 절치부심하던 신라는 거칠부가 551년 이 지역을 다시 빼앗으면서 556년에는 국원소경(國原小京)을 설치했습니다. 햇골산 마애불을 6세기 후반 이후 것으로 본다면 조성 주체가 고구려라고 주장하기는 어려운 일이지요. ‘고구려 사람이 신라 땅에 와서 조각한 것’이라는 연구가 나온 것은 이런 고심의 결과였을 것입니다. 이 연구는 고구려의 혜량법사가 551년 신라에 망명할 때 따랐던 무리의 누군가가 마애불을 새겼을 것이라는 구체적인 추정까지 이어졌지요. 혜량법사는 신라의 국통(國統)이 되어 황룡사 주지에 오른 인물입니다. 보물 제1401호로 지정된 햇골산 마애불은 우리 고대사에 있어 미술뿐만 아니라 사상·문화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햇골산을 찾는 사람들에게 삼국의 각축이 치열했던 중원지역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훌륭한 역사 선생님의 구실까지 해주고 있습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태안 앞바다 검은 재앙] 신두리 사구에 차단막 설치

    문화재청은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일어난 원유 유출 사고에 따라 천연기념물 431호인 태안 신두리 해안 사구(沙丘·모래언덕)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작업을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오염된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서 그물막 형태의 차단막 1387m를 이번 주 안에 모두 설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문화유산 현장 40년 지킨 ‘광화문 돌부처’

    문화유산 현장 40년 지킨 ‘광화문 돌부처’

    “그는 우리나라 문화저널리즘의 큰 보루로 항상 미소짓고, 화를 내어도 웃는 모습의 ‘광화문 돌부처’다.” 서울신문 대기자를 지낸 황규호(70) ‘한국의 고고학’ 상임편집위원의 고희를 기념하는 문집 ‘광화문에서 문화유산을 생각하며’(문화유산 도반 펴냄)의 봉정식이 17일 서울 종로의 한 음식점에서 열렸다. 문집 발간을 주도한 배기동(한양대 교수) 한국박물관협회장은 “고향집 큰형과 같은 그를 ‘광화문 돌부처’라고 부르고 싶다.”면서 “그의 문화철학이 우리 같은 문화학자들이 사회에 기여하는 촉매제가 되어 문화부국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날 봉정식은 문화유산에 생애를 바친 언론인을 기억하고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고학자들이 뜻을 모은 뒤 유례 없이 ‘고희연 추진위원회’를 구성, 문집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벌써부터 화제를 모았다. 이 자리에는 추진위원회에 참여한 고고학자는 물론 문화유산전문가와 후배 언론인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1968년 서울신문에 입사한 뒤 현재까지 40년 동안 문화유산 현장을 지키고 있는 노 언론인의 투혼을 기렸다. 임효재(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선사고고학회장은 축사에서 “학계에서는 그를 아무리 어려운 논문도 쉽게 풀어놓는 ‘미다스의 손’처럼 여겼다.”면서 “그의 명쾌한 글솜씨는 서울신문에 연재한 ‘한국인의 얼굴’이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다섯 꼭지나 실린 데서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융조(한국전통문화학교 초빙교수) 한국선사문화연구원장과 지명 각연사 주지, 박영수 청주문화원장, 우영 중원문화재연구원 이사장, 최병식 주류성 대표, 이용원 서울신문 수석논설위원 등도 주인공과의 인연을 돌아보면서 문화유산에 대한 열정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이어질 수 있게 되기를 기원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교토에서 본 한일통사(韓日通史) /정재영 지음

    하타(秦)씨는 가야계 신라 도래인 집단으로, 야마토노 아야(東漢)씨와 더불어 도래계 씨족의 최대세력이었다. 하타씨가 사가노(嵯峨野)지역에 정착한 것은 5세기 후반 무렵이었다. 하타씨는 토목기술이 뛰어나 오늘날 교토(京都)의 중심부인 헤이안쿄(平安京)를 축조했다. 교토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622년 창건된 고류지(廣隆寺)는 하타씨의 원찰이기도 했다. 고류지라는 절 이름도 창건자의 하타노 가와카쓰(秦河勝)의 실제 이름인 고류(廣隆)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이 도시는 교토~쓰시마~부산 왜관~서울~북경으로 이어지는 ‘은의 길(실버로드)’의 출발점이기도 했다. 일본의 은화인 경장정은(慶長丁銀)은 조선을 비롯한 대외무역에서 지불수단으로 쓰였는데, 특히 17세기 말에는 왜관에서 조선상인과 거래하는 은화가 나가사키에서 중국상인과 거래하는 양의 7배가 넘었다.‘은의 길’은 중국의 생사나 견직물을 수입하는 통로가 되기도 했는데, 교토는 결국 ‘은의 길’의 출발점이자 비단길(실크로드)의 종착점이기도 했다는 것이다. ‘교토에서 본 한일통사(韓日通史)’(정재영 지음, 효형출판 펴냄)는 두 가지 사례에서 보듯 한반도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교토라는 창으로 한·일관계의 역사를 펼쳐놓은 역저이다.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인 지은이는 지난 10년 동안 한국인 및 일본인과 일본을 돌아보는 역사기행을 이끌었고, 한국에 사는 일본인들에게 일본어로 두 나라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지은이는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와 나라는 개인과 개인의 경우와는 달라서 아무리 사이가 나쁘더라도 짐을 싸들고 이사갈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그것이 운명이라면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며, 함께 생존하고 번영하는 미래를 만들어가야 하며, 그것이 이 책을 쓰게 된 이유라는 것이다. 지은이는 1995년에는 일본에서 ‘여행가이드가 없는 아시아를 걷다. 한국 서울, 강화도, 제암리, 독립기념관’을 펴내기도 했다.‘한일통사’가 한국인들의 한·일관계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면 ‘여행가이드’는 일본인들에게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교토는 흔히 천년고도(千年古都)라고 불린다.794년 간무덴노(桓武天皇)가 수도로 정한 뒤 메이지덴노(明治天皇)가 1869년 도쿄로 옮겨갈 때까지 수도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역사문화도시로 존재했다. 지은이는 9개의 키워드를 제시하며 한·일관계에서 교토의 역사를 해부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창신교토(創新京都)이다. 이 도시가 고색창연한 역사도시가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첨단을 지향하며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교토는 조선을 빈사상태로 몰아넣은 침략의 장본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의 똬리를 틀고 있던 왜란참화(倭亂慘禍)와 대한제국을 폐멸시킨 병탄애련(倂呑哀憐)의 본거지였다. 그런가 하면 교토는 식민지시대 많은 한국인이 유학생이나 노동자로 건너가 짙은 체취를 남긴 고투모색(苦鬪摸索)의 현장이자, 일본제국의 패전 이후 한국인과 일본인이 갈등하고 대립하면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해하고 연대하는 움직임도 나타난 상생공영(相生共榮)의 터전이라고 강조한다. 지은이는 “이 책을 읽다 보면 한국과 일본은 예부터 넓고 깊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금까지 함께 살아왔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엄숙한 운명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교토를 여행하는 한국인과 일본인들에게 한·일관계의 역사를 깊이 성찰하고 공존번영의 역사인식을 모색하는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 중국문명대시야/베이징대학 중국전통문화중심 엮음

    베이징대학의 국가연구기관인 중국전통문화연구중심은 1994년 중국 문명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필진은 문학, 역사, 철학, 고학, 종교, 예술, 지리, 민속, 과학기술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석학 112명이다. 우안싱페이 베이징대학 국학연구원장을 책임편집자로 철학과, 중문과, 역사학과, 고고문화인류학과, 도시환경학과, 신문방송학과 등의 교수가 망라됐다. 중국 국영 CCTV는 이 원고를 바탕으로 1995년 150부작의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하여 방영했다.1997년 중국21세기출판사는 이 원고를 일반 독자를 위한 역사문화서로 펴내자는 제안을 했고,2000여장의 도판을 추가하는 작업을 거쳐 5년 뒤인 2002년 모두 8권으로 중국역사의 지상(紙上)박물관이 세상에 나왔다. ‘중국문명대시야’(베이징대학 중국전통문화중심 엮음, 장연·김호림 옮김, 김영사 펴냄)는 이렇게 나온 ‘중화문명대시야(中華文明大視野)’를 우리말로 번역한 뒤 두 권 분량을 한 권으로 묶어 4권으로 출간한 것이다. 중국 역사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편년체로 서술한 이 책은 ‘용과 중국민족’에서 시작하여 ‘쑨원(孫文)’과 ‘5·4운동’으로 끝난다. 이 책을 살펴보노라면 우리 문화가 중국의 역사와 얼마나 철저하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실감할 수 있다.‘갑골문’과 ‘주역’,‘시경’,‘제자와 백가쟁명’, 노자’,‘공자’,‘손자병법’,‘묵자’,‘장자’,‘맹자’,‘한비자’ 같은 제1부의 작은 제목에서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이빙과 두장엔’ 정도에 불과할 지경이다. 진나라 사람인 이빙(李氷)은 서기전 2509년 무렵 촉나라의 군수로 부임해 쓰촨성 청두평원의 서쪽 민장(岷江)중류에 고대 수리공사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두장옌(都江堰)을 건설한 것으로 중국에서는 유명하다고 한다. 제2부에 나오는 ‘열두띠 이야기’나 ‘청명과 한식’,‘설날 풍속’에서는 세시명절의 기원과 그것이 우리에게 들어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피게 해준다. 예를 들어 설날을 중국에서는 춘절(春節)이라고 하는데, 음력으로 새해 첫날을 새해 첫날로 정한 사람은 한나라 무제였다. 사마천이 참여해서 제정한 태초력(太初曆)을 받아들여 반포한 것이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이라는 것이다. 각권 3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