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이명혜 지음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중국지사 이사였던 존 우드는 엄청난 업무에 짓눌려있었다. 그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휴가를 받아 히말라야가 있는 네팔로 트레킹을 떠났다. 그는 그곳에서 학교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그나마 사정이 조금 나은 편이라는데도 그 학교의 모습은 충격적이었다.
●잘 나가던 직장 던지고 과감한 도전
교실 바닥은 그대로 흙이었고, 책상도 모자라 아이들은 무릎에 책을 올려놓고 공부하고 있었다. 도서관은 더욱 가관이었다. 책은 캐비닛에 잠가 보관하고 있었으나, 그것도 외국 등산객이 버린 것 같은 성인소설이 대부분이었다. 선생님들은 “책 좀 가져다 주세요.”라고 간곡히 부탁했다.
우드는 휴가에서 돌아오자마자 이메일로 친구들에게 이같은 사연을 알렸다. 결과는 놀라웠다. 그는 차고를 가득채운 3000권 남짓한 책을 가지고 이듬해 네팔을 찾았다. 그는 두 번째 히말라야 여행에서 자신의 인생을 어디에 걸어야 할지를 고민하게 된다.
바닥으로 떨어질 은행잔고, 스톡옵션과 회사가 제공하는 고급주택을 포기할 수 있을까 번민하던 그는 “일회용 반창고를 제거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지. 천천히 고통스럽게, 또는 빠르고 고통스럽게. 너의 선택이야.”라는 친구의 조언을 듣고 결단을 내린다.2000년 마이크로소프트를 사직하고 비정부기구(NGO)인 ‘룸투리드(Room To Read)’를 설립한 것이다.
존 우드의 ‘히말라야 도서관’(이명혜 지음, 세종서적 펴냄)은 바로 룸투리드가 어떻게 개발도상국에 학교와 도서관을 지었는지를 보여준다. 네팔에서 시작된 룸투리드의 활동은 곧 인도와 베트남으로 이어졌고, 현재까지 라오스, 스리랑카, 아프리카에 이르는 많은 나라에서 학교 200곳, 도서관 3000곳을 짓고 책 150만권을 기증했다.
이 책의 원제목은 ‘세계를 변화시키려 마이크로소프트를 떠나다.’쯤으로 번역할 수 있을 ‘Leaving Microsoft to Change the World’. 룸투리드가 ‘자선사업계의 마이크로소프트’라는 별명을 얻은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얻은 경영방식과 인적 네트워크를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우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전 직원과 델 컴퓨터의 창업자인 마이클 델, 골드만삭스,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투자가 돈 리스트윈, 심지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최대 경쟁자인 넷스케이프의 마크 앤드리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과 개인은 룸투리드의 후원자로 만들었다.
●자선사업에도 철저한 경영원리 도입
그는 마이크로소프트 시절 상사였던 스티브 볼머의 경영방식을 룸투리드에 적극적으로 녹여내고자 했다.‘결과에 집중하고, 토론을 권장하고, 숫자에 강하고, 서로에게 충성하는’ 이른바 볼머주의 경영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도서관과 학교를 지으며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요구하는 것도 룸투리드 사업의 특징이다. 자선단체가 마을에 들이닥쳐 시설을 지어주고는 방치하고 떠나는 식으로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룸투리드가 도서관 건축에 필요한 자금을 대면 지역사회는 노동력과 땅을 내도록 한다. 도서관이 문을 연 3년 뒤에는 지역사회가 도서관 운영기금을 스스로 마련할 수 있도록 자립기반을 만들어주는 데 힘을 기울인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서관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드는 한국판의 서문에서도 “많은 한국계 기업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자선사업을 펼치며, 소비자들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알고 있다.”면서 “세계적인 한국계 기업들이 언젠가 룸푸리드의 주요 후원자로 등장하는 날을 기대해 본다.”고 자선사업에 경영원리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인물로서의 자질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1만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