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33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3] ‘카프’ 김복진의 20세기 불상 조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3] ‘카프’ 김복진의 20세기 불상 조각

     카프(KAPF)라는 영문 약칭이 더 익숙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지도자였던 정관 김복진(1901~1940)은 현대적 개념의 조각가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물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한때 불문(佛門)에 귀의하기도 했다는 그는 불모(佛母)로도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반면 서양미술에 바탕을 둔 조각 작품은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다. 50점 남짓한 작품 가운데 동상은 제2차 세계대전 막판 일제의 쇠붙이 공출로 사라졌고, 목조와 소조의 유작도 동생인 팔봉 김기진의 인쇄소 창고에서 6.25전쟁 때 소실됐다고 한다.  불상으로는 충북 보은 법주사의 미륵대불이 그의 작품이었다. 미륵대불은 김복진이 머리 부분을 완성하고 전체 비례를 잡아놓은 상태에서 자금난으로 중단됐다고 한다. 미완성으로 남아있던 미륵대불은 1963년에야 완성됐다. 미륵대불은 흔한 시멘트 조각이라는 이유로 높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지만, 김복진으로서는 오히려 시멘트라는 새로운 재료를 거대 불상 조성에 이용하는 실험이었다. 미륵대불은 1990년 금동상으로 다시 만들어졌다. 두 차례 다른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도 김복진의 체취는 여전히 남아있다.  전북 김제 금산사 미륵전의 본존불도 김복진의 작품이다. 미륵전은 내부가 아래위로 뚫려있는 3층으로 본존불은 높이가 38척이니 12m가 넘는다. 삼존불은 미륵전을 중창한 인조 13년(1635) 조성한 것이다. 서양조각의 재료인 석고로 금산사 미륵본존불은 조성한 것은 특기할 만 하다. 그런데 삼존불 가운데 좌우 협시보살은 제외하고 본존불만 조성했다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그래선지 그가 본존불을 조성했다는 사실조차 한동안은 묻혀있다시피했다. 미륵전에는 본존불만 조성한 이유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있다.  미륵전 본존불은 특이하게 커다란 무쇠솥 위에 봉안되어 있다. 참배객들은 삼존불에 배례하고는 무쇠솥과 본존불의 대좌 사이 공간에 시줏돈을 넣고는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1934년 3월 9일 저녁 시줏돈을 거두어 가는 소임을 맡은 동자승이 촛불을 잘못 다루는 바람에 솥 내부에서 불이 났다고 한다. 불길은 곧바로 소조상 내부 목재에 옮겨 붙었고 본존볼은 무너지고 말았다는 것이다.  금산사는 미륵본존의 복원불사를 추진했다. 공모에는 김복진과 보응 문성, 금용 일섭, 이석성 등이 응모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당대를 대표하는 화승들인 보응, 금용, 이석성은 서울 안양암의 천오백불상도 함께 조성한 적이 있다. 금산사 미륵불 역시 세 사람이 공동 응모했을 가능성이 큰 것 같다. 이당 김은호 화백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것도 눈길을 끈다. 김복진에게 금산사 미륵불 복원에 응모를 권유한 것도 이당이었다고 한다.  김복진은 도쿄미술대학에서 공부한 뒤 1923년 신극운동 단체인 ‘토월회’를 조직한다. 1924년에는 일본 제국미술원전람회, 1925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각각 나체 조각 작품으로 입선한다. 이듬해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나체상 ‘여인’이 특선에 올랐다. 하지만 김복진은 카프의 실질적인 지도자였던데다 조선공산당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1928년 치안유지법 위반혐의로 일본경찰에 붙잡혀 6년 가까이 감옥살이를 하게 된다.  김기진은 감옥살이 당시의 형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억한다. 참담한 감옥살이 중에도 김복진은 먹지 않고 남긴 밥을 주물러 점토처럼 만들고는 인물상과 불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솜씨에 놀란 간수들이 김복진을 목공소로 보내 작은 목조불상을 깎게 해서 감옥소 직매장에서 팔게했다는 것이다. 김복진이 불교조각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진 것은 이 기간이었던 것 같다. 금산사 미존불 조상에 나선 것은 풀려난 직후가 된다.  김복진의 불상 작품으로 남아있는 것은 10점 남짓이다. 금산사 미륵불과 그의 흔적이 여전한 법주사 미륵대불, 서울 영도사 석가모니불입상, 충남 예산 정혜사 관음보살좌상, 충남 공주 계룡산 소림원 미륵입상 등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소림원 불상이다. 석고로 만든 높이 117cm의 소림원 미륵입상은 금산사 미륵불을 조성하기 위한 축소모형이라고 한다. 다만 머리 부분의 비례가 소림원 쪽보다 금산사 쪽이 조금 더 커보이는 것은 높이 올려다 보아야 하는 대형 불상인 만큼 의도적인 조정이라는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2] ‘품격있는 섹시함’ 조선백자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2] ‘품격있는 섹시함’ 조선백자

     고려를 무너뜨리고 일어선 조선의 지배층에게 화려한 고려청자는 과거의 소수 귀족이 자행한 부패의 증거로 낙인찍기 좋았을 것이다. 조선 왕실과 사대부가 앞장서 장려한 백자에는 구시대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백성들에 대한 정치적 약속이 담겨 있었다.  장식을 배제하고 절제와 품격을 드러내는 조선백자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상징하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이렇듯 국가 이념을 형상화한 것이 백자라지만 조선 중·후기가 되면 서민적인 생명력이 다양하게 투영되는 모습을 보인다.  때로는 소탈하고 재미있다는 것이 조선 후기 백자가 가진 특징의 하나라고 한다. 그런데 기름받이는 그런 단계를 훨씬 뛰어넘어 매우 섹시하다. 여성의 신체곡선과 가장 닮았다는 고려청자 매병(梅甁)의 풍만한 어깨선조차 상징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기름받이는 건강한 젊은 여인의 가슴을 놀랍도록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기름받이란 글자그대로 등잔 아래 걸어 심지에서 떨어지는 기름 찌꺼기를 받는 데 쓴 그릇이다. 노끈을 달아 등잔대에 매달 수 있도록 앙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구멍을 뚫었다. 쇠뿔을 자른 뒤 속을 파낸 기름받이도 썼지만 기름 얼룩이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데다, 지방에도 자기가마가 늘어나면서 백자로 만든 것이 유행했다. 끝이 뽀족해 뒤집어 구울 수 밖에 없는 만큼 입 부분에는 모래받침 흔적이 남아있기 마련이다.  백자 기름받이는 침을 뱉는 그릇과 비슷한 모양의 타구형(唾具形)도 있었지만, 유방형(乳房形)이 널리 쓰였다. 가슴 모양의 기름받이는 등잔대에 제대로 걸어 두었을 때는 그저 특정한 용도를 가진 그릇일 뿐이다. 뒤집어 보아야 비로소 그 사실성이 제대로 드러난다는데 묘미가 있다, 점잖은 선비의 사랑방이나, 마당 깊은 안채에서도 자연스러운 인간미를 잃지 말라는 도공의 재치있고도 속깊은 충고는 아닌지 모르겠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겸재 정선 미술관에서 열리는 김시습 테마전

    겸재 정선 미술관에서 열리는 김시습 테마전

    ‘매월당 김시습, 겸재 정선을 만나다’ 전시회가 30일까지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겸재정선미술관에서 열린다. 매월당김시습기념사업회(회장 소종섭)가 마련한 이번 전시회는 김시습 선생 탄생 580주년과 기념사업회 창립 4주년을 기념한다. 절의의 상징으로 역사 속에 상징화 된 김시습 선생은 1435년 태어났다. ‘금오신화’(金鰲新話)의 지은이이기도 한 선생은 사상가, 철학가, 종교인, 문학가, 여행가 등 어느 하나로 규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실로 다양한 면모를 남겼다. 유교에 바탕을 두었으면서도 불교에 정통했다. 조선 초기에 그만큼 수준 높은 불교 관련 저술을 남긴 이도 없다. ‘설잠’이라는 법명으로 승속을 넘나든 선생은 1493년 부여 무량사에서 승려로 생을 마쳤다. 그는 전국을 유람하면서 수많은 시를 썼는데 전하는 것만 2200수가 넘는다. 이번 전시회에는 역사화가로 널리 알려진 서용선 전 서울대 미대 교수의 회화 20여 점과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강선구 작가의 서예 6점, 김내혜 선생으로부터 전각을 사사한 심산 작가의 전각 20여 점 등 50점 남짓한 작품이 전시된다. 장르는 다르지만 모든 작품은 김시습을 그렸거나 김시습이 쓴 시를 작품화한 것이다. 이밖에 기념사업회 회원들이 김시습 선생의 흔적을 찾아 답사하면서 찍은 사진도 볼 수 있다. 소종섭 매월당김시습기념사업회장은 “조선 초기 국토를 기행하면서 백성의 고통과 함께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과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글로 남겼던 김시습의 정신은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와도 맥이 닿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서동철 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칼럼] 한국사 국정 교과서 혼란 학계가 수습하라

    [서동철 칼럼] 한국사 국정 교과서 혼란 학계가 수습하라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느낌이다. 교육부는 중·고교 교과서의 발행 체제를 다음달 결정할 예정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중·고교 교과서의 발행 체제’라는 포괄적인 표현을 쓰기는 했지만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결정 내용의 핵심일 것으로 짐작한다. 반면 역사학계를 필두로 학계와 시민단체는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성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렇게 가다가는 온 국민이 찬성파와 반대파로 갈려 싸우는 ‘역사 전쟁’이 불가피할 것이다. 그런데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하는 정부·여당에도 강력한 의지를 가진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사실 국정화를 반대하는 세력이 주장하는 ‘획일적 역사인식의 폐해’는 불과 얼마 전까지 보수사관 한국사 교과서의 채택을 옹호하던 정부·여당이 내세우던 논리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여론조사에서 부정적인 기류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강행하는 것은 당장 내년에 총선을 치러야 하는 여당으로서는 결코 흔쾌할 수 없는 일이다. 청와대라고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논리가 궁색하다는 것을 모를 리 없다. 그럼에도 강도 높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것을 심정적으로는 이해하지 못할 바도 아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진보적 시각을 담은 한국사 교과서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2013년 보수 사관의 교과서가 출판된 것도 ‘역사인식의 다양화’를 위한 정책의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보수 시각 교과서는 정식으로 채택한 고등학교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질 만큼 처절하게 실패했다. 최근 학계의 성명에는 “교학사 교과서를 지지했던 정치 세력에 의해 국정화가 공론화된 게 문제”라는 대목도 보인다. 그러나 교학사 교과서는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물론 대표성도 찾을 길 없는 정치 편향적 필진이 부실한 교과서를 만들어 보수 시각을 대표하는 양 과장한 데 불과하다. 당시 무능을 보여준 사람들은 오히려 이후의 논의에서는 철저하게 배제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런 지경이었으니 청와대는 보수 교과서 도입이 실패한 데 따른 마지막 선택으로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논리의 허점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학계에도 있다. 그동안 잇따른 학계의 반대 성명은 시각과 강도에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내용은 엇비슷하다. 당연한 일이지만, 역사인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대목을 빼놓은 성명은 없다고 해도 좋다. 그제 연세대 교수들도 성명에서 “미래 세대 청소년에게 획일적 역사관을 강요하는 것은 헌법에 명기된 교육의 중립성과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했다. 지난주 부산대 역사 교수들도 “단일 교과서로 가르치겠다는 발상은 획일적 역사인식을 강요하는 정신적 폭력이자 심각한 역사적 퇴행”이라고 했다. 옳은 얘기다.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에는 당연히 반대한다. 한국사 국정 교과서에 나와 다른 시각 일변도의 내용이 담긴다면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가 분명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지지하는 교과서만 인정하고, 다른 시각의 교과서는 어림도 없다는 인식 또한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는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불행히 보수와 중도를 포함해 다양한 시각을 가진 한국사 교과서의 존재를 인정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국민을 설득하는 내용은 어떤 성명에서도 아직 보지 못했다. 이제 역사학계 원로와 중진들도 나설 때가 됐다. 정부·여당과 역사학계, 나아가 청와대와 역사학계의 ‘전쟁’을 중재할 수 있는 유일한 세력이 원로와 중진일 것이다. 이들이 학계 내부의 합의를 이끌어 생각이 다른 사람도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새로운 중도·보수 한국사 교과서를 집필하는 것이다. 이 교과서의 보급에 학계 전체가 협력까지는 아니더라도 방해하지 않는 것도 중재안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당연히 정부·여당 및 청와대와는 새로운 교과서가 보급되는 동안 국정 교과서 추진 계획을 중단하도록 합의해야 한다. 한국사 교육에서 비롯된 문제가 더 큰 사회 갈등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역사학계의 현명한 대처를 기대한다.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1] 주꾸미 낚싯배 분주한 충청수군의 본거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1] 주꾸미 낚싯배 분주한 충청수군의 본거지

     충청수영이란 충청도수군절도사영(忠淸道水軍節度使營)의 줄임말이다. 충청도 수군을 지휘하던 절도사가 머물던 본영이라는 뜻이다. 충청수군의 관할해역은 아산만에서 금강 하구의 장항만에 이른디. 해안선의 길이는 992.8㎞에 이르고 점점이 이어진 섬은 250개나 된다. 충청수영은 관할 수역의 중간 지점인 지금의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일대에 있었다. 충청수군의 군항(軍港)이었던 오천항은 지금 가을 주꾸미철을 맞아 낚싯배의 입출항으로 분주하다.  충청수역은 고려시대 이후 호남평야를 비롯한 남부 평야지대에서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개성이나 한양으로 운반하는 조운선이 지나는 길목이었다. 당시 왜구가 해안은 물론 내륙까지 침범했던 것도 쌀을 비롯한 양곡 탈취가 가장 큰 목적이었던 만큼 수군의 역할은 중요했다. 조선이 고려 군제(軍制)를 발전시켜 오천에 충청수영을 설치한 것은 세종 29년(1447)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조선 초기 충청수영의 군선은 142척, 병력은 8414명에 이른다. 임진왜란 때인 선조 29년(1596)에는 충청수사 최호가 이끄는 충청수군이 남해 한산도에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지휘를 받다가 이듬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하기도 했다. 당시 충청수영은 해전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울창한 안면도의 소나무를 벌채해 삼도수군의 군선(軍船)을 건조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도 알려진다. 충청수영은 고종 33년(1896) 폐영(廢營)됐다.  충청수영성은 충남 해안과 안면도·원산도로 둘러싸인 천수만에서도 좁은 내만(內灣)에 깊숙이 들어앉아 있다. 앞바다의 수심이 깊은 데다 서해안의 다른 포구와는 달리 심한 조수간만의 차이에도 배가 드나드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 주변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뒷동산의 자연지형을 최대한 살려 지금 보아도 천혜의 요새다. 석성(石城)인 충청수영성은 수군절도사 이장생이 둘레 3174척, 높이 11척 규모로 중종 4년(1509)부터 16년 동안에 걸쳐 쌓았다.  충청수영은 봉수를 이용해 먼바다를 포함한 관할 수역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파악했다. 어청도 봉수에서 외연도, 녹도, 원산도를 거쳐 충청수영성 남쪽 1.2㎞ 지점에 있는 망해정 봉수로 이어지는 정보 전달 시스템이다. 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관할수역의 지형적 특징을 감안해 충청수영이 자체적으로 운영한 이른바 권설봉수(權設烽燧)는 다른 수영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왜구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충청수영이지만 병자호란 이후 수도권 방어가 가장 중요한 군사적 목표로 떠오르면서 본영의 이전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수영성의 위치가 왜구를 방어하고 조운선의 안전한 운항을 도모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청나라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비상사태 발생의 경우 왕실과 조정의 피난처인 강화도 일대를 보호하는 데는 적절치 않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정조 3년(1779)부터 충청수사의 지휘소인 행영(行營)을 태안반도 서쪽 끝인 안흥으로 옮겨 10년 남짓 운영하기도 했다.  충청수영성의 현재 모습에서 전성기의 위용을 찾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천수만과 어우러지는 뛰어난 경관으로 시인·묵객의 발걸음이 잦았던 누각 영보정(永保亭)의 복원이 최근 시작됐고, 성벽을 되살리기 위한 발굴조사도 곧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충청수영의 형장인 서문 밖 갈마진두(渴馬津頭)는 병인박해 때 천주교 신부 다섯 명이 순교한 현장이기도 하다. 차근차근 제모습 찾기에 노력한다면 지역 최고의 역사관광 자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0] 몽고군 침입에 파묻은 불상 25구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0] 몽고군 침입에 파묻은 불상 25구

     숙수사는 소수서원 자리에 있던 절이다. 지금도 경북 영주시 순흥면의 소수서원 뜰에는 높이 3.91m의 당당한 통일신라 양식 당간지주가 보인다. 이 정도 규모 있는 당간지주가 세워졌을 정도면 숙수사는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었을 것이다.  1953년 12월 소수서원 곁에서는 고등공민학교를 새로 짓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그런데 1m 지점에서 작은 불상이 한꺼번에 25구나 나왔다. 불상은 당간지주에서 북쪽으로 150m 떨어진 지점에서 나왔다. 초대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김재원 박사의 회고다.  당시 학교측은 학생을 동원해 불상들을 발굴했다고 한다. 당시 문화재 관리 주무부처였던 문교부는 국립중앙박물관에 현지조사와 동시에 유물을 인수하는 임무를 맡겼다. 이듬해 3월 김원룡 당시 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이 현장에 파견됐다.  국립대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숙수사 불상은 6세기 후반~8세기 것이다. 여래상, 보살상, 반가사유상, 탄생불, 신장(神將)상, 공양자상 등으로 다양하다. 작은 것이 6.5㎝, 큰 것이 17.5㎝로 한 손에 잡힌다. 지름 60㎝에 높이가 75㎝를 넘는 항아리에 한꺼번에 담겨 묻혔다. 불상을 땅속에 서둘러 파묻은 스님들의 긴박한 움직임이 눈에 선하다.  통일신라시대 이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대형 토기의 존재는 불상이 묻힌 시기를 짐작케 해준다. 당시 김원룡 연구관도 불상은 고의로 매몰한 것 같고, 따라서 스님들이 전란을 피하여 불상을 파묻고 사찰을 비운 것이 아니었겠느냐는 의견을 내놓았다.  소수서원은 풍기군수 주세붕(1495~1554)이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순흥 출신의 유학자 안향(1243~1306)을 모시는 사묘(祠廟)를 세우고 신비들이 공부하는 장소로 삼았다가 중종 38년(1543)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그런데 고려시대 문신 임경식(1099~1161)의 묘지(墓誌)에는 아직 숙수사가 건재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 나온다. 한편으로 주세붕의 문집에는 안향이 이곳에서 독서했기 때문에 사당을 짓고 서원을 창시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안향의 어린시절에는 숙수사가 건재했다는 뜻이다. 이렇게 보면 폐사는 13세기 중반 이후의 어느날로 보아야 한다.  김재원 박사는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과 연관지었다. 당시 대구 부인사 대장경과 경주 황룡사 9층탑에 불탔다. 특히 고종 41년(1254) 자랄타이가 대군을 이끌고 몰려왔을 때는 사로잡힌 사람이 20만명에 사망자는 헤아릴 수 없었다. 숙수사도 이 때 불타고, 스님들도 모두 죽거나 잡혀가 훗날 불상을 수습할 사람조차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길섶에서] 게국지/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안면도는 해산물과 농산물의 천국이지만, 또한 이 때문에 이른바 파인 다이닝(fine-dining)의 발전이 어렵다는 음식 전문가의 한탄을 들은 적이 있다. 신선하고 질 좋은 재료에 셰프의 창조 정신이 곁들여진 음식 문화, 혹은 이런 음식을 내는 레스토랑을 뜻하는 말이 파인다이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지역의 고품질 재료는 그다지 창조정신이 필요없는 기초적 조리법으로도 감동적인 맛을 선물하기 때문이란다. 요즘 같은 꽃게 철이나 찬바람이 불면 슬슬 시작되는 대하 철을 생각해 보면 그럴 만도 하다. 싱싱한 꽃게는 쪄먹는 것을 좋아한다. 대하 역시 천일염을 깔아 놓은 냄비에 뚜껑을 덮고 익혀내기만 하면 훌륭하다. 우럭젓국은 그래도 약간의 손질이 필요할 것이다. 얼마 전 안면도에 갔더니 게국지 바람이 불고 있었다. TV 오락 프로그램의 영향이라고 한다. 게를 배추와 발효시킨 게국지는 지역 전통음식이지만, 재미로 먹었지 맛으로 먹은 기억이 별로 없기는 하다. 안면도 게국지는 제철 꽃게를 푸짐하게 넣었으니 그런대로 맛있었지만 전통 게국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새로운 조리법이 조상들의 음식문화를 밀어낼 날이 머지않았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9] 도굴꾼에 남아나지 않는 묘지명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9] 도굴꾼에 남아나지 않는 묘지명

    조선시대 장례의식의 마지막 절차는 무덤 앞에 비석을 세우고 지석을 묻는 것이었다. 묘표(墓標)나 묘갈(墓碣), 신도비(神道碑)라고 하는 묘비에는 죽은 이에 관한 정보가 담기게 마련이다. 신도비는 일반적으로 묘표나 묘갈보다 죽은 이의 행적을 더욱 자세히 새겨 놓은 것을 일컫는다. 신도비는 글자 그대로 ‘귀신이 오가는 길에 세워진 묘비’라는 뜻이다. 죽은 이의 혼령이 비석이 세워지는 무덤 동남쪽으로 오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지석(誌石)은 별도로 만들어 봉분 앞에 묻는다. 죽은 이의 행적을 담는 것은 묘비와 다르지 않지만 무덤의 위치와 방향이 내용에 덧붙여진다. 조선시대 문집을 엮은 ‘대동야승’(大東野乘)은 ‘묘갈은 묘밖에 세우고, 지석은 묘 앞에 묻는 것인데, 이는 만일 세월이 오래되어 비갈이 없어지면 지석을 상고하여 누구의 묘인가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고 적었다. 죽은 이의 덕과 공을 후세에 전하고자 묘비나 지석에 적는 글이 묘지명(墓誌銘)이다. 죽은 이의 성씨와 벼슬·고향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지(誌)라 하고, 죽은 이를 칭송하는 문학적인 글을 명(銘)이라 했다지만 실제로는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요즘엔 지석이라는 표현과 묘지명이라는 표현도 굳이 구별해서 쓰지 않는 것 같다. 지석의 가장 이른 사례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안악3호분에서 보인다. 백제 무령왕릉의 주인을 알 수 있었던 것도 지석 때문이었다. 1971년 발굴 당시 널길 입구에서 2개의 장방형 판석을 발견했는데, 무령왕(462~523)과 왕비의 지석이었다. 특히 왕비의 지석 뒷면에는 왕의 매지권이 새겨져 있었다. 매지권(買地券)이란 죽은 사람이 지신(地神)으로부터 묻힐 땅을 사들인 증서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화장 풍습으로 지석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 같은 불교국가라도 고려시대로 접어들면 화장 이후 매장하는 풍습에 따라 검은 석판에 글을 새겨넣은 지석이 보인다. 조선시대가 되면 성리학의 가르침에 따라 매장이 일반화됐고, 도자기 산업의 발전으로 도자 지석이 크게 유행한다. 도자 지석은 시기별로 청자, 분청, 백자, 옹기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문제는 이 지석을 무덤이 아니라 무덤 앞에 묻은 만큼 도굴꾼의 손을 타기 쉽다는 것이다. 지난해는 한 사립 박물관장이 무려 558점의 지석을 숨기고 있다가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모두 도굴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대가인 송강 정철(1536∼1593)의 지석도 같은 운명이 됐다. 송강의 무덤은 경기 고양시에서 현종 6년(1665) 충북 진천으로 이장됐다. 그런데 진천의 송감 무덤 앞에 묻혀있어야 정상인 묘지명이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는 것이다.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가 붙잡은 장물아비의 치부책에 송강 묘지명도 들어있었다고 한다. 26.5x18㎝ 크기의 사각형 백자 23개로 이루어진 송강 지석은 조선시대 묘지명의 백미라고 해도 좋다. 중앙박물관은 이 묘지명을 지난 2000년 안팎에 구입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송강의 후손들은 묘지명이 도굴된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도굴 사실이 확인되면 묘지명은 송강 후손들에게 다시 돌려주게 된다고 한다. 도굴꾼과 장물아비는 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것이다. 그래도 죽은 자의 안식마저 빼앗은 죄에 대한 하늘의 처벌은 남는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8] 문화재가 된 빈대떡집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8] 문화재가 된 빈대떡집

    서울 세종로 네거리의 교보빌딩 뒷골목은 옛날부터 빈대떡으로 유명했다. 삼청동에서 발원해 지금의 여성가족부 청사 앞에서 청계천에 합류하는 중학천을 복개하면서 만들어진 골목이었다. 이 곳에 빈대떡 집이 모여들기 시작한 것은 1965~1966년 중학천이 복개되기 한참 이전인 1945년 광복 직후라고 한다. 1960년대 후반 어느 날, 어른들을 따라갔던 이 골목의 빈대떡 맛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돼지기름을 둘러 노릇노릇하게 구운 빈대떡에 어리굴젓을 얹어 먹는 맛은 감동적이었다. 어른이 되고 수 십년동안 이곳을 자주 찾은 것은 물론이다. 이 골목에는 얼마 전까지 몇몇 빈대떡 집이 남아 명성을 이어가고 있었다. 청일집과 경원집, 장원집, 그리고 피맛골 초입에 열차집이 있었다. 그런데 2000년 재개발 공사가 시작되면서 서울의 대표적 명물 거리의 하나였던 광화문 빈대떡 골목은 명맥이 끊길 수밖에 없었다. 청진동 해장국 골목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도 비슷한 시기다. 하지만 빈대떡 골목은 인위적으로 퇴출되는 시련을 겪었어도, 빈대떡 집은 사라지지 않았다. 청일집과 장원집은 가까운 르메이에르빌딩에, 경원집은 지하철 경복궁 옆 주변 적선동에, 열차집은 보신각과 조계사 사이 공평동에 각각 새로운 터전을 잡은 것이다. 빈대떡 맛에서도 우열을 가릴 수 없었던 네 가게 주인들은 “장사를 접고 싶어도 단골손님들 때문에 접을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만큼 ‘광화문 빈대떡’은 팬이 많았다. 광화문 빈대떡 골목의 역사는 일부지만 영구보존의 기틀이 마련됐다. 재개발 소식이 들려오자 청일집의 단골손님이었던 서울역사박물관 직원들은 집기 일괄 기증을 제안했다. 취지에 공감한 주인은 1000점 남짓한 집기며 간판에 실내장식까지 일체를 기증했다. 지금 서울역사박물관의 2층 전시실에 가면 중학천 시절의 청일집을 그대로 복원한 빈대떡집을 만날 있다. 맷돌 돌리는 소리와 빈대떡 부치는 소리는 들을 수 없고, 고소한 냄새도 나지 않지만 옛 정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더불어 이 곳에 가면 오래된 과거의 흔적만이 문화재이고, 문화유산이라는 강박관념도 떨칠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빈대떡집을 보고 나면 꼭 청일집이 아니더라도 네 곳의 빈대떡집 가운데 한 곳을 찾아가 보면 좋을 것이다. 네 곳의 스타일은 조금씩 다르지만 어느 집에 가나 후회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청일집 여주인은 지금도 “청일집에 시집온 뒤 40년 넘게 손님들로부터 맛없다는 말을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다”고 큰소리친다.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러니까.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바로가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7] 서울 낙산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의 상징성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7] 서울 낙산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의 상징성

    뭔가 답답하면 ‘나무관세음보살’하고 되뇌이는 할머니들을 본다. 대표적인 불교경전의 하나인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중생이 온갖 고통과 고뇌에 시달릴 때 한 마음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준다고 가르친다. 불교의 깊은 가르침을 알 길 없고, 해탈에 이르기는 더 더욱 어려운 중생이라도 그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하고 마음을 모아 부르기만 하면 구원해준다는 것이다. 불교는 인도에서 티베트를 거쳐 중국, 한국, 일본으로 퍼져나가면서 수많은 관음성지를 만들었다. 관음보살이 살고 있다는 전설의 산 포탈라카(Potalaka)는 스리랑카에서 멀지 않은 인도 남동쪽에 자리잡은 것으로 믿어졌다. 따라서 관음성지, 즉 포탈라카의 상징성이 부여된 도량은 바닷가에 위치한 산을 중심으로 세워졌다. 바다가 없는 티베트조차 키추강을 바다로 상정하고 수도 라사를 포탈라카로 의미를 부여했다. 라사의 포탈라(Potala)궁은 글자 그대로 관음보살이 살고 계신 곳이다. 그러니 포탈라궁의 주인 달라이라마는 관음보살의 화신이다. 티베트 사람들이 인도에서 망명정부를 이끄는 달라이라마를 변함없이 정신적 지도자로 여기는 까닭이다. 중국에서 포탈라카는 다양한 음역(音譯)이 이루어졌지만, 일반적으로 보타락가(補陀洛迦)로 표기한다. 저장(浙江)성 닝보(寧波) 저우산(舟山)군도의 보타도(補陀島)가 대표적 관음성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상대사가 신라 문무왕 11년(671)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관음굴을 지었다는 강원 양양 낙산사 홍련암을 최초의 본격 관음도량으로 보아야 한다. 양양 낙산사를 비롯해 인천 강화 석모도의 낙가산 보문사, 경남 남해 보광산 보리암은 우리나라의 3대 관음성지로 꼽힌다. 여기에 전남 여수 돌산도의 향일암을 포함시켜 4대 관음성지로 부르기도 한다. 낙산이나 낙가산은 모두 보타락가의 줄임말이다. 서울의 낙산 역시 보타락가산을 상징한다. 연극의 거리로 유명한 대학로 뒷산이다. 안앙암은 낙산 남동쪽 기슭인 창신동 산기슭에 조금은 위태롭게 자리잡고 있다. 커다란 바위에 관음보살이 새겨졌는데, 지붕을 씌우고 문을 달아 전각의 역할을 하도록 했다. 높이 3.53m의 관세음보살상 곁에는 마애불을 조성한 내력도 새겼다. 관음보살이 조성된 1909년은 일본제국주의의 한국 병탄이 이루어지기 바로 전해가 된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긴 대한제국의 고통이 갈수록 깊어지던 시기다. 이후 6.25전쟁으로 낙산이 피난민의 판잣집으로 가득찬 뒤에도 관음보살은 위안을 주는 존재였을 것이다. 불교적으로 낙산 관세음보살은 서울 주민 모두, 나아가 국민 모두의 구원자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의 조각이라고는 해도,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상이 갖는 과소평가되고 있는 듯 하다. 창신동은 청계천과 함께 한국 봉제산업의 역사가 깃들어 있는 곳으로, 지금도 동대문 패션타운의 배후생산기지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창신동이 서울의 새로운 문화적 부심(副心)으로 떠올랐을 때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상은 매우 중요할 역할을 해낼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 [길섶에서] 건망증/서동철 수석논설위원

    돌아가신 어머니는 깜빡깜빡 잊으시곤 하는 일이 종종 있어 자식들로부터 불평을 사기도 했는데 이제 내가 그런 지경에 접어들었다. 며칠 전 술자리에서 건망증이 화제로 떠오르기에 끼어들었더니 선배가 “네 나이에 벌써 그러는 건 건망증이 아니라 건방진 것”이라고 해서 한바탕 웃은 적도 있다. 광역버스를 타는 출근 시간이 한 시간 남짓 된다. 길다면 길지만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면 벌써 내릴 때가 가까워지곤 한다. 그런데 버스 안에서는 ‘굿아이디어’라고 무릎을 쳤는데, 막상 사무실에 도착해서 기억을 되살리려 하면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을 때도 있다. 손에 잡히는 대로 메모를 해 놓기도 하는데, 이번에는 메모한 종이를 어디 두었는지가 도무지 생각나지 않는다. 어제 아침에는 버스 운전기사가 손님 한 사람이 요금 카드를 찍지 않은 것 같다고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순간 혹시 내가 아닌가 슬금슬금 걱정이 되는 것이었다. 그래도 ‘자수’는 내키지 않았다. 요금을 안 냈다면 무안하겠지만, 낸 것으로 확인된다면 더욱 창피하다. 그럴 만큼 요금을 냈는지 안 냈는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내릴 때 카드를 대보니 내가 ‘범인’은 아니었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6] 실학자가 묘사한 파이프오르간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6] 실학자가 묘사한 파이프오르간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의 한 사람인 담헌 홍대용(1731~1783)은 문학과 철학은 물론 자연과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던 인물이다. 당시 서양 문명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진보적 지식인 사회에서는 일종의 시대정신이기도 했다. 담헌은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는데, 특히 서양음악의 한국 전래 역사에서 그의 존재는 매우 특별하다. 거문고의 명인이었다는 담헌은 북경의 남천주교당에서 파이프오르간과 마주친다. 그는 이 새로운 악기와 만난 경험을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에 꼼꼼하게 적어 놓았다. 1765년(을유년)과 1766년(병술년)까지 숙부 홍억의 자제군관으로 청나라를 여행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어머니를 위해 한글로 쓴 기행문이다. 담헌이 오늘날에는 선무문천주당이라고도 불리는 남천주교당을 찾은 것은 1766년 1월 9일이다. 독일계 선교사 유송령(劉松齡·Augustinus von Halberstein)과 포우관(鮑友官·Antonius Gogeisl)이 일행을 영접했다. 담헌은 성당 곳곳을 둘러보다가 파이프오르간이 있는 곳에 당도한다. 파이프오르간을 처음 만난 순간이다. ‘남쪽으로 벽을 의지하여 높은 누각을 만들고 난간 안으로 기이한 악기를 벌였으니, 서양국 사람이 만든 것으로 천주에게 제사할 때 연주하는 풍류였다. 올라가 보기를 청하자 유송령이 매우 지탄(指彈)하다가 여러 차례 청한 뒤에야 열쇠를 가져오라고 하여 문을 열었다.’ ‘풍류’란 곧 파이프오르간이다. 분위기를 짐작해보면 유송령은 파이프오르간을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 그리 탐탁치는 않았던 듯 하다. 홍대용은 그런 유송령을 귀찮을 정도로 졸랐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유송령은 연주를 듣기를 청하는 담헌에게 연주자가 병이 들었다며 거절하기도 했다. 그래도 연주대로 일행을 인도해 소리를 들려주었다. ‘틀 밖으로 조그만 말뚝 같은 두어 치의 네모진 나무가 줄줄이 구멍에 꽃혔거늘, 유송령이 그 말뚝을 눌렀다. 위층의 동쪽 첫 말뚝을 누르니, 홀연히 한결같은 저소리가 다락 위에 가득하였다. 웅장한 가운데 극히 정제되고 부드러우며 심원한 가운데 극히 맑은 소리가 나니….’ ‘조그만 말뚝 같은 두어 치의 네모진 나무’란 곧 건반을 말한다. 파이프오르간은 보통 2단의 손건반과 발건반(페달)을 갖추고 있는데, 유송령은 처음 낮은 음의 건반을 짚었던 듯 하다. ‘말뚝을 누르니 그 소리가 손을 따라 그치고 그 다음 말뚝을 누르니 처음 소리에 비하면 적이 작고 높았다. 차차 눌러 아래층 서쪽에 이르자 극진히 가늘고 높았다.…대개 생황 제도를 근본으로 하여 천하에 다양한 음률을 갖추었으니, 이는 고금에 희한한 제작이다’ 많은 금속제 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오르간을 보면서 생황을 떠올린 것이다. 여러 개의 대나무관으로 이루어진 생황은 입으로 부는 악기로,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후 중요하게 쓰여졌다. 서양의 팬파이프(panpipe)나 팬플루트(panflute)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입으로 부는 오르간((mouth organ)이라고도 부르니 오르간과 생황을 연결시킨 것은 지극히 합리적이다. 담헌도 건반을 눌렀다. 그는 ‘그 말뚝을 두어 번 오르내린 뒤 우리나라 풍류 잡는 법을 따라 짚으니 거의 곡조를 이룰 듯하여 유송령이 듣고 희미하게 웃었다.’고 했다. 처음 접한 파이프오르간으로 우리 곡조를 만들어보려 했던 것이다. 건반의 원리를 깨닫고 나서는 제법 멜로디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짚어낼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날 남천주교당 방문에는 역관 홍명복과 관상감의 이덕성 등도 동행했다. 파이프오르간을 접한 조선 사람이 담헌 한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다. 실제로 담헌은 ‘여럿이 다투어 짚어 반나절이나 지난 후’라고 했으니 이 악기에 대한 관심은 동행인들도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남천주교당은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의 족적이 깊은 곳이다. 병자호란 이후 북경에 볼모로 잡혀있던 소현세자는 남천주교당으로 마테오 리치를 자주 방문하기도 했다. 아마도 소현세자 역시 파이프오르간을 보았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럼에도 조선 사람으로 파이프오르간을 처음 접한 공로는 담헌이 독차지하고 있으니 기록을 남기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 새로운 서양 과학문명을 탐구하는 담헌의 자세는 매우 진지하다. 그는 파이프오르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꼼꼼하게 살펴본 뒤 이 악기가 소리를 내는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파했다. ‘이 악기 제도는 바람을 빌려 소리를 나게 하는데, 바람을 빌리는 법은 풀무와 한가지다.…바깥 바람을 틀 안에 가득히 넣은 뒤 자루를 놓아 바람을 밀면 들어오던 구멍이 절로 막히고 통 밑을 향하여 맹렬히 밀어댄다. 통 밑에 비록 각각 구멍이 있으나 또한 조그만 더데를 만들어 단단히 막은 까닭에 말뚝을 누르면 틀 안에 고동을 당겨 구멍이 열린 뒤 바람이 통하여 소리를 이룬다. 소리의 청탁고저는 각각 통의 대소장단을 따라 음률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유송령도 담헌의 설명을 듣고는 ‘옳은 말씀’이라고 공감을 표시했다고 한다. 홍대용의 파이프오르간 조우기(記)는 그저 신기하고 새로운 악기에 대한 유람객의 시선에 머물지 않는다. 악기의 원리에 대한 자연과학적 의문까지 모두 풀어낼 만큼 철저하다. 오늘날에도 파이프오르간의 원리를 이보다 더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5] 석굴암 금강역사 두번 조각한 이유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5] 석굴암 금강역사 두번 조각한 이유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주실 입구 양쪽에는 웃옷을 벗어제치고 주먹을 치켜든 채 기세등등하게 본존불을 호위하고 있는 한 쌍의 금강역사가 있다. 불법(佛法)을 수호하면서, 어둠 속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중생의 미망(迷妄)을 깨어 부수는 부처의 힘을 과시하는 존재다. 석굴암 금강역사를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입을 벌리고 있는 ‘아’형, 오른쪽이 입을 꼭 다물고 있는 ‘훔’형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아’는 입을 벌리는 최초의 음성이고, ‘훔’은 입을 다무는 마지막 음성이라고 한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시작과 끝을 상징한다. 그런데 1913년부터 1915년까지 석굴암을 해체·보수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깨버린 흔적이 역력한 금강역사상의 조각들이 수습됐다. 오른쪽 금강역사의 얼굴과 오른팔, 왼쪽 금강역사의 왼손이 그것이다. 얼굴 부분은 지금 국립경주박물관에 가면 만날 수 있다. 당시 금강역사상의 가슴 파편도 발견됐다고 한다. 석굴암에서 가까운 계곡에 버려져 있었다는데,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실물은 물론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다만 1967년 당시 문화재관리국이 ‘석굴암 수리공사 보고서’에 ‘커다란 금강역사의 가슴 부위가 이곳 계곡에 있다는 기록이 있어 수색하였으나 발견하지 못했다.’고 적어 놓았을 뿐이다. 미술사학계는 다양한 추론을 내놓았다. 첫째는 석굴암이 완성된 이후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 금강역사상이 파손되는 바람에 새로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통일신라 말기에 석굴암을 중건하면서 옛 금강역사상을 폐기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세번째는 처음부터 두 쌍의 금강역사를 계획했다는 주장이지만 가능성은 낮다. 이밖에 현재의 석굴암 금강역사상을 조성하기에 앞서 연습삼아 만들어 본 흔적이라거나, 완성품을 만들려고 했으나 실패하여 파편을 남겼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금강역사상은 본존불을 제외하고는 석굴암의 어떤 조각보다도 높은 돋을새김이어서 원각에 가깝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현재의 석굴암 금강역사상도 오른쪽의 ‘훔’형은 왼팔이 떨어져 나간 상태다. 그 만큼 조각이 쉽지 않았고, 파손되기도 쉬웠을 것이다. 하지만 석굴암 조각가에게 ‘기술의 한계’를 말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런 만큼 금강역사상을 새로 만든 이유는 조각의 실패나, 다른 요인에 따른 파손의 결과가 아니라, 한 단계 높은 종교적 숭고함, 혹은 예술성을 확보하기 위한 결단으로 해석하고 싶다. 경주박물관의 금강역사가 흥분을 가라앉힌 상태의 근엄한 모습이라면, 석굴암 것은 과장된 표정으로 위협하듯 고개를 외로꼰 채 고개를 치켜들고 있다. 석굴암 금강역사상이 머리와 몸통, 그리고 다리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는 이른바 삼굴(三屈) 자세로 공격성을 표현했다면, 경주박물관 것은 아무래도 정적이다. 그러니 손가락만으로 땅 속의 마구니를 굴복시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본존불까지 마무리지어 석굴암 조각을 모두 조립해놓고 보니, 이 엄숙하고 장엄한 세계를 수호하기에 이미 완성된 금강역사는 너무 약하게 보이지 않았을까. 이미 완성된 금강역사상을 폐기하고 새로 조각한다는 결정은 쉽지 않았겠지만, 이런 결단이 있었기에 석굴암은 더욱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지금의 금강역사상이 우리 눈에 지극히 자연스럽게 보인다면, 당시의 재조성 결단이 옳았기 때문이다. 아직 흔적을 찾아내지 못했을 뿐, 석굴암에 인생을 바친 석공들의 시행착오는 금강역사상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 [길섶에서] 통과의례/서동철 수석논설위원

    고무신은 편한 신발의 대명사처럼 알려졌지만 실상은 그렇지도 않다. 집에서 고무신을 신었던 적이 있다. 동네 구멍가게 가는 데는 고무신만큼 좋은 것이 없다. 그런데 세상에서 가장 편해 보이는 고무신도 새것을 신으면 조금만 걸어도 발뒤꿈치가 아파 오는 것이었다. 통증을 참아내고 까진 뒤꿈치의 상처가 아물 때쯤에야 편해졌다. 초·중·고 시절 새 운동화를 신으면 언제나 발이 아파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신발에 발을 맞추는 기간이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세상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이후에도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신발장에는 십년이 훨씬 넘도록 신은 적이 없음에도 먼지만 쌓여가는 구두도 있다. 유명한 브랜드라지만 내 발에는 맞지 않는 것 같다. 지금도 새 신발은 그리 편치 않다. 집 주변 공원을 걸을 때 신는 운동화가 있다. 6~7년은 잘 신었는데 엊그제는 뒤꿈치가 아파 오는 것이었다. 뒤꿈치를 감싸는 천이 해지면서 보풀이 일어나 있었다. 이 운동화도 처음에는 한동안 어색했다. 새 운동화를 사면 비슷한 일이 되풀이될 것이다. 신발조차 내 것으로 만들려면 통과의례가 필요하구나 싶은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4] 칠갑산 장곡사의 밥그릇부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4] 칠갑산 장곡사의 밥그릇부처

    충남 청양은 전통적으로 구기자가 많이 나는 고장이지만 지금은 매운 고추의 대명사가 된 것 같다. 사실 우리나라 고추의 오래된 본고장은 경북 청송(靑松)과 영양(英陽)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곳에서 한글자씩 따서 청양고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산지(山地)가 대부분인 청양은 태백산맥 서쪽의 청송·영양 만큼이나 일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를 갖고 있다. 맛있는 고추의 생육에 매우 적절한 자연 조건이라고 한다. 여기에 청양(靑陽)이라는 땅이름이 청송 영양 고추의 전통을 이어받은 새로운 고추의 고장으로 명성을 날리게 하는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칠갑산은 이런 청양을 대표하는 명산이다. 가수 주병선이 1989년 발표한 ‘칠갑산’은 국악가요로는 유례없이 크게 히트했다. 지금도 노래방에 가면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 무슨 설움 그리 많아, 포기마다 눈물 심누나’로 시작하는 이 노래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과거에는 칠갑산 주변의 첩첩산중에서 화전을 일구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 노래 또한 화전민 어머니가 먹을 것과 바꾸어 어린 딸을 민며느리로 보내는 애끊는 사연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지금 칠갑산 도립공원 들머리에는 ‘콩밭 매는 아낙네상(像)’도 세워졌다. 칠갑산 등산로를 따라 조금 오르면 장곡사가 나온다. 다른 절집과는 달리 상(上) 대웅전과 하(下) 대웅전이 각각 보인다. 두 대웅전은 모두 약사여래를 주존으로 모시고 있다. 약사여래는 중생을 질병의 고통에서 구제하는 부처다. 약사여래는 무릎에 올린 왼손에 작은 그릇을 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기 쉽게 약사발이라고들 하지만, 정확히 표현하면 ‘치유의 능력을 가진 우주의 대(大)생명력을 응축시켜 놓은 용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하대웅전 약사여래가 들고 있는 것은 약사발의 모습이 아니라 밥그릇이다. 그것도 포슬포슬 잘 지은 밥을 고봉으로 담아놓았다. 단아하고 균형잡힌 고려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아 보물로 지정된 불상이다. 충목왕 2년(1346) 만들었음을 확인한 것도 더욱 가치를 높였다. 하지만 이 약사여래의 의미는 단순히 미술사적 가치에 머물지 않는다. 바로 이 밥그릇 때문이다. 약사여래가 조성된 14세기 중엽의 청양 사람들은 ‘칠갑산’ 노래의 배경이라는 20세기 초·중반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약보다 밥이 훨씬 더 소중했을 것이다. 결국 약사여래의 밥그릇은 가난한 이들에게는 끼니를 거르지 않게 하는 것이 곧 고통에서 구해주는 명약이라는 무언의 가르침이 아닐 수 없다. 하대웅전 약사여래의 ‘깊은 뜻’을 이해하고 공원 광장으로 내려와 ‘콩밭 매는 아낙네상’에 적힌 ‘칠갑산’ 노래의 가사를 다시 천천히 읽어보면 그 울림은 전과 같지 않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씨줄날줄] 세 살배기 난민의 죽음/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시리아 다마스쿠스에 살던 압둘라 쿠르디 가족은 다른 난민들과 그리스로 건너가고자 작은 고무보트에 올랐다. 압둘라와 부인, 어린 두 아이가 내전을 피해 최종적으로 가고 싶었던 곳은 스웨덴이었다. 하지만 터키 해안을 출발하자마자 고무보트는 거친 파도에 위태롭게 흔들렸다. 안전을 장담하던 브로커는 혼자 뛰어내려 해안으로 도망쳤다. 결국 고무보트는 뒤집혔고 설상가상으로 바람마저 빠지고 있었다. 두 아이는 어느 틈엔가 품에서 사라졌다. 압둘라는 마지막까지 붙잡고 있던 아내의 손마저 놓치고 만다. 터키 해안에서 익사한 채 발견돼 전 세계를 울리고 있는 세 살배기 시리아 난민 아일란 쿠르디는 바로 압둘라의 막내아들이다. 압둘라는 인형보다 귀여웠던 아일란은 물론 다섯 살짜리 큰아들 갈립과 부인도 함께 잃었다. 압둘라는 전에도 두 차례나 브로커에게 돈을 주고 에게해를 건너 그리스의 코스섬까지 가려고 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번이 세 번째 시도였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전쟁의 고통에서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가려던 압둘라 가족의 비극은 한국인들에게는 남다르게 다가온다. 6·25전쟁을 겪은 세대라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아일란의 죽음은 지난해 연말 개봉해 올해 상반기 내내 적지 않은 관객을 눈물짓게 했던 영화 ‘국제시장’의 한 장면을 곧바로 연상시킨다. 흥남 철수 당시 주인공 덕수의 작은 여동생 막순이 동해의 차가운 물속으로 떨어지는 장면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막순은 미국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오르는 과정에서 오빠의 손을 놓치고 말았다. 극중 막순의 나이가 세 살이나 네 살쯤 되지 않았을까 싶다. 구조된 막순이 미국에 입양되어 나중에 가족과 극적 상봉을 하는 것은 아일란과 다르지만…. 유럽 각국은 쏟아져 들어오는 시리아 난민을 어떻게 나누어 수용할 것인가를 두고 눈치싸움이 한창이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망명을 신청한 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을 모두 받아들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나아가 메르켈은 유럽연합 각국에도 폐쇄적인 이민 및 난민 정책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노동력이 부족한 독일이니 그런 것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메르켈은 지금 독일 국내에서 극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있는 만큼 그것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아일란의 주검을 담은 사진 한 장이 충격을 던지면서 난민 수용에 소극적이었던 유럽 국가의 자세도 바꾸어 놓고 있다. 그동안 난민 수용에 반대하던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수천 명의 시리아 난민을 수용할 것이라고 조만간 밝힐 예정이라는 것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누구를 칭찬하고 누구를 비난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 우리에게 이런 대규모 난민이 예상치 않게 닥친다면 어떻게 뜻을 모을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3] 길상사 해우소의 문화적 가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3] 길상사 해우소의 문화적 가치

    법정 스님의 마지막 거처는 강원도 오대산 깊은 산골의 오두막이었다. 돌벽으로 쌓아올리고 허리에 서툴게 기와를 쌓아 멋을 낸 해우소에는 작은 판자가 하나 끈에 걸려 있었다. 카페가 영업 중인지 아닌지 ‘open’과 ‘closed’라고 앞뒤에 적어 돌려 내거는 푯말과 비슷하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스님은 해우소에 들어갈 때는 ‘나 있다’, 해우소에서 나오면 ‘기도하라’는 글자가 보이도록 돌려놓았다. 소라의 굴처럼 둥글게 벽을 한 겹 더 둘러친 해우소는 바람이 무시로 드나들 수 있도록 문짝을 달지 않았다. 이 푯말로 산중에 찾아든 길손이라도 어색한 미소를 짓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충남 금산 보석사의 해우소에는 시유불다(時有不多라는 팻말이 걸려 있다. ‘시간이 있는 것 같아도 많은 것은 아니다’쯤의 철학적 문구이다. 그런데 ‘시유불다’에 더욱 깊은 뜻이 있다는 것은 ‘다불유시’라고 거꾸로 읽어보면 안다. 영어의 WC(water closet)를 이렇게 표기한 것이다. 보석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義僧軍)을 이끌고 청주성을 탈환한 영규 대사가 수도한 곳이라고 한다. 유서 깊은 절의 현대적 감각을 지닌 스님의 위트가 놀랍다. 요즘엔 누구나 산중 사찰의 뒷간을 해우소라 일컫는다. 하지만 이런 표현이 생각보다 오래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통도사 극락암의 조실이었던 경봉(1892~1982) 스님의 조어(造語) 솜씨로 알려진다. 1950년대 어느 날 스님은 극락암의 화장실에 해우소(解憂所)와 휴급소(休急所)라는 푯말을 내걸었다. 큰일을 보는 공간을 해우소, 작은 일을 보는 공간을 휴급소라고 각각 이름붙인 것이다. 그리고는 “휴급소에서 급한 마음을 쉬어가고 해우소에서 근심 걱정을 버리고 가면 그것이 바로 도를 닦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설명했다. 경봉은 “세상에서 가장 급한 일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것인데 중생은 화급한 것은 잊고 바쁘지 않은 것을 바쁘다고 한다”면서 “해우소는 쓸데없이 바쁜 마음을 쉬어가라는 뜻”이라고 했다. 해우소는 결국 몸은 물론 마음의 근심까지 푸는 여유를 찾는 곳이다. 법정이 해우소에 들어서는 자신에게 ‘기도하라’고 다그친 것도 다르지 않은 의미일 것이다. 절의 화장실로는 순천 선암사 측간(厠間)과 영월 보덕사 해우소가 시·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모두 산지 사찰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해 누각식으로 지었다. 용변을 보는 곳과 배설물이 쌓이는 곳의 고저 차이가 매우 크다는 뜻이다. 선암사에는 ‘정월 초하루에 힘을 주면 섣달그믐에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는 우스개가 있을 정도다. 게다가 산바람이 사시사철 부니 코를 막는 수고로움은 필요하지 않았다.  해우소 배설물은 퇴비가 되어 자연으로 돌아간다. 언젠가 찾은 남원 실상사의 해우소는 새로 지었음에도 이런 원리를 살려 놓아 기억에 남아 있다. 월정사 원행 스님의 산문집에도 그런 얘기가 있다. 겨울을 나는 김장 채소는 해우소 거름으로 큰다는 것이다. 그의 은사는 구겨진 포장지를 일일이 다리미로 다린 뒤 손바닥만 하게 오려 해우소에 매달아 놓았다고 한다. 옆에는 ‘일회삼매이상불가’(一回三昧以上不可)라고 적었다. 한 번에 석 장 이상 쓰지 말라는 검약의 가르침인데, 삼매(三枚)가 아니라 깨달음의 경지인 삼매(三昧)라고 쓴 것이 묘미다. 해우소에서도 수행 정진을 게을리 하지 말라는 농중진담이다. 서울 성북동 길상사는 해우소 대신 정랑(淨廊)이라는 전통적 표현을 쓰고 있다. 겉보기에는 별다른 특징도 없이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현대식 건물이다. 그런데 이곳은 특이하게 신발을 갈아 신는 구조로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그 간단한 절차가 마치 세속의 공간에서 정화된 공간으로 들어서는 일종의 의식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그런지 길상사 정랑의 내부는 둘러앉아 도시락을 먹어도 좋을 만큼 깨끗하다. 다른 사람의 느낌도 나와 다르지 않았다는 뜻이다. 깨끗하기 어려워 깨끗함을 강조한 정랑이라는 표현이 역설이 아니었다. 길상사 정랑은 그저 아무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모습을 하고 있으니 문화재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담아놓은 뜻 만큼은 충분히 문화재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사진설명  1. 충남 금산 보석사로 오르는 길.  2. 보석사 해우소에 걸린 푯말  3. 전남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순천 선암사 측간(문화재청 사진)  4. 강원도 문화재 자료인 영월 보덕사 해우소(문화재청 사진)  5. 서울 성북동 길상사 정랑의 내부
  • [서동철 칼럼] 그들을 안달하게 만든 것이 방중 성과다

    [서동철 칼럼] 그들을 안달하게 만든 것이 방중 성과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여주 시내 한복판에 대로사(大老祠)라는 사당이 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이름만 바뀌었을 뿐 살아남았던 대로서원(大老書院)이 같이 있었던 만큼 규모는 제법 크다. ‘위대한 어르신’ 정도로 이해할 수 있는 ‘대로’란 우암 송시열(1607~1689)을 가리킨다. 건물을 지어 주고 정조가 규장각 제학 김종수에게 현판을 쓰게 하여 내려보낸 것이 1785년이니 우암이 세상을 떠나고 거의 한 세기가 지난 뒤의 일이다. 정조가 여주에 우암의 사당을 지은 것은 효종의 무덤이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세종의 무덤 영릉(英陵)과 나란히 있는 효종의 무덤 영릉(寧陵)은 가 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병자호란 당시 청 태종에게 항복하는 치욕을 겪은 인조의 둘째아들 효종은 재위 기간 내내 청나라를 치는 이른바 북벌(北伐)을 부르짖었다. 우암은 그 이론적 바탕을 제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니 대로사란 우암의 북벌대의론을 칭송하는 기념물이라고 할 수 있다. 노론의 영수 송시열이 살아생전 조정을 좌지우지했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우암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노론은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이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가 노론에게 죽임을 당하다시피 했음에도 현실 정치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세력을 무시할 수 없었다. 결국 대로사 건립은 앞으로도 노론과 함께 가겠다는 정치적 제스처나 다름없었다. 대로사가 우암을 기리는 사당이지만, 정조의 정치력을 보여 주는 상징물로 세상이 기억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우암의 북벌대의론은 행동이 수반되지 않은 구호에 불과했다는 인식도 적지는 않다. 하지만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복수해야 한다는 생각은 조선 사람들의 뇌리에서 잠시도 떠나지 않았다. 대표적인 실학자의 한 사람인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보다가 실소한 적도 있다. 우암의 유명무실한 북벌론에 반대해 청나라의 새로운 문물을 배우자고 주창한 이른바 북학파의 대표 주자다. 하지만 배우러 떠난 길에도 청나라와 청나라 사람들을 한결같이 ‘오랑캐’로 서술하고 있었다. 우리 역사를 사대주의로 점철된 역사로 규정하는 것은 아베의 과거사 인식만큼이나 어이없다. 국어사전은 사대(事大)를 ‘주체성 없이 힘이 강한 자를 섬기는 태도’라고 설명한다. 당시 청나라가 어떤 존재인가. 그럼에도 끝까지 복수설치(復讐雪恥)의 대상이었고, 백번 양보해도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대상이었지 섬김의 대상이라고 생각한 조선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우암의 존주대의(尊周大義)에도 이해가 필요하다. 존주대의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을 따른다는 뜻이다. 하지만 나라를 따르겠다는 뜻이 아니라 사상을 따르겠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조선은 성리학을 명시적인 건국이념으로 내세운 세계 유일의 국가일 것이다. 존주대의란 가톨릭 국가의 구성원이 바티칸과 교황을 정신세계의 중심으로 여기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유럽 국가는 일찍이 로마의 지배에서 허덕였고, 이후 오래도록 교회 권력의 영향권에 있었다. 존주대의의 핵심은 문화와 사상의 중심이었던 중화주의가 명나라를 끝으로 막을 내린 뒤 그 문화와 사상의 중심 역할을 조선이 물려받았다는 주체적인 인식이 아닐까 한다. 조선시대 지식인이 가졌던 의식의 흐름을 조금만 이해한다면 사대주의를 거론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일본 언론인이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석을 사대주의라고 비판했다고 한다.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 어쨌든 미안하지만, ‘이제야 우리 외교가 제대로 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조선시대가 아니라 오히려 남북 분단 상황에서 선택의 여지가 없는 ‘외통수’에 걸린 채 사대를 강요당한 것은 아니었을까. 미국은 박 대통령의 행보를 두고 ‘충분히 공감한다’는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조심스럽게 상황 변화를 지켜보겠다’는 외교적 수사나 다름없을 것이다. 그러니 일본 조야(朝野)가 안달하는 것은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박 대통령의 방중 성과는 이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은가.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2] 17세기 추상미술의 대가 미수 허목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2] 17세기 추상미술의 대가 미수 허목

    현대미술에 관심을 가질수록 옛 글씨가 눈에 들어온다는 사람을 심심치 않게 만난다. 초기의 한자는 3차원인 표현 대상을 2차원으로 묘사한 일종의 구상화라고 할 수 있다. 이 구상화는 곧 해체와 재조합 과정을 거쳐 진전된 형태의 한자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렇게 태어난 한자, 혹은 한자의 배열을 조화롭게 재구성하는 작업이 서예라고 할 수 있다. 구상에서 추상으로 이행한 서양미술의 발전 단계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강원도 삼척에 있는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를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던 적이 있다. 미수 허목(1595~1682)의 삼척부사 시절 글씨다. 척주(陟州)는 삼척의 옛 이름이라고 한다. 20세기 추상화를 보는 듯한 전서체(篆書體)로 크게 씌어진 ‘척주동해비’ 다섯 글자는 조형적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는데, 현대적 감각이 물씬 풍긴다. 역시 전서체인 비문의 작은 글씨 하나하나에도 창조 정신이 짙게 배어있다. 척주동해비는 글씨의 아름다움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신이(神異)한 능력을 발휘한 설화로도 유명하다. 허목 부사 당시 삼척은 파도가 읍내까지 밀려오고, 오십천이 범람해 피해가 극심했다고 한다. 이에 미수가 ‘동해송’(東海頌)을 지어 정라진에 척주동해비를 세우자 바다가 잠잠해졌다는 것이다. 허목의 능력이라기보다는 그의 예술적 성취가 발산한 영기(靈氣)가 천지자연마저 감응시킨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허목은 눈썹이 눈을 덮을 정도로 길어 눈썹 미(眉), 늙은이 수 자로 호를 지었다고 자신의 문집 ‘기언’(記言)에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그의 초상화도 희고 두터운 눈썹이 남달라 보인다. 화폭 상단에 적힌 채제공의 글에 의하면, 정조는 허목의 인물됨에 크게 감동하여 은거당이 그린 82세의 허목 초상을 당대 최고 화사 이명기에게 재현하도록 했다고 한다. 채제공은 정조시대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인사다. 미수는 만년에 남인의 핵심인물로 부상하기도 했지만, 오랫동안 정치적 소수파에 머물렀다. 예술가로서 허목은 산림(山林)에 머물던 시절 중국의 상고시대 문자를 탐구해 특유의 서체를 만들었는데 세상은 미수의 전서라는 뜻에서 미전(眉篆)이라고 불렀다. 그의 글씨에 담긴 미래지향적 창조정신은 당시 사람들에게도 크게 인정받았던 것 같다. 허목의 예술정신은 오늘날 더욱 각광받는다. 국가 및 지방 문화재만 각각 22건과 26점에 이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에는 척주동해비의 원본 글씨도 들어 있다. 안동 하회마을의 ‘충효당’(忠孝堂) 편액은 지금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징비록’ 특별전에 가면 만날 수 있다. 정작 하회에는 복각본이 걸려있다. ‘완귀정’(玩龜亭)은 영천에 있는 완귀 안증(1494~1553)의 정자를 위해 쓴 것이다. 이 글씨에는 미수가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즐겁게 바라본다는 뜻의 완(玩)자는 한쪽이뚫린듯 허전하다. 미수는 같은 의미를 가진 완(?)자로 과감하게 대체했다. 획이 많아 번다해 보이는 거북이 구(龜)자는 연못에서 헤임치는 새끼거북이를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변형시켜 조화를 완성해 냈다. 17세기 작업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추상의 놀라운 경지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1] 서산 부석사 관음보살이 있던 자리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1] 서산 부석사 관음보살이 있던 자리

    충남 서산에서 안면도에 가려면 두 가지 길이 있다. 서산 부석면을 거쳐 천수만을 막은 부남호 방조제를 지나 안면도 연육교를 건너는 방법과 태안 읍내와 태안 남면을 거쳐 연육교를 건너는 방법이다. 보통은 서산에서부터 줄곧 도로표지판이 안내하는 대로 태안를 거치는 길을 택하게 마련이다. 지금 태안 읍내와 안면도 사이에는 2차로를 4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마무리 단계이니, 공사가 끝나면 앞의 길을 택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좁고 구불구불한데다 조금은 돌아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부석면을 지나는 길을 택하는 사람들에게는 기분좋은 일이 있다. 지나는 인지면과 부석면 일대는 서산생강한과의 주산지로, 공장과 판매장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한번쯤 들러 맛을 보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 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이 길을 따라가다 보면 부석사를 알리는 팻말이 나타난다. 큰 길에서 자동차로 10분 남짓 도비산 산길을 오르면 부석사 일주문이 보인다. 흔히 ‘서산 부석사’라고 부르는 것은 경북 영주에 같은 이름으로 훨씬 역사가 깊고, 규모가 큰 절이 있기 때문이다. 미술사학자 최순우 선생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라는 글로 더욱 유명한 영주 부석사다. 최근에는 서산 부석사도 영주 부석사 만큼이나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일본 쓰시마의 관음사에서 훔쳐온 금동관음보살좌상의 고향이 바로 이곳이다. 부석사가 자리잡은 도비산은 천수만이 내륙으로 깊숙히 파고 드는 끝 부분에 자리잡고 있다. 도비산은 그저 높지도 낮지도 않지만, 일대에서는 가장 높이 솟은 봉우리다. 산 중턱에 자리잡은 가람은 멀리서도 알 수 있는데, 절에 오르면 천수만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간척공사가 벌어지고, 부남호를 막기 전에는 아마도 절 앞의 드넓은 평야도 모두 바다였을 것이다. 전형적인 관음도량의 입지다. 관음보살이 살고 있다는 전설의 산 포탈라카(Potalaka)는 스리랑카에서 멀지 않은 인도 남동쪽에 자리잡은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관음도량은 이런 상징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지어지게 마련이고, 실제로 영험있는 관음성지도 대부분 바닷가 산중에 자리잡았다. 이른바 3대 관음성지라는 강화 보문사,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이 모두 그렇다. 관음보살은 중생이 고통과 고뇌에 시달릴 때 마음을 모아 이름만 불러도 풀려나게 해주는 존재다. 큰 바다에 들어선 배에 태풍이 몰아닥쳤을 때도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고난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서산 부석사의 관음보살 역시 천수만 일대의 어부와 그 가족 사이에서는 가장의 안전을 보살피는 ‘생명의 아이콘’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자 이름도 같은 서산과 영주의 부석사(浮石寺)는 이름만큼이나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영주 부석사는 676년 의상대사가 신라 문무왕의 명을 받아 창건했다. ‘삼국유사’에도 나오는 창건 설화는 중국에서 돌아오는 의상의 뱃길을 선묘라는 낭자가 바다의 용이 되어 보살폈다는 내용이다. 상대적으로 조촐한 서산 부석사에도 677년 의상대사 창건설이 전하는데, 창건 설화 역시 영주 부석사와 같은 선묘 설화라는 것은 흥미롭다. 실제로 두 절은 닮은꼴이다. 우선 서방정토 극락세계를 주재한다는 아미타부처를 주존으로 모셨다. 영주는 무량수전, 서산은 극락전으로 큰법당의 이름은 다르지만 알고보면 무량수전의 주존인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이다.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앞에는 안양루가 자리잡았는데, 서산 부석사에도 같은 자리에 안양루가 세워졌다. 서산 부석사 관음보살의 내부에는 ‘고려국 서주 부석사 당주 관음’을 주조한 내용을 담은 결연문이 들어 있었다. 서주(瑞州)는 고려시대 서산의 지명이고, 불상을 조성했다는 천력 3년은 고려 충선왕 즉위년인 1330년이다. ‘당주(堂主) 관음’이라고 한 것은 의미가 있다. 이 불상은 높이가 50.5㎝ 정도지만, 독립된 법당의 당당한 주존이었다는 뜻이다. 결연문에 부석사라는 이름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고리시대에 이미 이런 이름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주 부석사를 모범으로 삼았다면 당시에도 서산 부석사의 큰법당은 극락전일 가능성이 크다. 극락전이 큰 법당이었다면 ‘당주 관음’이라는 표현은 별도의 관음전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지금 서산 부석사에서 관음전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대신 지금 극락전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좌우에서 아미타불을 협시하는 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서산 부석사에는 대신 선묘각, 산신각, 용왕각의 세 편액을 나란히 달고 있는 작은 전각이 보인다. 영주 부석사에도 무량수전 뒤편에 한칸짜리 선묘각이 있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서산 부석사는 영주 부석사의 다양한 상징성 가운데 특히 ‘해상 안전’의 상징성을 이식하려 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영주 부석사의 선묘가 그저 의상의 안전한 귀국을 도운 존재라면 천수만 바다와 싸워 삶을 이어나간 사람들에게 선묘는 관음보살과 다름없는 존재였을 것이다. 서산 부석사는 아마타도량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관음도량의 성격이 매우 짙은 절이다. 그런 만큼 일본에서 돌아온 금동관음보살은 이 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런 불상을 외국의 작은 절에 선물로 주거나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