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08-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24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세조가 세운 ‘깨달음의 사찰’… 연산군 땐 기생 관리 장소로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세조가 세운 ‘깨달음의 사찰’… 연산군 땐 기생 관리 장소로

    한양은 유교를 국시로 내세운 조선의 계획도시였으므로 고려시대 절이 남아 있었다고 해도 훼철됐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1000년이 넘은 불교국가의 전통이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 없었고, 불덕(佛德)에 의지하는 분위기는 왕실이 더욱 짙었다. 태조는 도성 안 세 곳에 사찰을 세웠다. 곧 흥천사, 흥덕사, 흥복사다. 태조가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인 정릉을 덕수궁 터에 만들고, 명복을 비는 원찰로 세운 것이 흥천사다. 그런데 태종이 배다른 어머니의 무덤을 도성 밖 오늘날의 돈암동 고개 너머로 옮겼으니 흥천사도 돈암동에 다시 터를 잡아야 했다. 흥덕사는 ‘태상왕이 새 전각을 희사하여 사찰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태조가 왕위에서 물러난 이후에 지은 절이다. ●‘불교대호왕’ 세조, 원각사를 조선 불교 거점으로 흥복사는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다. 세조는 흥복사를 넓혀 원각사를 건립하고 불경을 간행하는 등 불교의 거점으로 삼았다. 원각사의 흔적은 지금도 국보 제2호 십층석탑과 대원각사비(大圓覺寺碑)로 남아 있다.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라는 탑골공원은 3·1운동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세조는 불교대호왕(佛敎大護王)으로 불릴 만큼 조선왕조에서는 전무후무한 불교 후원자였다. 그가 불교중흥에 힘쓴 것은 흔히 조카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업보(業報)를 씻기 위해서라고 한다. 하지만 어린 단종이 즉위함에 따라 왕권을 제약할 만큼 성장한 신흥사대부를 견제하겠다는 목적이었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실제로 도성 한복판에, 그것도 주변 어디서나 바라보이는 12m 불탑이 세조 13년(1467년) 완성됐을 때 유신(儒臣)들의 굴욕감은 적지 않았을 것이다. 어느 시기, 석탑의 8층 이상이 땅바닥에 끌어내려진 것도 그 불쾌감의 일단을 보여 준다. 십층석탑은 1946년 미군공병대의 크레인을 동원하고서야 제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런 분위기였던 만큼 세조는 원각사를 창건하고자 주도면밀한 계획을 세웠다. 실록에는 일종의 창건설화마저 등장한다. 효령대군이 회암사에서 원각법회를 베풀자, 여래가 나타나고 신(神)의 음료라고 할 감로(甘露)가 내렸다. 황색 가사를 입은 신승(神僧) 3인이 나타나니 밝은 빛이 일어나고, 채색 안개가 공중에 가득 찼으며, 부처님의 사리가 저절로 늘어나는 분신(分身)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세조는 ‘이처럼 기이하도록 상서로운 일은 좀처럼 만나기 어려우므로 홍복사를 다시 세워 원각사를 삼고자 한다’고 했다. 원각(圓覺)이란 깨달음의 다른 말이다. 회암사에서 원각법회가 계획됐을 때부터 세조는 도성에 새로 지을 거대 사찰의 성격과 구체적인 이름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게 아닐까 싶다. 흥복사는 세종시대까지도 왕실의 불사가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세조는 원각사 조성의 명을 내린 이튿날 흥복사에 거둥했는데 왕세자와 효령대군, 임영대군, 영응대군, 영순군 같은 왕실의 핵심 인사들이 앞장선 가운데 영의정 신숙주와 좌의정 구치관, 병조판서 윤자운을 비롯한 관리들을 대동한다. 못마땅한 신하도 없지 않았겠지만, 불만을 공개적으로 토로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을 것이다. 세조는 앞서 회암사의 법회에서 신기한 일이 일어났다고 했을 때부터 대사면령을 내리며 민심을 자기편으로 이끌었다. 이후에도 13차례에 걸쳐 상서로운 조화가 있었다며 사면령을 내리거나 관계자를 포상했다. 원각사를 인간의 뜻이 아니라, 신의 뜻에 따라 새로 짓는 것으로 뇌리에 각인시키겠다는 뜻이었을 것이다. ●사림정치 기반 공고해지면서 사찰 명맥 끊겨 하지만 세조가 승하하고 예종마저 재위 14개월 만에 세상을 떠난 데 이어 13세에 불과한 성종이 즉위하자 사정은 달라졌다. 사림정치의 기반이 공고해지면서 성종 5년(1474) 원각사의 백옥불상은 회암사로 옮겨지고 승려들도 퇴출된다. 연산군은 즉위 10년(1504) ‘흥덕사를 원각사로 옮기게 하라’고 전교한다. 이듬해 장악원(掌樂院)을 원각사로 옮기도록 했다. 사찰로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던 흥덕사와 원각사의 기능도 이때 완전히 중단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악(禮樂)을 관장하던 장악원의 기능도 기생과 악사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 조광조를 비롯한 신진사대부가 조선을 성리학적 이상국가로 만들겠다며 도학정치를 부르짖던 중종시대 원각사터는 집터로 팔려나갔다. 반정으로 중종이 집권한 직후 원각사 건물은 한동안 한성부 관아로 쓰이기도 했다. 이후 명종시대 잇따라 큰불이 나고,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원각사터는 빈터로 남게 된다. 원각사의 역사를 살펴봤을 때 오늘날까지 십층석탑과 탑비가 남아 있는 것은 기적에 가깝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길섶에서] 어떤 배웅/서동철 논설위원

    출근길 광역버스 정류장에는 제법 긴 줄이 만들어진다. 어느 날 초로(初老)의 아주머니가 달음질치다시피 줄에 합류했다. 그러곤 조금 있다 나타난 젊은 여성에게 자리를 물려주는 것이었다. 어머니와 딸인 듯싶었다. 어머니의 미소는 환하기만 했다. 딸이 첫 출근을 하는 날일까. 이렇게 생각이 미치니 딸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표정에서 대견스러움이 묻어나는 것도 같았다. 그런데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같은 모습이었다. 오늘 아침에도 마찬가지였다. 딸을 배웅하는 어머니의 표정은 여전히 흐뭇하기만 했다. 딸은 신입 사원이 아니더라도 지각하면 곱지 않은 눈초리에 시달릴 사회 초년병일 것이다. 그래서 단순한 배웅을 넘어 초조한 딸의 속마음까지 배려하는 것일까. 반면 딸의 표정은 무덤덤하기만 하다. 어머니가 이야기를 건네도 스마트폰만 들여다본다. 딸이 버스에 오르면 어머니는 어디 앉았는지 이리저리 살핀다. 그러다 눈이라도 마주쳤는지 미소를 보낸다. 보지는 못했지만, 이때도 딸은 살가운 표정이 아닐 것이다. 그래도 어머니는 잘 다녀오라는 듯 고개를 끄덕인다. 아침마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나게 하는 모녀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고려 멸망시킨 조선, 왕건 사당 지은 이유는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고려 멸망시킨 조선, 왕건 사당 지은 이유는

    임진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경기 연천 숭의전(崇義殿)에서는 해마다 봄·가을 고려의 태조, 현종, 문종, 원종 제사를 지낸다. 개성 왕씨 중앙종친회가 주관하고 배향된 고려왕조 16공신(功臣)의 후손이 전국에서 찾아와 자리를 함께하는 대제(大祭)는 언제나 성황을 이룬다. ●연천 숭의전, 고려 태조 등 국왕·공신들 배향 조선왕조는 고려왕조를 딛고 일어섰지만, 태조 이성계는 즉위 원년(1392) 고려 태조 왕건의 제사를 국가적 차원에서 지내라고 명한다. 즉위 교서에서 고려의 국호, 의장, 법제를 잇는다고 천명했으니 명분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불가피했을 것이다. 고려에 제사 지내는 공간을 처음에는 태조묘(太祖墓)라 불렀다. 실제로 지금의 연천인 마전 땅 앙암사(仰巖寺)에 사당을 지은 것은 태조 6년(1397)이었다. 태조를 비롯해 혜종, 성종, 현종, 문종, 원종, 충렬왕, 공민왕의 8위를 모셨다. 그런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건국조(建國祖)인 태조가 되자 더이상 ‘태조묘’라고 부르기는 어려워졌을 것이다. 세종실록 19년(1437)에는 ‘사위사(四位祀)가 마전현 서쪽에 있다’는 기록이 보인다. 사위사라고 한 것은 세종 7년(1425) 제사 지내는 고려왕을 8위에서 태조, 현종, 문종, 원종의 4위로 줄였기 때문이다. 태조묘를 사위사로 개칭한 것도 그 직전 어느 시기로 추측할 수 있다. 이후 고려 왕씨로 하여금 제사를 이어 가게 해야 한다는 논의가 구체화되자 문종은 즉위 원년(1451) 충청도 산골에 숨어 살던 고려 현종의 후손 왕우지(王牛知)를 찾아내 왕순례(王循禮)로 이름을 고치고 제사를 받들게 한다. 단종 즉위년(1452) ‘왕순례를 숭의전부사(崇義殿副使)로 삼았다’는 왕조실록 기사가 있는 것을 보면 숭의전이라는 이름도 비슷한 시기에 지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단종 원년에는 배향 16공신도 정해졌다. 배현경과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서희, 강감찬, 윤관, 김부식, 조충, 김취려, 김방경, 안우, 김득배, 이방실, 정몽주가 그들이다. 공신 선정 기준은 ‘특유공어생민’(特有功於生民)에 두었는데, 왕조를 세우고 백성을 국난에서 구한 것을 뜻한다. ●단군 등 고조선·삼국·가야 시조도 모셔 조선은 역대 왕조를 이어 정통성을 가진 왕조라는 명분을 강조하는 데 애썼다.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삼성사(三聖祠)와 기자에 제사 지내는 숭인전(崇仁殿)을 중요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후 역대 왕조의 사당에도 숭(崇) 자 돌림으로 이름을 짓고 왕이 직접 지은 축문과 제물을 보내는 한편 제례와 전각을 관리하는 전감(殿監)에는 벼슬을 내리기도 했다. 삼성사가 황해도 구월산에 있다는 기록은 ‘고려사’에도 나온다. 그런데 조선의 개국공신 하륜이 “단군은 동방의 시조이니 기자와 더불어 한 사당에서 제사 지내야 한다”고 주청하자 태종은 그대로 따른다. 삼성사의 단군 위패는 이때 평양의 기자전으로 옮겨졌고, 세종 11년(1429) 단군과 고구려 시조 동명왕을 합사한 사당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숭령전(崇靈殿)이라 사액한 것은 영조다. 기자를 중요하게 여긴 것은 중국 사신들이 특별한 관심을 표명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조선은 신라, 백제, 가야를 각각 창건한 박혁거세왕, 온조왕, 수로왕의 제당에도 숭덕전(崇德殿), 숭렬전(崇烈殿), 숭선전(崇善殿)이라는 이름을 내린다. 숭덕전은 경주 오릉, 숭렬전은 광주 남한산성, 숭선전은 김해 수로왕릉에 있다. 이 6곳의 사당에 경주의 숭혜전(崇惠殿)과 숭신전(崇信殿)을 더해 8전(八殿)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숭혜전은 경순왕, 숭신전은 탈해왕을 모신다. 신라의 3대성(姓) 경주 박씨, 경주 김씨, 경주 석씨가 별도의 제사 공간을 갖고 있는 셈이다. ●‘숭(崇)’자 돌림 사당 만들어 축문·제물 하사 조선의 옛 왕조에 대한 인식은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전국의 숭자 돌림 사당은 숭의전처럼 각 문중이 주관하는 향사를 이어 오고 있다. 또 단군은 개천절을 정해 국가적으로 기념하고 있지만 고구려는 소외돼 있다. 남북 관계가 어려울수록 고구려와 동명왕을 기리는 볼만한 행사가 어떤 형태로든 하나쯤 있어도 좋을 것 같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씨줄날줄] 무슬림 친화 식당/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무슬림 친화 식당/서동철 논설위원

    중국 베이징에는 뉴자칭전(牛家淸眞) 우양육시장이 있다. 이름처럼 소고기와 양고기를 전문으로 다룬다. 이 시장에 돼지고기는 없다. 그도 그럴 것이 ‘할랄’(Halal) 축산물만 취급하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칭전’(淸眞)이 바로 할랄 식품을 뜻한다. 일반 슈퍼마켓에 진열되어 있는 식품도 이 표시가 있으면 할랄이다. 중국의 무슬림은 전체 인구의 2%인 2600만명이다. 대부분 신장위구르자치구와 닝샤회족(回族)자치구를 비롯한 서북부 지역에 살고 있다. 하지만 베이징과 시안을 비롯한 대도시에도 적지 않은 숫자가 있다. 그렇다 해도 뉴자칭전 시장이 붐비는 것은 이슬람 인구 때문만은 아니다. 중국산 먹거리를 신뢰하지 못하는 베이징 시민 사이에 할랄 식품만큼은 믿을 만하다는 인식이 퍼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그동안 세계 할랄 식품 시장에서 두드러진 모습을 보여 주지는 못했지만, 이슬람 세계의 일원이라는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잠재력은 크다. 특히 시진핑 정부는 현대판 실크로드 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할랄 시장 잠식을 노리고 있다. 2014년에는 닝샤에 할랄 식품 산업단지를 건설하고 닝샤 할랄 식품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인증센터도 설립했다. 할랄은 잘 알려진 대로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도록 허용된 것을 말한다. 반면 하람(Haram)은 금지된 것을 의미한다. 이슬람 경전은 꼼꼼하게 하람을 명시하고 있는데 돼지, 개, 뱀, 악어, 알코올 등이 대표적이다. 하람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제품은 이스티할라(Istihalah)로 분류하는데, 다시 허용된 변화(Istihalah Sahih)와 허용되지 않은 변화(Istihalah Fasidah)로 나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을 숙성한 식초는 허용되는 반면 돼지 기름으로 만든 제과류는 금지된다고 한다. 할랄 식품 인증제도는 뜻밖에 이슬람 국가가 아닌 미국에서 시작됐다. 1960년대 미국 무슬림들이 종교적으로 안전한 식품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도입했다는 것이다. 미국 이슬람식품영양위원회(IFANCA)가 인증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300개 남짓한 정부 또는 민간 인증기관이 있다. 비(非)이슬람 국가에서는 현지 이슬람 종교단체가 할랄 인증을 부여하는 전통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이슬람중앙회(KMF)가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무슬림 친화 식당’ 증명제를 8월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한다. 할랄 정도를 평가해 다섯 단계로 증명서를 발급하는 방식이다. KMF 인증을 받은 식당은 최고 등급이 된다. 한 해 1조 달러가 넘는 세계 할랄 식품 시장 규모는 이슬람권의 소득 증가와 함께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 방문 무슬림도 지난해 74만명에서 올해는 80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어떤 이유에서도 할랄 시장 개척에 머뭇거려서는 안 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불국사 뒤편, 자비심 치솟게 하는 오르막 계단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불국사 뒤편, 자비심 치솟게 하는 오르막 계단

    ‘삼국유사’에 나오는 경주 불국사의 창건 설화는 학창 시절 국사 시간에도 배웠던 것 같다. 잘 알려진 대로 재상 김대성이 경덕왕 10년(751) ‘전세(前世) 부모를 위해 석굴암을, 현세(現世)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창건했다’는 내용이다. ‘김대성이 공사를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죽자 국가가 완성을 보았으니 30년 남짓한 세월이 걸렸다’고 적었다. 그런데 ‘불국사 고금창기(古今創記)’에 나타난 창건 시기와 주체는 전혀 다르다. 528년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이 발원해 창건한 뒤 574년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부인이 중건했고, 훗날 김대성이 크게 개수했다는 것이다. ‘불국사 사적(事蹟)’에는 눌지왕(417~458) 시대 아도화상이 창건했다는 또 다른 이야기도 있다. 어느 시점의 창건 이후 여러 차례 중건을 거쳐 경덕왕대 완성된 것으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지 않을까 싶다. 불국사는 임진왜란으로 2000칸의 대가람이 모두 불타버리고 만다. 선조 37년(1607)부터 순조 5년(1805)에 이르는 40차례 수리 기록이 남아 있다. 최근 서울대 중앙도서관에서 확인된 ‘불국사 복역공덕기(復役功德記)’는 정조 3년(1779)의 복구 공사 과정을 적은 것이다. 당시 불국사 재건에는 지역 유림과 지방관도 힘을 보탰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승려 동은이 1740년 지은 ‘불국사 고금창기’는 ‘삼국유사’를 비롯한 몇 가지 사료를 짜깁기한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주 먼 과거의 사실이 아닌 임진왜란 이후 불국사의 변화에 대한 언급만큼은 어느 정도 신뢰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관음전처럼 남아 있는 기록이 없다시피 하다면 더욱 그렇게 하고 싶어진다. ●불국사 유명세에 가려… 대웅전 돌아가면 보여 하기는 유명세를 타는 문화재가 지천인 불국사에서 관음전을 기억하는 사람부터가 많지 않을 것 같다. 다보탑과 석가탑이 있는 대웅전을 지나 뒤로 돌아가면 나타나는 작은 전각이 관음전이다. 우리 절집을 두고 흔히 자연 지형을 거스르지 않고 살려 지은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불국사는 전체적으로 밋밋한 오르막에 지어졌다. 그런데 관음전에 이르면 갑자기 지형이 산처럼 치솟는다. 관음전 계단은 연세 지긋한 어르신이라면 오르기가 망설여질 만큼 매우 가파르다. 자연 지형을 살렸다기보다는 인위적으로 땅을 돋운 듯하다. 급격한 계단의 기울기 또한 의도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도적으로 돋운 땅… 3대 관음성지 입지와 같아 하기는 한국의 ‘3대 관음성지’는 모두 섬이나 바닷가의 산에 자리잡고 있다.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 석모도 보문사, 남해 금산 보리암이 그렇다. ‘4대 관음성지’로 여수 향일암을 추가하면 입지의 공통점은 더욱 도드라진다. 대개 보살은 진리를 구하면서 중생을 제도(上求菩提 下化衆生)하는 것을 본업으로 하지만, 관음은 중생에게 무한한 대자대비(大慈大悲)를 베푸는 존재다. 절대적 자비심으로 중생을 모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권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불교에서는 믿는다. ●‘절대적 자비’ 관음신앙 상징성 가치 새겨보길 관음신앙은 많은 불교 경전에 모습을 보인다. ‘화엄경’의 관음보살은 남쪽 바닷가의 흰꽃이 만발한 산에 머물면서 사랑으로 중생을 제도한다. ‘법화경’의 관음보살은 마음 깊이 그 이름을 간직하고 염불하면 어떤 어려움도 능히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아미타경’의 관음보살은 아미타불의 뜻을 받들어 중생을 보살피고 극락정토에 왕생하도록 한다. ‘능엄경’의 관음보살도 ‘법화경’에서처럼 현실에서의 고통을 벗어나게 해주는 존재다. ‘고금창기’에는 ‘관음전 주변에 동서 행각과 해안문(海岸門), 낙가교(迦橋), 취죽루(翠竹樓), 연양각(緣楊閣)과 관음보살이 지혜를 밝히던 석등 광명대(光明臺)가 일곽(一廓)을 이루고 있었다’고 묘사했다. ‘화엄경’에 나오는 관음보살 상주처를 상징하는 불사(佛事)와 작명(作名)이 어느 시기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관음신앙의 상징성이 극대화된 관음전의 건축적 가치가 제대로 부각된다면 불국사의 의미는 물론 재미도 더욱 커질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칼럼] 초고속 고령화와 차기 대선

    [서동철 칼럼] 초고속 고령화와 차기 대선

    갈수록 강해지는 일본의 우경화 바람을 보면서 이게 어디 아베 신조 총리 한 사람의 문제일까 싶은 생각이 들곤 한다. 주변 국가를 불쾌하게 만들거나 말거나 아베의 ‘선동’이 지속적으로 먹히고 있는 것은 호응하는 국민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세기 전반 한때의 ‘영화로운 시절’에 향수를 느끼는 국민이 그렇지 않은 국민보다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세계 1위 고령화 국가라는 일본의 처지와 분명히 관계가 없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시아 일대를 장악하고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군국주의 일본을 어린 시절이나마 호흡한 세대는 벌써 70~80대에 접어들었다. 반면 50~60대는 패전(敗戰) 콤플렉스에 시달리면서도 겉으로는 ‘전쟁하지 않는 나라’를 강조하는 이른바 평화헌법 아래 숨죽이고 살았다. 그렇게 유순하고 예의 바른 국민이라는 평판을 얻은 세대지만 발톱을 감추고 있다고 해서 맹수가 아닌 것은 아니다.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보다 익숙한 질서, 그것도 자신들은 화려했다고 생각하는 과거로 회귀하기를 바라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아베는 더이상 본성을 감추고 싶지 않은 세대의 보수적 심성에 불을 질렀을 뿐이다. 일본을 떠올린 것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밝힌 유권자 추이 때문이다. 4·13 총선의 유권자 가운데 60대 이상은 984만명으로 19대 총선의 817만명보다 167만명이나 늘었다고 한다. 20대 총선의 60대 이상 유권자 비율도 23.4%로 지난 총선 당시 20.3%보다 3.1% 포인트나 뛰어올랐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이 2050년이면 일본에 이어 세계 2위 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미국 통계국의 전망도 있다. 그런데 유권자 추이에서 보듯 우리의 고령화 체감도는 미국 통계가 현실을 반영한 것이 맞나 싶게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가 일본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우리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번 총선은 북풍(北風) 논쟁이 사라지고,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야당의 심판론이 먹히지 않으며, 보수 여당과 진보 제1 야당이 각각 영남과 호남의 텃밭을 싹쓸이하는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국민의당 등장에 따라 호남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위협을 느낀 더불어민주당이 일으키려던 이른바 야권 연대 바람이 누구의 마음도 흔들지 못한 채 미풍(微風)에 그친 것도 사실이다. 이렇게 선거판을 흔들 만한 요인이 대부분 사라진 마당에 가장 큰 변수는 오히려 유권자의 고령화가 아닐까 한다. 나이 든다고 모두 보수화한다는 논리가 언제나 적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직접적 이해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더민주는 더더욱 믿고 싶지 않은 가설이다. 더민주 안팎에는 오히려 60대에 진입하고 있는 유권자가 젊은 시절에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민주화운동의 영향권에 있었고, 보수 진영이 정권을 잡은 은퇴 시점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린 세대라는 점에서 오히려 우군(友軍)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조차 없지 않은 것 같다. 고령화의 수혜자가 될 수 있는 새누리당도 선거 운동 막판인데도 지지세가 결집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엄살을 부릴 수밖에 없다. 지지자 상당수가 투표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밝히고 있는 만큼 유리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지하지만 투표할 의사가 없는 유권자는 노년층보다 젊은 층이 더 많다. 늘어난 60대 이상 유권자는 전국 253개 선거구에 그저 기계적으로 배분해도 선거구당 6600명이나 된다. 고령화에 따른 보수화 현상은 아무리 과소평가해도 당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그렇다 해도 총선에서는 고령화의 영향력을 계량화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60대 이상 유권자가 더욱 늘어날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다를 것이다. 이미 지난 대선 결과를 ‘인구 구조의 변화’로 해석하기도 한다. 보수 후보 지지자의 절대수가 진보 후보 지지자를 초과했다는 설명이다. 차기 대선에 대한 여권의 근거 없는 자신감도 실제 근거가 아주 없지는 않다는 것이다. 그러니 아무리 충성도가 높다고는 해도 지난 대선과 다름없이 친노(親)만 껴안고 가는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의 전략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논설위원
  • [씨줄날줄] 산불과 봄바람/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산불과 봄바람/서동철 논설위원

    강원 양양 지역의 산불로 낙산사가 불타 버린 것이 2005년 4월 4일이다. 이날 밤 시작된 산불이 32시간 동안 주변 지역을 휩쓸었다. 낙산사의 큰법당인 원통전을 비롯한 전각 15채가 전소되고 보물로 지정된 동종이 녹아 버렸다. 17개 마을 541채의 건물과 산림 973ha도 사라졌다. 앞서 2000년 4월 7일에는 강릉 동해 삼척 고성 등 강원 4개 시·군과 경북 울진 지역의 산림 2만 3138㏊가 소실됐다. 고성 산불이라고도 하고 동해안 산불이라고도 하는데 피해의 여파는 지금도 작지 않다. 강원 동해안의 산불은 조선시대에도 골칫거리였다. 성종 20년(1489) 2월 24일에는 양양 낙산사 관음전과 간성향교가 불탔다. 관음전은 곧 원통전을 이르니 이때도 낙산사는 전소됐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순조 4년(1804) 3월 3일에는 강원 감사 신헌조가 ‘사나운 바람이 일어나 산불이 크게 번졌는데, 삼척 강릉 양양 간성 고성에서 통천에 이르는 바닷가 여섯 고을에 산불이 번지면서 민가 2600호, 서원 3곳, 사찰 6곳이 불타고 죽은 사람이 61명’이라고 장계를 올렸다. 철종 10년(1859)에도 관동의 양양 통천 간성과 강릉 고성 정선의 산불이 같은 날 일어나 사찰과 초목이 모두 타 버렸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동해안 산불은 대부분 음력 2월 말이나 3월 초에 일어났다. 양력으로 환산하면 4월 초순 언저리에 해당하는 시기가 아닐까 싶다. 성종 순조 철종 시대 동해안 산불의 양상과 최근 고성 산불 및 양양 산불의 양상은 놀라울 정도로 닮아있음을 알 수 있다. 4월 5일은 식목일이다. 일년 중 묘목을 땅에 심어 뿌리 내리기에 가장 좋은 시기를 택해 기념일을 정했을 것이다. 하지만 산불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 또한 이때다. 동해안 산불이 한번 일어나면 대형으로 번지는 이유를 국립기상연구소는 ‘양간지풍’(襄杆之風) 혹은 ‘양강지풍’(襄江之風)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양양과 간성 사이 혹은 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부는 국지적 강풍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서의 차가운 공기층이 태백산맥과 그 상층의 고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역전층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가속이 시작되고, 영동으로 불어 내려가면서 강한 바람을 일으킨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산불은 사람의 부주의로 일어난다. 대형 산불 이후 동해안 지역 주민들이 경계심을 크게 높이고 있는 것은 다행스럽다. 이제는 다른 지역이 문제다. 지난 주말에는 경기 파주와 강원 철원 영월 홍천 평창, 충북 단양과 제천, 충남 천안과 논산에서 잇따라 산불이 났다. 특히 단양 소백산 산불은 국립공원까지 피해를 줬다. 산림청은 성묘객이 늘어날 4~5일 청명과 한식을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대형산불 특별비상경계령’을 내렸다. ‘양간지풍’이 아니라도 봄철에는 전국 어디나 바람이 강하다. 어떤 종류의 불씨도 산에는 아예 가지고 갈 생각을 말아야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경복궁 감싼 삼청동·백운동 물길, 한양 방어의 핵심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경복궁 감싼 삼청동·백운동 물길, 한양 방어의 핵심

    해자(垓子)는 자연 하천을 장애물로 활용하거나 땅을 파서 적이 접근하는 것을 막는 시설이다. 현재 발굴조사가 한창인 경주 월성을 보면 남쪽은 남천을 자연 해자로 활용하고, 이 밖의 방향에는 해자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한성백제의 도읍인 서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역시 해자를 방어시설로 썼다. 평양의 고구려 안학궁도 해자가 있었다. 고려시대는 들판을 비우고 산성에 들어가 외적과 대치하는 이른바 청야입보(淸野立保) 전략을 쓰면서 산성을 중요시했다. 산성의 해자는 지형 특성상 물을 채우지 않고 내부에 장애물을 시설하기도 했는데 옛 역사서들은 지호(地壕)나 황지(隍池)라고도 적었다. ●왜구 침입 빈번했던 해안 읍성, 해자는 필수 조선은 읍성 중심의 방어전략을 수립했다. 산성 대신 견고하게 읍성을 쌓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였다. 세종은 읍성에 옹성과 치성, 해자를 시설하라는 명령도 내렸다.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따르면 당시 전국 330곳의 행정구역 가운데 160곳에 읍성이 있었다고 한다. 여러 개의 읍성을 가진 지역도 있어서 전체 읍성은 190곳에 이르렀고, 179곳은 석축성이었다. 모든 읍성이 해자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 평지 읍성은 해자를 팠다. 특히 왜구의 침입이 빈번했던 삼남(三南)의 해안 읍성은 대부분 해자를 두었다. 충남 서해안의 당진 덕산 해미 결성 보령 한산 서천, 전라도 서남해안의 무장 고창 남원 낙안 광양, 경상도 남해안의 고현 김해 웅천 하동 언양 동래 등의 읍성에는 해자의 흔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이 가운데 해미와 낙안 읍성은 이미 상당 부분 해자의 복원이 이루어졌고, 강진의 전라병영성과 무장·남원 읍성은 현재 해자를 발굴하거나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역대 왕조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래 우리 조상들의 해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뚜렷했음을 보여 준다. 그러니 조선이 왕조를 개창하고 도읍과 왕궁의 입지를 새로 정하는 과정에서도 외침에 대비한 방어시설로 해자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조선은 도읍과 왕궁의 입지를 정하면서 세 차례 대대적인 논쟁을 벌인다. 개성의 왕도를 유지할 것인가, 옮길 것인가 하는 논쟁이 첫 번째다. 처음엔 지금의 충남 계룡시 3군사령부 터를 점찍고 궁궐공사를 벌이다 곧 한강과 북악산 일대로 위치를 바꾼다. 계룡산은 방어력은 뛰어나지만 주변에 강이 없어 세곡 수송에 어려움이 있고 용수도 부족했기 때문이다. 북악산 아래 한양(漢陽)과 신촌과 서강 일대 모악(母岳)을 놓고 벌인 논쟁이 두 번째다. 이후 태조의 왕사(王師) 격인 무학대사 자초와 태조의 총신(寵臣)인 정도전 사이에 한양에 들어설 왕궁의 위치를 놓고 논쟁을 벌인 것이 세 번째다. 무학대사는 정궁(正宮)을 인왕산 아래 동향으로 앉혀야 왕조가 무궁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도전은 북악산 아래 남향으로 궁궐을 짓는 것이 중국의 역대 왕조가 그렇듯 정도라고 주장해 관철시켰다. 그런데 200년 뒤 임진왜란이 일어나 임금은 피난을 떠나고 궁궐은 불타버리는 치욕을 겪자 무학대사의 안목이 옳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야사(野史)로 치부되는 오산 차천로(1556∼1610)의 수필집 ‘오산설림초고’에 나오는 이야기다. 차천로는 글 말미에 ‘정도전이 무학의 말이 옮음을 알지 못함은 아니었지만 다른 마음이 있어 듣지 아니한 것’이라고 했다. 차천로는 정도전을 역심(逆心)이 가득한 인물로 묘사한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 시각이나 개인적 원한을 배제하면 정도전의 손을 들어주지 않을 수 없다. 북악산 아래가 옳았던 것은 궁궐 동쪽의 삼청동천과 서쪽의 백운동천이라는 자연 해자의 존재 때문이다. 오늘날 중학천으로 불리는 삼청동천은 삼청계곡에서 발원해 경복궁 담장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뒷길을 따라 흐르다 청계천에 합류한다. 백운동천은 자하문터널 쪽에서 시작되어 자하문로와 세종문화회관 뒷길을 지나 역시 청계천과 합쳐진다. ●정도전, 북악산과 자연 해자 감싼 요새에 궁 설계 정도전을 비롯해 한양도성을 설계한 사람들은 궁궐의 효율적인 방어가 가능해야 한다는 원칙에 충실했다. 그 결과 북쪽은 북악산이 가로막고, 동쪽과 서쪽은 깊이가 상당한 하천이 남쪽에서 합류해 자연 해자 역할을 하는 자리에 경복궁을 앉혔다. 궁궐 남쪽으로는 육조거리를 조성했다. 해자의 보호를 받는 곳에 국가의 중추기관을 집중시킨 것이다. 이런 상징성이 있는 ‘경복궁 자연 해자’를 일제강점기도 아닌 20세기 후반 우리 손으로 복개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삼청동길과 자하문로 아래로는 지금도 삼청동천과 백운동천이 흐른다. 복개가 이루어지기 전 삼청동천 사진을 보면 바닥은 깊고, 호안은 다듬은 돌을 수직으로 쌓아 궁궐을 방어하는 시설이라는 인식이 분명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가 수도를 개성에서 한강과 북악산 일대로 옮기겠다는 한 구상 자체가 효율적인 방어가 목적이었을 것이다. 새로운 도성은 북서쪽으로는 임진강, 남동쪽으로는 한강이 거대한 자연 해자의 역할을 한다. 한양파(派)가 모악파를 누른 것도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여 외적 방어에 이로운 한양의 지형적 특성이 결정적 역할을 했을 것이다. 북악산파가 인왕산파를 누른 것은 자연 해자로서 삼청동천과 백운동천의 역할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 새로운 도읍 및 궁궐의 입지를 둘러싼 논쟁은 단순한 풍수지리적 견해차가 이유는 아니었다. 세 차례 논쟁에서 방어력을 조금이라도 높이려는 쪽이 언제나 승리했다는 것이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씨줄날줄] 경주 발굴 100년 계획/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경주 발굴 100년 계획/서동철 논설위원

    앞으로 경주 여행을 떠난다면 월성(月城)을 일정에 꼭 넣는 것이 좋겠다. ‘신라 왕궁 발굴 현장’이라는 의미 있는 볼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3월부터 20만 7000㎡에 이르는 월성을 정밀 발굴 조사하고 있다. 월성 내부에 만들어 놓은 전망대에 오르면 남쪽으로 발굴 현장의 전모가 한눈에 들어온다. 모습을 드러낸 옛 건물의 흔적에서는 기하학적 아름다움마저 느껴진다. 고개를 들면 멀리 부드러운 산등성이가 보인다. 남산(南山)이다. 남산이 왜 남산인지 이곳에 서면 무릎을 치게 된다. 엊그제 지난 1년 월성 발굴의 성과가 공개됐다. 8세기 후반의 밀집 건물터를 확인했다는 것이 가장 큰 뉴스였다. 관청 이름 등의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여럿 확인됐고, 흙으로 만든 벼루 파편도 50점 이상 출토됐다. 그럼에도 ‘황금의 나라’에 걸맞은 ‘화려한 유물’은 없었다. ‘보통 사람의 기대’에는 한참을 못 미친다. 발굴의 목적은 유물 수습이 아니라 역사의 복원이다. 월성 발굴의 목적 역시 경주문화재연구소가 밝힌 대로 ‘신라 궁성 역사의 체계적 복원’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월성은 신라 제5대 파사왕 22년(101) 쌓기 시작해 왕조가 막을 내린 935년까지 궁성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럼에도 발굴 조사에서 월성이 왕성이라는 것을 입증할 유물이나 유적은 아직 찾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중요한 성과를 거둔 것이 사실이다. 경주문화재연구소는 월성 내부 두 곳에 4m 깊이의 시굴 구덩이를 팠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 문화층 2개와 고신라시대 문화층 5개를 확인했다. 가장 이른 시기는 4세기라고 한다. 이번에 확인된 밀집 건물 유구는 가장 늦은 문화층이다. 월성 초축 당시 문화층을 찾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다. 이번에 확인된 건물 유구에서는 왕궁의 전각에 걸맞게 정교하게 다듬은 초석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건물의 규모는 크지만 왕과 직접 관계가 있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중심 건물에서 벼루가 대량 출토된 것 역시 행정관청일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삼국통일 이후 왕성이 월성 외곽으로 크게 확장해 나갔다는 학계의 연구 성과와도 일맥상통한다. 나아가 경주문화재연구소는 통일 이후 신라 왕궁의 중심이 월성 내부에 머물지 않고 외부로 옮겨졌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한다. 동궁과 월지 주변뿐 아니라 월성에서 북천(北川)에 이르는 경주 시가지의 상당 부분이 왕궁 영역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번에 확인한 마지막 문화층을 발굴하는 데도 10년은 걸릴 것으로 경주연구소는 보고 있다. 그러니 월성의 정밀 발굴을 마무리하고, 월성 밖의 왕궁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확인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경주 발굴 100년 계획’을 세우는 것은 빠를수록 좋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길섶에서] 도자기 역사 몰아주기/서동철 논설위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시대 궁중의 먹을거리 공급을 맡은 관청이다. 사옹원의 그릇 공장인 분원(分院)은 땔감을 찾아 경기도 광주 일대를 옮겨 다녔다. 그러다 영조 시대 땔감을 수운으로 충당할 수 있는 한강 지류 우천(牛川) 변에 정착했다. 사옹원 기관 명칭은 그대로 마을 이름이 됐다. 잠깐이지만 이 동네에서 살았던 인연이 있다. 분원리는 남종면에 속한다. 그런데 광주 땅 동북쪽 끝에 남종(南終), 즉 ‘남쪽 끝’이라는 지명이 붙은 이유가 오랫동안 궁금했다. 최근 우연히 양평의 지명 변천사를 보다가 의문이 풀렸다. 양평군은 양근군과 지평군이 고종 시대 통합되면서 생긴 이름이다. 곧 남종면은 양근군의 남쪽 끝이었다. 남종면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양평군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군에 편입됐다. 분원리는 왕실 그릇 공장이 있던 동안 내내 광주 땅이 아니라 양평 땅이었다. 광주는 명실상부한 조선 도자기 역사의 중심지이다. 실제 왕실 도자기 역사의 대부분은 광주에서 쌓아 올렸다. 하지만 양평도 영예의 상당 부분을 나눠 가져야 했다. 도자기 역사를 광주에 몰아주려는 의도가 담긴 행정구역 개편은 아니었을까 소설을 써 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툇마루 끝까지 늘린 창호, 옹색한 임시 궁궐의 흔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툇마루 끝까지 늘린 창호, 옹색한 임시 궁궐의 흔적

    임진왜란 당시 의주로 피난을 떠났던 선조는 전세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자 한양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은 불타버려 남아 있는 전각이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은 이 과정을 비교적 사실적으로 적었다. 선조 25년(1592) 4월 14일의 기록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경복궁 대신 월산대군 사저로 ‘궁성에 불이 났다. 임금이 탄 수레가 의주로 떠나려 할 즈음 간악한 백성이 먼저 내탕고에 들어가 보물을 다투어 가졌는데, 이윽고 난민(民)이 크게 일어나 먼저 장례원과 형조를 불태웠으니 두 곳에 공사 노비의 문적(文籍)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마침내 궁성의 창고를 크게 노략하고 불을 질러 흔적을 없앴다’ 이듬해 10월 1일 아침 벽제역을 출발한 선조는 저녁 무렵 서울의 월산대군 집에 들었다. 월산대군의 후손이 살고 있었다. 이날 월산대군 사저를 행궁(行宮)으로 삼았다는 기사는 ‘선조실록’의 ‘수정실록’에 보인다. 행궁으로 공식화하는 절차상 문제는 신경 쓸 겨를조차 없는 다급한 상황이었을 것이다. 한 나라의 왕실과 조정이 쓰기에 월산대군 집만으로는 당연히 좁았다. 이웃 계림군의 집도 행궁에 포함시켜 각 관서를 들였다. 청양군 심의겸의 집은 세자궁(東宮)으로 삼았다. 그러니 세자가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려면 민가 골목을 이리저리 돌아 입궁해야 할 만큼 옹색했다. 1597년 일대에 목책을 둘러치고 문을 달면서 임시 궁성은 모습을 갖추었다. ●규모 갖춘 덕수궁은 대한제국 성립 이후에야 덕수궁의 역사는 이렇게 초라하게 시작됐다. 오늘날 대한문으로 들어가면 정전인 중화전을 중심으로 편전인 경효전과 침전인 함녕전이 규모 있게 자리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대한제국 성립 이후의 역사를 보여줄 뿐이다. 임진왜란 당시 행궁의 흔적은 중화전 뒤편 단청도 입히지 않은 석어당(昔御堂)과 즉조당(卽祚堂)에 남아 있다. 행궁의 정전(正殿)으로 쓰인 즉조당의 규모는 세도가의 사랑채 수준을 넘어서지 않는다. 비좁은 즉조당에서 열린 조회(朝會)는 초라했을 것이다. 당시의 옹색한 처지는 석어당과 즉조당, 그리고 즉조당과 이어붙인 준명당(浚明堂) 뒤편으로 가면 더욱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비좁은 전각을 최대한 넓게 쓰려는 듯 오늘날 아파트 베란다를 확장하듯 창호를 툇마루 끝까지 늘려놓은 모습이 인상적이다. 월산대군은 세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 큰아들이니 세조의 큰손자다. 도원군은 세자로 책봉됐지만 18세에 죽는 바람에 세자빈 한씨는 궁궐 밖으로 나가야 했다. 이때 왕실에서 지어준 집이 훗날 월산대군 사저다. 한씨는 두 아들을 두었는데, 곧 월산대군과 자을산군이다. 자을산군이 성종으로 등극하고, 한씨도 입궐하자 월산대군 후손이 대를 물려 살았다. 임시 궁궐은 정릉동 행궁이라고 불렀다. 지금의 미국대사관저 언저리에 태조의 제2비인 신덕왕후의 무덤인 정릉(貞陵)이 있었기 때문이다. 태종은 등극 1년 만에 이 배다른 어머니의 묘소를 당시 양주땅인 오늘날 돈암동 고개 너머로 옮기고 석재는 광통교 복구공사에 쓰게 했다. 이장에 앞서 능역(域)을 크게 축소했는데, 이때 조선왕조 개창 공신들이 다투어 땅을 차지하고 왕실도 상당 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던 듯하다. 지금의 중구 정동이다. ●문화재청, 29일부터 석어당 등 전각 내부 공개 선조는 정릉동 행궁에 16년을 머물다 즉위 41년(1608) 승하한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것도 훗날 영조가 즉조당으로 이름 붙인 행궁의 서청(西廳)이었다. 광해군은 한때 창덕궁에 환궁했다가 정릉동 행궁으로 돌아와 경운궁이라 이름 짓고 한동안 머문다. 인목대비가 유폐된 서궁(西宮)도, 반정(反政)으로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가 즉위한 곳도 여기다. 중화전을 비롯해 행궁 권역을 둘러싼 전각은 1902년 완성됐다. 하지만 석어당과 즉조전은 물론 중화전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각은 1904년 대화재로 주저앉고 만다. 석어당과 즉조전의 복구는 즉각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역사성은 어쩔 수 없게 훼손됐다. 우리에게 익숙한 덕수궁이라는 이름은 고종이 1907년 순종에게 양위한 뒤 이곳에 살면서 붙인 것이다. 마침 문화재청은 오는 29일부터 4월 3일부터 석어당 등 덕수궁 전각의 내부를 공개하는 ‘궁궐 내부를 엿보다’ 행사를 갖는다고 한다. 즉조당은 지금도 정면에서 내부를 볼 수 있다. 글 사진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길섶에서] 백반(白飯)/서동철 논설위원

    호남 지역으로 봄나들이 간다는 사람이 있으면 일행을 최소한 세 사람은 만들어 가라고 충고한다. 먹거리로 유명한 고장일수록 한두 사람으로는 갖가지 메뉴를 골고루 맛보기 어려우니 아쉬움만 커진다. 지역 별미의 하나로 꼽히는 한정식도 4인분 한 상을 기준으로 내는 집이 많다. 그러니 호남 먹거리 여행의 최적 인원은 4명인 셈이다. 그런데 한두 사람이라도 실망만 하지 않는 것이 또한 호남 먹거리 여행의 매력이다. 언젠가 이 고장에 혼자서 출장을 갔을 때도 그랬다. 당연히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는 없었지만, 이 고장 특유의 메뉴인 백반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었다. 백반은 최근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이른바 집밥과 닮은꼴이라면 이해가 빠르지 않을까 싶다. 지난 주말 전북 완주에서도 그랬다. 금강산이 이보다 수려할까 싶은 대둔산을 지나치자 배가 고프기 시작했다. 천년고찰이라는 안심사에서 멀지 않은 곳에 ‘백반 전문’이라고 써 붙여 놓은 집이 보였다. 시골 밥집에 많은 것을 바랄 수는 없다. 8000원짜리 백반이 화려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래도 작은 기대는 어긋나지 않았다. 성심껏 대접받은 느낌이었다. 백반의 힘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씨줄날줄] 전기차와 제주도/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전기차와 제주도/서동철 논설위원

    전기차는 자동차의 미래이기도 하지만, 자동차의 과거이기도 하다. 오늘날 대부분의 자동차는 동력원으로 내연기관을 쓴다. 휘발유나 경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내연기관은 1860년을 전후해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전기 모터를 동력으로 쓰는 자동차는 이보다 빠른 1830년 안팎 등장한다. 전기 모터와 축전지 기술이 급속 진보한 데 따른 것이다. 1900년대 뉴욕에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전기차가 더 많았다. 1897년에는 전기 택시도 공급되기 시작했다. 당연히 전기차 충전소도 여러 곳 들어섰다. ‘발명의 아버지’로 알려진 토머스 에디슨도 전기차 개발자로 나섰다. 프랑스에서는 1900년 전기자동차를 파리 소방차로 썼다. 독일의 페르디난트 포르셰는 1898년 전기차 ‘포르셰 P1’을 개발했다. 전기 모터 2개가 장착된 최고 시속 35㎞의 P1은 80㎞의 거리를 달릴 수 있었다고 한다. 전기차의 역사에서 기억해야 할 사람으로 니콜라 테슬라가 있다.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 사람인 테슬라는 교류가 직류보다 전송 효율이 높다는 것을 증명한 인물이다. 교류가 이른바 ‘전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인데, 테슬라에게 패한 직류파의 대표가 에디슨이었다. 테슬라는 25개국에서 300개 남짓한 특허를 획득했다고 한다. 세계 전기차 업계의 선두 주자인 미국의 테슬라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전기차는 과거나 현재나 냄새와 소음이 없는 반면 차값은 비싼데도 주행거리는 짧다. 과거 전기차가 시장을 장악한 것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불편함이 더 컸기 때문이다. 당시 내연기관 차는 오늘날과 달리 전기로 돌리는 시동 모터가 없었다. 차 밖에서 크랭크를 돌려 시동을 걸어야 했는데, 상당한 고역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런데 미국 전역에서 대형 유전이 개발되고 휘발유 값이 떨어지면서 내연기관 차와 전기차의 상황은 역전된다. 여기에 컨베어벨트를 이용한 대량 생산 방식으로 포드 자동차가 1908년 전기차의 4분의1 값으로 T형차를 내놓았다. 1911년에는 발전기와 결합한 시동 모터가 캐딜락 자동차부터 장착되기 시작했다. 유럽에서도 내연기관 자동차의 성능은 크게 향상된다. 전기차는 인기를 잃어 갔다. 상황은 바뀌어 전기차 시대가 다시 도래하고 있다. ‘세계 유일의 순수 전기차 축제’라는 ‘국제 전기자동차 엑스포’가 제주에서 열리고 있는 것은 흥미롭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으로 거듭난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엑스포는 세계 전기차 시장의 ‘테스트베드’로 시장을 선도해 간다는 의지에 따라 세 번째 마련됐다. 주행 거리는 길지 않아도 좋지만 탄소 배출은 전혀 없어야 하는 제주도의 미래 운행 환경에 전기차는 최적이다. 제주도가 전기차의 운행 천국에 그치지 말고, 개발 성지(聖地)로도 우뚝 섰으면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완주, 임진왜란 이치전투 ‘의병비’ 제막

    완주, 임진왜란 이치전투 ‘의병비’ 제막

    임진왜란 당시 왜군과 맞서 싸우다 순국한 400명의 무명 의병을 기리는 비석 제막식이 19일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복리 이치(梨峙) 전적지에서 424년 만에 열렸다. 완주문화원 주최의 제막식에는 비석 건립을 주도한 나종우 전북역사문화학회 회장과 이종철 전 한국전통문화대학 총장, 박성일 완주군수, 의병 후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배티재로도 불리는 이치에서는 1592년 8월 27일 조총으로 무장한 1만 왜군에게 농민 의병이 백병전을 벌이다가 전원이 순국했다.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히는 권율 장군의 이치대첩에 이어 농민 의병의 이치 결사 항전으로 조선은 전주성을 지키고 호남 곡창지대를 방어할 수 있었다. 도원수 권율 장군과 동복현감 황진의 승전을 기념하는 대첩비가 이치 정상을 경계로 충남 금산과 완주에 각각 세워졌다. 완주 서동철 기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당간과 당간지주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당간과 당간지주

    웬만큼 역사가 있고 규모도 갖춘 절이라면 들머리에는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세워져 있기 마련이다. 두 개의 기다란 네모꼴 석재를 위로 올라갈수록 갸름하게 깎아 마주 세워 놓은 바로 그것이다. 당간지주는 쇠로 만든 당간을 튼튼하게 고정시키는 구실을 하는 구조물이다. 당간은 일종의 깃대라 할 수 있다. 꼭대기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았다. 부처의 세계와 속세를 가르고 삿(邪)된 것을 물리치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니 당간은 본격적인 사찰의 영역에 들어서기 직전에 자리잡는다. 절에 들어서는 사람들은 당간을 보고 마음을 추스른다. ●절 입구서 삿된 것을 물리치는 의미 당간과 지주에 깃발까지 갖춘 구조물 전체를 ‘삼국유사’는 법당(法幢)이라고 불렀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것만 23기에 이르고, 고려·조선시대 것까지 합치면 수백 기에 이른다. 사찰을 구성하는 데 빠져서는 안 될 요소라는 인식의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현재까지 당간과 지주가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은 한 기도 없다. 불완전한 모습의 당간조차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만 남아 있다. 충북 청주 용두사터와 충남 공주 갑사, 경기 안성 칠장사 것이 대표적이다. 모두 철제 원통을 아래위로 연결해 높이 세웠다. 국보로 지정된 용두사 당간은 64㎝ 높이의 원통을 이어 만들었다. 당간에 새겨진 ‘용두사철당기’(龍頭寺鐵幢記)에 따르면 원통은 애초 30개였지만 지금은 20개만 남아 있다. 용두사가 건재하던 시절의 법당은 원통 높이만 19.2m에 이르는 당당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293자에 이르는 철당기는 아래부터 세 번째 철통에 돋을새김돼 있다. 고려 광종 13년(962) 청주 지역의 호족 일가가 사찰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지역에 전염병이 돌자 부처에게 재앙의 예방과 사후의 극락 천도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법당을 세웠다고 적었다. 보물인 갑사 당간은 통일신라시대 중기 양식이다. 기단의 네 면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지름 50㎝의 원통 24개가 남아 있다. 당초에는 28개였지만 고종 30년(1893) 벼락을 맞는 바람에 4개가 떨어져 나갔다고 한다. 경기도유형문화재인 칠장사 당간은 조선시대 조성된 것으로 30개의 원통이 있었지만 지금은 15개만 보인다. 당간의 높이는 9.9m다. 이 3기의 당간으로 원형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지만 그래도 깃대봉에 해당하는 꼭대기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기 어려웠다. 다만 리움박물관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금동용두보당(銅龍頭寶幢)의 존재로 당간의 온전한 모습을 짐작만 할 뿐이었다. 그런데 1977년 어느 날, 국립경주박물관에 가마니에 싸인 무거운 수하물 하나가 배달됐다. 풀어 보니 황금빛이 찬란한 용의 머리였다. 당간(幢竿)의 꼭대기 부분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지 않았다. 턱밑에 도르레가 있었기 때문이다. 깃발을 달아 끌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마을 입구에 세우는 솟대… 안녕·풍요 기원 지금은 국립대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금동용머리는 경북 영주시 풍기읍에서 하수도 공사를 하다 발견됐다고 한다. 9세기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높이가 65㎝, 대각선 길이는 80㎝에 이른다. 이런 크기의 금속제 장식품을 올렸다면 당간의 규모도 상당했을 것이다. 영주에는 풍기에서 멀지 않은 숙수사터에 훌륭한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가 있다. 의상대사가 조성한 부석사에도 당간을 잃은 지주가 남아 있다. 풍기읍내에서 찾아낸 용머리 장식을 숙수사나 부석사 당간과 연결 지어 상상해 보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법당의 유행을 전통적인 천신(天神) 숭배와 연관 짓기도 한다. 강원도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당간을 짐대라고도 부른다. 짐대란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입구에 세우는 솟대의 다른 이름이다. 솟대가 마을 어귀에서 내부를 성역화하듯 당간도 사역(寺域)을 성역화하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법당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에서도 만들어졌다. 중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것은 둔황 막고굴(莫高窟) 제331굴 것이 유일하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서울 흥천사 감로왕도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서울 흥천사 감로왕도

    감로탱(甘露幀)은 외래 종교인 불교를 한국인들이 얼마나 창조적으로 해석하고 신앙했는지 보여 주는 불교 회화이다. 전생에 지은 죄에 따라 육도윤회(六道輪廻)에 고통받는 중생이 구제 과정을 거쳐 극락에 이른다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감로탱 중생이 구제 통해 극락 이른다는 내용 감로탱화, 감로도, 감로왕도라고도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과거-현재-미래가 인과관계로 연결되는 3단 구성으로 그려졌다. 아래부터 지옥도와 아귀도에서 헤매는 중생도 단이슬(甘露)이 상징하는 풍성한 음식이 베풀어진 의식을 거치고 나면 부처가 머물고 있는 세계로 올라설 수 있음을 상징한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감로탱은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빠져 고통받는 어머니를 구하려 도움을 청하자 부처가 가르쳐 준 방법을 담은 그림이다. 부처의 가르침대로 산천에 떠도는 외로운 영혼을 천도하기 위한 수륙재나 조상을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우란분재에서 쓰였다. 이렇듯 경전 내용을 의식용 그림으로 재창조한 독창적인 그림이 불교가 극심한 탄압을 받던 조선시대 꽃을 피웠다는 것은 흥미롭다. 제작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은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에 있는 약산사 감로탱(1589)이다. 감로탱은 하단의 육도윤회상이 조성 당시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풍속화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39년 조성된 서울 돈암동 흥천사 감로왕도는 특히 일제강점기 사회상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흥천사는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무덤인 정릉의 원찰이다. 공주 마곡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계룡산파 화맥(畵脈)의 보응 문성(普應 文性)과 그의 제자인 남산 병문(南山 炳文)이 그렸다. 두 화승은 기존의 감로왕도 도상을 바탕으로 당시의 핵심적 사회상을 서양화법으로 과감하게 담아냈다. 남산 병문은 사회주의 문화예술 운동에 가담한 것으로도 알려진다. 한국 현대 미술의 1세대 조각가로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를 주도한 김복진과도 교류했다. 1949년 출범한 불교미술연구회에 미술부장으로 참여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6.25전쟁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흥천사 감로왕도 1939년 현실에 맞게 재해석 당시는 중일전쟁이 한창이었고, 일본이 1941년 미국의 진주만을 공격하기 직전이었다. 두 화승은 이 언저리의 시대상을 먹선으로 분할한 31개의 화면에 담았다. 전투함이 돌진하고 전투기가 날아가는 가운데 엄청난 위력을 가진 포탄이 여기저기서 터지는가 하면, 육군은 기세등등하게 탱크를 앞세우고 상대 진영을 불바다로 만들고 있다. 지옥도 빠져 고통받는 중생의 모습이 바로 이럴 것이다. 일제가 남산에 세운 조선신궁과 침략의 본거지 통감부의 모습도 사실적으로 담았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설치된 통감부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총독부로 바뀌었으니 당대의 모습은 아니다. 자동차 여행, 기차가 다니는 어촌, 코끼리 서커스단, 전당포, 전신주 공사, 전화 거는 모습, 스케이트 타는 모습 등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문물의 양상도 펼쳐진다. 흥천사 감로왕도는 최근까지 전쟁 장면이 담긴 몇몇 장면은 호분칠을 하고 흰 종이로 가려놓기도 했다. 지난해 불교중앙박물관 전시회에서는 종이를 모두 떼어냈지만 하단의 오른쪽 맨 아래 장총을 둘러메고 일렬로 행진하는 일본군의 모습은 호분칠이 짙어 흐릿하게 보일 정도다. 흥천사 감로왕도에 담긴 새로운 사회상은 이 그림을 한때 일제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목적을 가진 불화(佛畵)로 분류하게 만든 이유가 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당대 삶의 모습을 가감 없이 투영한 이 그림을 20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불교 회화의 하나로 재평가하는 분위기다. 서울시는 이 그림이 보존 및 활용 가치가 큰 근대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등록문화재 지정을 최근 문화재청에 요청했다고 한다. 글 사진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길섶에서] 명당자리/서동철 논설위원

    출퇴근 길에 타는 광역급행버스는 크게 불만이 없을 만큼 쾌적하다. M버스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이 교통수단은 입석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 시간 가까이 타고 있어야 하니 옆자리에 누가 앉는지가 중요하다. 웬만하면 체구가 작은 여성 옆에 앉으려 한다. 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비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니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 우등고속버스가 아니라면 비슷한 체구의 남자 둘이 끼어 앉으면 편안할 수 없다. 봄이 오다가 겨울로 돌아가 옷을 껴입어야 하는 어제오늘 같은 날씨엔 특히 더 그렇다. 그래서 그런지 슬림한 여성을 버스 파트너로 선호하는 사람이 나뿐만은 아닌 것 같다. 알고 보면 옆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무신경’을 넘어선 ‘안하무인’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많다. 최근에는 나와 비슷한 ‘뚱뚱한 중늙은이’들이 비교적 버스 파트너에 대한 배려가 깊다는 것을 경험으로 깨닫고 있다. 처음 옆자리에 끼어 앉을 때는 ‘이거 편치 않게 됐군’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불편을 느끼지 못할 때가 많다. 처지가 비슷하니 옆 사람을 배려해야 한다는 생각도 비슷한 것일까. 날씬한 사람 옆자리만 명당은 아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씨줄날줄] 이세돌의 돌(乭)과 둘(乧), 톨(㐋), 할(乤)/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세돌의 돌(乭)과 둘(乧), 톨(㐋), 할(乤)/서동철 논설위원

    인공지능(AI) 알파바둑(AlphaGo)에 첫판을 내주기는 했지만 이세돌(李世乭)은 이름부터 범상치 않다. ‘세상의 돌’이라는 뜻이니 바둑으로 세상을 평정할 조건을 벌써부터 갖추어 놓은 것이다. 돌(乭) 자는 우리가 만든 한자(漢字)다. 돌 석(石)이 의미를 담고 있는 요소라면, 새 을(乙)은 리을(ㄹ) 받침의 음가를 이룬다. 중국 언론은 돌의 의미를 취해 ‘이세석’(李世石), 일본 언론은 음을 취해 ‘이세도루’라 표기하고 있다. 이두, 향찰, 구결에서 보듯 우리는 일찍부터 한자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여 썼다. 돌(乭) 같은 고유 한자도 이미 ‘삼국유사’에서부터 나타난다. 한자가 유입된 초기에는 순우리말 사람 이름이나 땅 이름을 표기하기가 더욱 어려웠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다산 정약용(1762∼1836)과 오주 이규경(1788∼1863)이 각각 ‘아언각비‘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적지 않게 다루었다. 학계에 따르면 이렇게 만들어진 고유 한자는 1000개가 넘는다고 한다. 중국에는 없는 사람 이름과 땅, 동물, 식물, 관직, 생활도구 등의 이름이 많다. 지금도 사람 이름으로 심심치 않게 쓰는 글자가 이세돌의 ‘돌’ 자다. 과거 돌은 역시 고유한자인 쇠(釗) 자와 짝을 이루어 돌쇠라는 우리말 이름을 표기하는 데 쓰였다. 돌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고유 한자가 갈(乫), 걸(乬), 둘(乧), 톨(㐋), 할(乤) 등이다. 한자와 한글을 혼합해 새로운 글자를 만든 것도 있다. 임꺽정을 표기할 때 쓰는 걱(巪) 자가 그렇고, 놈(㖈), 둑(㪲), 둔(䜳), 둥(㪳), 억(㫇) 자가 그렇다. 한자에 쌀 미(米) 자가 있지만, 쌀(㐘)이라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쓴 것도 흥미롭다.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보위에 오르기 전 잘산군(乽山君)이었는지, 자을산군(者乙山君)이었는지 종종 논란이 일기도 한다. ‘조선왕조실록’은 일관되게 자을산군이라고 표기했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잘산군에 봉해졌다’는 표현이 있다. 잘산군이라고 부르되 공식 표기는 자을산군이라고 했는지 모를 일이다. 돌고래 국(䱡), 족제비 광(㹰), 망둥어 망(䰶), 가자미 첩(鯜), 민어 회(鮰), 대구 화(夻) 자 등 동물과 어류를 이르는 글자도 적지 않게 만들어 썼다. 중국에는 없거나 흔치 않아 글자가 없거나 있어도 용례를 찾기 어려운 글자였을 것이다. 알파바둑 열풍이 일본말 ‘고’(碁·기)가 국제어로 완전히 자리를 굳히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부수가 돌 석(石)인 이 글자는 돌을 사용하는 이 게임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보여 준다. 게다가 일본은 현대적인 바둑의 룰을 정착시킨 것도 사실이다. 반면 한자의 바둑을 가리키는 나무 목(木) 변의 기(棋)자는 상대적으로 변화를 담아내지 못한 낡은 글자다. 한국에는 순우리말 ‘바둑’이 있다. 이번 기회에 바둑이라는 한국말을 세계에 각인시키는 노력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아쉽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여자프로농구] MVP보다 빛난 6관왕

    [여자프로농구] MVP보다 빛난 6관왕

    “진짜 가족 알 기회 없어”… 눈물 우리은행 양지희 첫 MVP 영예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보다 6관왕이 더 주목받았다. 할머니가 한국인이어서 국내 선수로 올 시즌 데뷔한 첼시 리(27·KEB하나은행)는 7일 서울 영등포구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93표 가운데 90표를 얻어 신인상을 수상했다. 정규리그 35경기를 모두 뛰어 득점(15.2점)과 리바운드(10.4개), 2점 야투 성공률(58.76%), 공헌도(1084.65점) 1위를 모두 휩쓸고 베스트 5에도 뽑힌 그는 시상대에 여섯 차례나 올랐다. 창단 후 처음으로 팀을 플레이오프(PO)에 진출시킨 그는 “어릴 때 입양이 돼서 다른 가족의 손에서 자랐다”며 “진짜 가족을 알 기회가 없었던 점이 아쉽다”고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또 “한국계라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해 한국에 대해 더 배우려고 노력 중”이라며 “‘감사합니다’와 ‘밥은 어디 있느냐’는 말을 처음 배웠다”고 털어놓았다. 귀화한 뒤 국가대표팀 발탁이 거론되는 데 대해선 “영광으로 생각하며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우리은행을 4년 연속 정규리그 우승으로 이끈 양지희(32)는 93표 가운데 36표를 얻어 팀 선배 임영희(34표)를 두 표 차로 누르고 MVP 영예를 차지했다. 그 역시 35경기에 모두 출전해 10.3득점 6.1리바운드 2.7어시스트 공헌도 824.6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2012~13시즌부터 임영희-박혜진-박혜진-양지희 순으로 4년 연속 MVP를 배출했다. 이어 진행된 PO 미디어데이 도중 박종천 하나은행 감독이 위성우 우리은행 감독을 겨냥해 “맨날 먹던 그 나물에 그 밥, 별로 안 좋아하죠?“라고 겨냥했다. 위 감독은 이에 “일단 (챔피언결정전에) 올라오셔야 뭘 하든지 할 것 아니냐“고 맞받았다. 10일부터 하나은행과 3전 2선승제 PO를 펼치는 KB스타즈의 서동철 감독은 “올해 3년째인데 그동안 3위와 2위를 해봤으니 올해는 한 계단 더 올라가고 싶다”고 각오를 드러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 [씨줄날줄] 한성백제역(驛)/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한성백제역(驛)/서동철 논설위원

    지난해 3월 개통한 KTX 호남고속철도 공주역은 마치 거대한 유령(幽靈)의 집처럼 허허벌판에 덩그러니 서 있다. 지역의 정치논리에 따라 충청남도 공주, 부여, 논산 시가지의 ‘물리적 중심’에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고속철 개통에 앞서 백제 옛 땅의 핵심 지역을 지나는 상징성을 살려 ‘백제역’이라고 부르자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공주역의 지난해 하루 평균 이용객은 387명에 그쳤다. 위치 선정에 문제가 적지 않았다고 해도 공주·부여의 백제문화를 찾아가는 유일한 철도역이다. 더구나 광주송정역 방면의 다음 정거장은 46㎞ 떨어진 익산역이다. 공주·부여·익산의 백제역사유적지구는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백제역’ 명명(命名)은 세계유산의 상징성을 이용객 증가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그런데 우리에게 없는 백제역이 일본에는 있다. 백제도래인의 터전이었던 오사카 히라노의 구다라에키(百濟驛)가 그것이다. 19세기 말 새로운 정촌제(町村制)에 따라 고대 구다라고우리(百濟郡)에 미나미구다라손(南百濟村)과 기타구다라손(北百濟村)이 생겼고 구다라에키도 들어섰다. 주변에는 구다라라는 이름의 전차 정류소도 있었다. 구다라에키는 여객역이었지만 지금은 화물전용역이다. 서울에서도 ‘백제역’을 세우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지금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일대에서는 지하철 9호선의 3단계 구간 공사가 한창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는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과 한성백제박물관이 있다. 이 구간을 통과하는 ‘935역’의 이름을 ‘한성백제역’이나 ‘한성백제박물관역’으로 짓자는 것이다. 물론 기존의 서울 지하철에도 한성백제의 역사성을 담은 역 이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역시 올림픽공원 주변을 지나는 8호선에 몽촌토성역이 있고 8호선과 5호선이 교차하는 천호역의 이름에는 괄호에 ‘풍납토성’이 덧붙여져 있다. 한성백제역이 더해진다면 일대가 왕도(王道)라는 사실은 더욱 확실히 부각될 것이다. 구태여 다시 설명할 것도 없지만, 서울은 한성백제의 역사가 깃든 고도(古都)이다. BC 18년 한강유역에서 건국한 백제는 475년 고구려에 밀려 수도를 공주로 옮겼고 538년 다시 부여로 옮겼다. 660년 나당연합군의 침공으로 멸망했으니 백제 678년 역사에서 공주·부여·익산에 도읍한 기간은 185년에 그친다. 그럼에도 세계유산 등재에서 한성백제는 빠졌다. 서울시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한성백제 유적의 세계유산 확장 등재를 위한 협약 체결을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세계유산 등재에 가장 중요한 조건은 유적의 진정성이고, 진정성은 주민의 의지에 달려 있다. ‘한성백제역’은 시민의 애정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높아진 한성백제에 대한 애정이 다시 세계유산 확장 등재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