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공명했다” 61.9%/「미디어리서치」전화여론조사
◎“전혀 공명하지 못했다“ 응답 2.7%에 그쳐/신한국수도권승리 이유 “「안정속 개혁」 평가”
이번 총선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응답자의 61.9%가 공명했다고 평가했고 후보선택의 기준으로는 지역사회의 기여 가능성과 개인의 능력등을 크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소장 정구호)가 총선 이후 실시한 전화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11.7%는 「매우 공명했다」,50.2%는 「대체로 공명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별로 공명치 못했다」가 25.6%,「전혀 공명하지 못했다」는 대답도 2.7%를 차지했다.
「투표한 후보를 결정한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지역발전 기여도 및 가능성」이 28.7%,「능력과 정치적 영향력」이 27.1%,「후보의 소속정당」이 19.4%,「후보의 도덕성과 참신성」이 18.2%를 차지했다.그러나 일부지역에서 지역정당 구도가 더욱 짙어진 선거 결과에도 불구하고 투표한 이유가 「후보의 출신지역이나 연고」라고 답한 사람은 5·4%에 불과했다.
「이번 선거 결과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는 38.2%가 「안정에 대한 기대」,22.7%가 「정치권의 세대교체에 대한 기대」,12.9%가 「정부의 개혁정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6.1%가 「김대중씨의 정계복귀에 대한 심판」이라고 응답,신한국당이 선전하게 된 이유를 뚜렷이 드러냈다.
반면 「야당의 경제기능 강화」는 6.1%,「내각제 추진에 대한 기대」는 3.1%에 그쳤다.
신한국당이 수도권에서 승리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21.7%가 「정부의 개혁에 대한 평가」,14.4%가 「참신한 후보 공천」,13.9%가 「개혁인사 영입」이라고 답해 신한국당의 정국운영과 총선 전략에 두루 높은 평가를 보냈다.여기에 「야권분열」이라는 응답이 18.6%,「김대중씨의 정계복귀」가 7.3%를 차지했다.
지역주의 문제에 대해서는 36.5%가 「더 심화됐다」,27.7%는 「더 완화됐다」고 답하는 등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그러나 29.0%가 「전과 비슷하다」고 응답,「더 심화됐다」는 응답을 포함하면 65.5%가 지역감정이 여전히 반영된 것으로 평가했다.
「앞으로 정부여당의 추진과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36.9%가 「삶의질 향상 등 민생개혁」이라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활개혁」에 기대를 표시했다.또 「부정부패 척결 등 지속적인 개혁」이 28.2%,「역사바로세우기 등 과거청산」이 15.9%,「정치풍토 개혁을 위한 노력」이 14.3%를 차지,중단없는 개혁에 대한 요구도 적지않음을 증명했다.
정국애 대한 전망은 65.1%가 「대체로 안정될 것」,5.4%가 「매우 안정될 것」이라고 응답,70.5%가 안정될 것으로 봤다.반면 「대체로 불안정해 질 것」은 18.3%,「매우 불안정해 질 것」은 0.8%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 17일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1천5백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서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