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군화 착용단속법 사라진다/정부,시대맞지않는 법령 3건 정비
◎출납장부 「일·이·삼」 등 한자표기 폐지/외국민간원조단체법도 현실과 “거리”
정부가 최근 부처간 회의를 통해 정비키로 한 법령 가운데는 30여년간 역할을 마치거나,시대에 맞지 않아 「용도폐기」되는 법률들이 들어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폐기될 운명을 맞은 법은 ▲61년 의 「재정법규에 의거한 출납계산의 숫자 및 기재사항 정정법」 ▲63년의 「외국민간원조단체법」 ▲73년의 「군복 및 군용장구단속법」 등 3개.법률제정 당시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빛바랜 사진」같은 아득한 시절의 법률들이다.
군복 및 군용장구단속법은 「군용 표지가 없더라도 형태,색상,구조 등이 군용과 유사해 군복 또는 군용장구와 식별이 극히 곤란한 물품」도 유사 군복·군용장구로 규정,단속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단속의 눈길을 피해 군복을 시커멓게 물들여 입던 경험이 있는 장년층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킬 이 법에 대해 정부는 『국민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존치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단속대상도 사라졌을 뿐더러 신세대의 「밀리터리 룩」(군복차림 패션)이 유행하고 있어 유사 군복과 군용장구에 대한 단속 자체가 무의미해졌다고 판단했기 때문.
「재정법규에 의거한 출납계산의 숫자 및 기재사항 정정법」은 금액을 정확하게 기입해야 하는 출납장부 등에 변조가 가능한 「일,이,삼,십」 대신 「일,이,삼,십」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한 것이지만,정부는 『아라비아 숫자를 쓰면서 필요할 경우 한글로 기재하고 있는 관행과 맞지 않는다』며 존폐여부를 검토키로 했다.
외국민간원조단체법은 제1조(목적)에서 「국내에서 외국민간원조단체 사업의 적정을 도모함으로써 사회복지사업의 향상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의 재정마저 외국에 의존한 60년대초 외국민간 원조단체들이 국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실정을 반영한 이 법에 대해서도 정부는 『이제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존치여부를 검토해야 한다』고 용도폐기 시기가 됐음을 지적했다.
이들 법률은 소관부처에서 재검토,폐지하기로 최종 결정이 나면 폐지입법을 통해 법전에서 사라지게 된다.〈서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