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濟 부여 부소산성은 ‘피난城’
사비(부여)는 성왕 16년(538년)에 웅진(공주)에서 천도하여 나당연합군에 멸망한 의자왕 20년(660년)까지 120여년 동안 지속됐던 백제의 도읍지다.사비도성은 왕궁의 배후에 산성을 두고,나성이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다.사비의 도성제는 그동안에도 적지않은 연구가 있었지만 발굴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진전된 성과가 나오고 있다.
'사비도성과 백제의 성곽'을 주제로 9일 부여에서 열린 학술대회는 최근의연구 성과를 점검하는 자리였다.발굴조사의 중심에 섰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뜻깊었다.
다나카 도시아키 일본사가현립대교수와 김영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빙연구원은 부소산성이 유사시에 숨어들어 저항하기 위한 ‘피난성’혹은 ‘도피성’이라는 논리를 폈다.사비의 왕궁은 한성이나 웅진시대와는 달리 왕성 밖으로 나왔고,실제로 사비의 왕궁은 부소산성의 남쪽에 있었다는 설이 대세이기 때문이다.
다나카교수는 그 때문에 배후의 왕성은 피난성으로서의 기능이 강하게 됐고,왕궁을 지키기 위해 나성(羅城)을 쌓은 것으로 보았다.여기에 나성의 바깥에는 서북쪽에 왕흥사금성과 고성성,남쪽에 가림성,동쪽에 석성,동쪽에 이례성을 배치하고,이들 성을 연계시켜 왕도방어를 견고하게 했다.이런 방어체제는 사비로 천도하기 이전에 이미 구상됐음이 분명하다는 설명이다.
김영심연구원도 사비왕도의 범위를 나성 내부만이 아니라 수도방위체계를 이루는 주변의 일부 성을 포함한 지역으로 확장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343만 2,000평에 이르는 나성의 내부가 대부분 늪지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1만여가(家)에 5만여명이 거주했다고 보기에는 의문이 있다는 것이다.능산리사지나 능산리고분군의 위치를 보면 이미 사비천도 전후에 나성과 같은 도성의 외곽이 정해져있었을 터이지만 국가의 중요시설물이 들어서고,인구와 재화가집중됨에 따라 수용한계를 넘었을 때 2차 방비 역할을 한 산성까지 외연의 확대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박순발 충남대교수는 이 대학 백제연구소가 실시한 나성 정밀지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성의구조에 대한 기존 학설에 이의를 제기했다.박교수는 나성이 사비도성을 동서남북으로 감싸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북나성과 동나성,그리고 부소산에서 백마강으로 이어지는 나성의 일부로 되어있고,남나성과 서나성은 일련의 고고학적 조사에서 그 흔적을 전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그런 만큼 자연해자(垓字)로서 백마강의 적극적인 기능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성주탁 충남대 명예교수는 사비가 중국 남조의 건강성(建康城)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설에 대해 백제가 웅진시대부터 북조계의 문화를 폭넓게 수용하기는 했지만,도성제는 중국보다 고구려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평지성과 산성이 결합된 사비성의 구조는 산성과 도시를 결합시킨 웅진시대제도를 계승 발전시킨 것이며,평지성과 산성을 묶은 도성체제는 고구려 초기의 오녀산성과 하고성자,국내성과 위나암성,안학궁지와 대성산성 등의 조합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심정보 대전산업대교수는 사비도성의 축조시기를 기존의 6세기 초반설에서 5세기후반기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먼저 1991년 부소산성 동문지 부근에서 '대통(大通)'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된 데 주목했다.공주 대통사는 삼국유사에도 양나라 대통원년(527년)에 창건된 절이다.기와편이 나온 것은 사비로 천도하기 전에 새 왕도를 건설했다는 사실을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는 동성왕의 3차례에 걸친 사비지역 행차를 사비천도의 준비를 위한 것으로 해석하는 한편 부소산성은 삼국사기의 우두성(牛頭城)으로 보았다.우두성은 동성왕 8년(486년)에 수축이 이루어진 만큼 ‘대통’명 기와는 성곽의 보수와 문루의 정비과정에서 사용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결국 사비도성으로의천도는 538년에 이루어졌지만,준비과정으로 동성왕 8년에서 23년에 이르는486년에서부터 501년까지 부소산성 및 나성 등의 방어시설 축조가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동철기자 dc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