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동철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김문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주현진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황경근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24
  • 민간기업 지원 사실상 원천봉쇄

    문화예술 단체들이 기업으로부터 금품을 모으지 못하도록 관련 법을 고치겠다는 정부의 뜻은 일단 순수하게 출발했다고 보아도 좋을 것 같다.자발성을 가장하여 강압적으로‘부과’하는 각종 준조세에 기업들이 크게 압박을 받아온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안은 ‘삶의 질’을 거론치 않더라도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성이 21세기 지식경제사회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핵심 인프라라는 사실을철저히 간과하고 있다.자발적 기부금까지 규제하는 것은아니라는 행정자치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법률 전문가들은 문화예술계의 기부금 모집행위 일체를 사실상 제한하는것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의 공연예술은 관객 대상으로 표를 팔기에는 한계가 있어 얼마나 기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성패가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예술의전당이나 세종문화회관 같은 공공기관은 물론 상업 매니지먼트사조차 입장권이 매진되더라도 제작비를 건지기 어려운 사례가 적지않은 것이 현실이다.민간 기업의 지원을 원천 봉쇄하는 법안이 통과된다면 음악·무용·연극은 완전히 설 자리를 잃어 버린다는 것이 문화예술계의 우려다. 지역에 비하면 이른바 중앙의 공연예술단체는 그래도 낫다.법안은 지역 축제행사에 문예진흥기금이나 지방문화예술진흥기금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민간은 물론공공기금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지역의 향토축제는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들이지 않으면아예 불가능하게 된다.공연예술은 물론 향토문화 기반까지무너뜨릴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이번 개정안은 무엇보다 문화 선진국들의 문화예술 지원정책을 완벽하게 거스르고 있다.미국과 프랑스·영국·일본 등은 정부의 직접 지원을 지양하고,문화예술에 지원하는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정책을 경쟁적으로 채택하고있다. 우리 정부도 늦었지만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을, 기업활동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볼 것이 아니라 기업의 생산과 고용,그리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건전한 투자라는 개념으로발상 전환을 해야할 시점이다. 서동철기자 dcsuh@
  • 사물놀이 명인 김덕수 ‘장고 산조’첫선

    산조(散調)의 틀을 잡은 사람은 가야금 명인 김창조라고한다.타계한 가야금의 인간문화재 김죽파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그가 19살때인 1883년 산조를 오늘날의 모습으로정형화한 것으로 알려진다.산조는 이후 거문고·대금·해금 등으로 폭을 넓혀갔다.아쟁산조는 국악이 사양길에 접어든 1950년대에야 틀을 갖추었다. 그런데 21세기에 접어든 오늘에도 산조의 영역을 확대함으로서 그 생명력을 잇겠다고 나서는 이가 있다.사물놀이의 명인 김덕수(49)다.다음달 5∼7일 오후 7시 30분 서울문예회관 대극장에서 ‘솔로 콘서트’를 갖는다.45년 장고인생을 갈무리하는 이 자리에서 전례가 없는 ‘장고산조’를 선보인다. 풍물가락과 무속가락을 넘나드는 가운데 장고라는 악기가가진 기운을 최대한 끄집어내면서,자신의 공력을 한껏 시험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김덕수의 시도는 그러나 적지않은 모험이 될 것 같다. 그가 짠 산조는 완주(完奏)하는데 1시간 가량 걸린다. 기존의 가야금 등 선율악기의 산조와 길이는 비슷하다.그러나 장단만으로 일관성과 균형미를 갖추어 그 오랜 시간을의미있게 이끌어가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김덕수의 도박에 실패보다는 성공쪽에 거는 사람이 많은 것은,그가 반세기에 가까운 동안 세상에 내보인 끈질긴 장인정신이 그만큼 믿음을 주었다는 반증이 아닐까.이번 연주회가 성공을 거둔다면 김덕수는 사물놀이에이어 장고산조에서도 ‘창시자’란 명예로운 이름을 얻게될 것이다. 독주회의 2부에서는 ‘사물놀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음악으로의 도전’이라는,지난 10년 동안에 걸쳤던 탐색의 과정을 보여준다.일본의 바이올리니스트 아스카 가네코와 피아니스트 야마시타 료스케가 동참한다. 아스카는 전자 바이올린과 일본 전통현악기, 보컬을 섭렵하는 만능 연주자로 최근에는 아시아권 민족음악에 깊은관심을 갖고 있다.야마시타는 지난 98년 파리 라무뢰 관현악단과 거쉬인의 ‘랩소디 인 블루’를 협연하기도 한 일본의 대표적인 재즈피아니스트이다. 이들이 연주할 ‘도당’은 장고와 피아노를 위한 2중주로경기지역의 무속연희인 도당굿을 바탕으로 한다.서양음악은 물론한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찾기 힘든 5박자 형태의혼합리듬이 많다.‘대감’은 서울굿 12거리 가운데 하나인‘대감놀이’에서 가져온 선법인 창부타령조 선율을 장고장단에 맞추어 바이올린이 짚어간다. 잘 알려진 경상도민요 ‘쾌지나칭칭나네’는 꽹과리 소리를 흉내낸 입장단이라고 한다.농군들의 건강한 흥취를 장고와 피아노·바이올린이 어울려 재현한다. 김덕수는 공연을 앞두고 “나의 예술인생에서 가장 의미있는 것을 사물놀이를 만든 것”이라면서 “다시 장고 하나로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은 사람은 누구나 변화가 필요하고,지금이 그때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감회를 밝혔다.(02)598-8277서동철기자 dcsuh@
  • 일본인 ‘악학궤범’ 3책 한국 기증

    일본인 다나베 히데오(田邊秀雄·88세)씨가 ‘악학궤범(樂學軌範)’ 3책과 ‘진작의궤(進爵儀軌)’ 1책,옛음반 43점을 19일 도쿄 주일 한국문화원에서 한국에 기증한다. 이번에 기증하는 책과 음반은 그의 부친인 다나베 히사오(田邊尙雄)씨가 1920∼1930년대 수집한 것이다. 히사오씨는 음악학자로 1921년부터 한국 등을 찾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글들을 ‘조선·중국음악조사기행’이라는 책으로 펴냈고,이 책은 지난해 말 한국에서도 번역되어 나왔다. 특히 조선총독부가 창경궁 동물원과 이왕직아악부 가운데 하나를 없애려고 하자 “동물은 나중에라도 들여오면 되지만동양문화의 보배를 없애는 것은 인류문화에 큰 죄를 짓는 것”이라고 설득하여 아악부를 존속토록 하는데 역할을 했던인물로 알려진다. ‘악학궤범’은 1493년(성종 24년) 성현(成俔) 등이 악보와악서 등을 정리하여 편찬한 것으로,이번에 기증하는 책은 1743년(영조 19년) 간행 목판본을 베낀 필사본이다. ‘진작의궤’는 1828년(순조 28년) 순조비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의 40세 생일을 맞아 거행된 궁중 연회의식을 기록한 책이다. 함께 기증될 음반은 김계선(金桂善) 지용구(池龍九) 이화중선(李花中仙) 심상건(沈相健) 등 당시 유명한 명인·명창을망라하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이 자료들을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에 넘겨주어 연구자료로 활용토록 할 계획이다. 서동철기자 dcsuh@
  • 남북 체육·문화사업 합의/ 각 분야별 합의사항

    ■문화 분야의 성과는 6·15 남북공동선언일 및 8·15 광복절을 계기로 공동문화행사를 적극 추진하기로 한 데서 찾을수 있다. 즉 공연 및 미술 교류를 확대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 주목된다.우선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오는 6월15일을 전후하여 상당한 규모의 공연 및 전시분야의 교류가 성사될 가능성이 커졌다.김장관은 북한에 머무르는 동안 몇차례 공연을 관람하는 등 이 분야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김장관이 개성지역을 방문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역사도시개성은 남북 연계관광 대상지역이자,현대가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경제특구 조성지역이기도 하다.학계에서 그동안 끊임없이 요청한 개발지역의 문화재 공동조사 문제도 어떤 형태로든 북쪽에 전달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서동철기자. ■오사카 세계탁구선수권대회(4월23∼5월5일) 남북단일팀구성 합의는 그동안 간헐적으로 이뤄져 온 남북 체육교류가급물살을 탈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미 남북간에는 각 종목에서 적지 않은 교류가 이뤄져 왔다.올해 들어서만도 대한양궁협회가북한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의 장비 지원 요청에 따라 이달 초 양궁세트 100개를 북한에 보냈고 일본 오카야마 태생인 조총련계축구선수 양규사(22·북한 축구대표선수)가 국내 프로축구울산 현대 입단을 타진하고 있는 게 대표적인 사례.앞으로도 스포츠 교류 가능성은 다양하게 열려 있다.이번 김한길문화관광부 장관의 방북에서도 논의된 경평축구 부활이나 2002월드컵축구대회 분산개최,부산 아시안게임 단일팀 구성등 큰 현안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곽영완기자 kwyoung@.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의 방북을 계기로 금강산 관광사업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금강산 관광지역이 내금강으로까지확대되고 개성관광도 이뤄질 것같다. 김 장관이 방북중 북한측으로부터 개성·고성·내금강 지역의 관광특구 지정을 재확인받음으로써 좌초위기에 놓였던금강산 관광사업에 숨통이 트이게 된 것이다.특히 현대와북한이 금강산관광대가 유예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펴 온 가운데 북한측이 정부당국에 이례적으로 관광특구의 지정의지를 분명히 한것은 북한이 금강산관광사업을 중단할 의사가없음을 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경우 내금강 등 금강산관광코스와 자유통행지역 확대를통한 금강산관광 활성화가 본격 이뤄질 전망이다.고성∼간성간 육상 관광로의 개설논의도 본격화될 수 있다. 주병철기자 bcjoo@
  • 남북 체육·문화사업 합의/ 김장관 일문일답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은 14일 귀국 즉시 4박5일간의 방북성과를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다음은 김 장관과의 일문일답.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났나. 만나지 못했다.문화,체육,관광 등 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협의를 가졌다.방북을 초청한 김용순 아태평화위원회 위원장도 만나지 못했다. ■김용순 위원장이 초청자인데 못 만난 이유는. 김 위원장이 급한 일이 있어 평양 밖에 있다고 설명했다.김위원장은 나중에 이번에 불가피하게 못만나 유감이라면서다음엔 꼭 만나겠다는 뜻을 전해왔다. ■5차 남북 장관회담 연기와 관련한 논의는. 어제(13일) 송호경 아태평화위 부위원장과의 회담에서 질문했더니 송 부위원장은 ‘이번 문화장관회담과는 관계가 없으며,그것(남북장관급회담)은 딴 쪽에서 하는 일이라서 모른다’고만 답했다.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없었다. ■북한의 내년 부산아시안게임 참가 여부는. 북측은 참가신청마감인 9월까지는 시간이 있는 만큼 일단시간을 갖고 논의하자고 했다.부정적이지는 않았다. ■현대의 금강산 관광 사업에대한 논의를 했는지. 우리 정부가 이 문제에 나서주기를 요구하는 북측의 발언이있었다. 그러나 그 점에 있어 정부는 불개입 원칙을 갖고있다고 설명했다.또한 문화관광부 장관으로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월드컵 분산개최 문제는. 첫 회담에서 제기했다.지금까지 입장과 마찬가지로 시기적으로 어렵다는 것이었다.경평축구 부활도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시기 등은 나중에 생각해보자고해 올해내에는 힘들것 같다. ■남북연계관광 시기는. 구체적인 추진일정은 2차 문화장관회담에서 논의할 것이다. 개성의 경우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어야 하는 만큼 9월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본다.북한의 경우 관광특구 지정을 위해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얘기도 했다.북한인사의 한라산 방문은 머지않아,4월중에는 실현될 것으로 본다. ■이번에 공동합의문이나 보도문을 내지않고 구두합의만 한이유는. 이번에는 협의하러 간 것이다.북한도 합의문 작성에대해부담스러워했고 남한측 제의에 대해 내부적으로 토론할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북한이 5차장관급회담을 연기하면서 김 장관을 초청한 이유는.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참가신청 마감이 3월15일이기 때문에시간이 없는 만큼그렇게 초청한 것이다.북한은 당초 내가 8일 방문하기를 원했었다. 서동철기자 dcsuh@
  • 김동욱교수 내일 LA서 심포지엄

    천문현상은 주자로 대표되는 중국 송대 유학자들에게 중요한 학문적 대상이었다고 한다.물론 천체를 관측해서 순환의 법칙 등을 규명해보려고 그런 관심을 쏟은 것은 아니었다.우주의 구조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스스로의 본성을 키워나가야하는가라는 철학적인 문제가 관심사였다. 성리학에 절대적 가치를 두던 조선시대 선비들도 마찬가지였다.여헌 장현광(旅軒 張顯光·1554∼1637)은 정치적 혼란기에 일생의 대부분을 시골에서 지냈다.17세기 초 경상도 한외진 곳에 은거지를 얻었다.입암(立巖)이라는 큰 바위가 있는 곳이다. 여헌은 은거지를 정하고는 집터와 주변 산과 시내,골짜기 28곳에 이름을 지었다.입암 초입은 은거자를 부른다는 뜻으로초은(招隱),연못은 귀를 씻는다는 뜻으로 세이담(洗耳潭)하는 식이다. 그리곤 입암을 북극성에,주변 28곳은 28성좌에 견주었다.입암 옆 평평한 바위 계구대(戒懼臺)는 28성좌의 첫번째인 각수(角宿),입암 곁에 서 있는 일곱개의 돌 상두석(象斗石)은북두칠성으로 삼았다. 무슨 뜻을 담고 있을까.김동욱 경기대교수(한국건축사)가 의미를 찾는 작업을 했다.‘조선중기 은거선비의 집터와 별자리의 관계’라는 논문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하여 미국로스앤젤레스 카운티박물관에서 16∼18일 열리는 ‘한국미술사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표된다. 김교수에 따르면 조선의 선비들은 자신의 은거지를 다양하게 해석하고 비유했다.그 과정에서 고유한 건축 및 자연관이싹텄다.여헌이 은거지를 별자리에 비유한 것도 이런 다양한해석의 하나라는 것이다. 28성좌(宿)는 고대 중국의 별자리 개념이다.별자리는 인간사회의 질서를 상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여헌이 입암 주변 28곳을 28성좌에 견준 것도 이에 근거한 것이다.여헌은별자리에 대비시켜 이름을 짓고 의미를 찾았지만,관념적인숫자와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머물렀고,실제 별자리 위치를자연 지형에 대비시킨 것은 아니었다.별자리 이름붙이기는초야에 묻혀사는 성리학자의 관념적 유희에 불과했을까. 김교수는 여헌의 작업을 자신의 거처를 우주의 중심으로 바라보는 존재에 대한 자신감의 산물로 보았다.나아가 황폐한땅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삶의 터전으로 가꾸는 긍정적인결과를 낳았다.조선 중기 지식인들이 갖고 있던 학문적 자신감을 바탕으로,생활터전을 적극 경영한 성과였다는 것이다. 입암촌은 경북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에 있다.입암과 주변 경관은 지금도 잘 보존되고 있다.여헌이 이름지은 28곳도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마을은 교육열이 높아 이름난 학자나 문필가도 상당수 배출됐다고 한다.하늘의 별자리를 자신이 사는마을에 재현코자 했던 한 유학자의 꿈이 마을을 번영으로 이끈 힘으로 작용한 셈이다. 더불어 현실세계에서 종종 쓰잘 데 없는 것으로 치부되곤하는 성리학적 관념세계가,실천이 뒷받침될 때 어떤 힘을 발휘하는지 여헌과 입암촌의 관계는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서동철기자 dcsuh@
  • “”개성·금강산전역 관광특구로””

    남북한은 연계관광을 활성화하기로 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개성과 우리측 강원 고성의 내금강을 포함한 금강산 전역을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문제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또 다음달 23일부터 5월5일까지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리는 제46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남북이 각각 25명씩 총50명 규모의 단일팀을 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이와 함께 예술단 상호방문,문화재 전시 등을 포함한 ‘남북 문화·관광·체육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체결과 남북 문화장관회담 정례화도 적극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제2차남북 문화장관회담에서 이 문제를 계속 논의하기로 의견을모았다. 지난 10일부터 4박5일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14일 저녁 돌아온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은 김포공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남북한 탁구 단일팀의 호칭과 단기,응원가 등은 지난 91년 지바(千葉)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참가 때 합의내용을 선례로 삼기로 하는 등 교류·협력에 관한 구두 합의가 있었다”면서 “내일 남북한 탁구협회가 국제탁구연맹(ITTF)에 단일팀 참가를 신청키로 했다”고밝혔다. 북측의 이같은 태도는 전날 남북 장관급회담을 무기 연기시킨 것과 관련,정치·군사 등 긴장완화와 문화·관광·체육 분야 및 이산가족 상봉을 포함한 교류·협력 분야를 분리하려는 전략으로 선회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어주목된다. 또 “회담에서 북측이 현대의 금강산관광 대금 지불문제에우리정부가 관여하기를 바라는 듯한 발언이 있었다”고 전하고 “그러나 정부의 불개입 원칙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북측은 아울러 2002년 월드컵 분산개최에 대해서는 “시기적으로 현실성이 부족하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고 김 장관은 전했다. 김 장관은 방북기간 중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과 김용순(金容淳) 아·태평화위 위원장을 만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김 장관은 평양과 개성을 방문해 문화유적을 둘러보고예술공연 등을 관람했으며,강능수 문화상 등 북측 문화관련고위급 당국자와 7차례의 회담을 가진 뒤 중국 선양(瀋陽)을 거쳐 돌아왔다. 서동철 이춘규 박준석 기자 dcsuh@
  • 건원 1400주년 국립국악원 기념공연

    국립국악원이 개원 50주년을 맞았다.국악원이 문을 연 것은1951년 4월10일.6·25 피난 시절 부산 용두산 아래 한 초등학교 분교에 간판을 달았다. 음악을 관장하는 국가기관의 역사는 그러나 훨씬 거슬러 올라가,7세기 신라시대 음성서(陰聲署)가 효시라고 한다.올해를 건원(建元) 1400주년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다. 고려시대에는 대악서(大樂署)와 전악서(典樂署),조선시대에는 전악서·아악서(雅樂署)·장악원(掌樂院)으로 전성기를누렸다.일제강점기에는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해방이후에는 구황궁(舊皇宮)아악부로 명맥을 이었다. 이렇듯 ‘개원 50주년,건원 1400주년’을 맞은 국악원이 4월10일부터 5월18일까지 다양한 기념공연을 펼친다. ●궁중연례악 ‘왕조의 꿈,태평서곡’은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무대작품으로 재현하는 것.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를 바탕으로 한영우 서울대교수가 고증,송혜진 국악원 학예연구관이 구성을 맡는 학구적인 무대이다.다음달 10∼15일 예악당과 로비·광장을 모두 활용한다. ●민속악제전‘흥과 신명,그 생명의 바람’은 19·20일 예악당 무대에 오른다.민속악의 명창·명인이 대거 출연하여민속악이 가진 신명 뿐 아니라,그 음악적 깊이를 보여준다. ●불교예술의 미(美) ‘영산재’는 26·27일 공연된다.영산재는 악·가·무 일체라는 전통예술의 특징을 집약적으로보여주는 불교의식.국악원과 영산재보존회가 힘을 모아 처음으로 무대작품화를 시도한다. ●어린이 무용극 ‘콩쥐랑 팥쥐랑’은 5월 4·5일,악·가·무 ‘사철가’는 10·11일 각각 무대에 올려진다.‘사철가’는 남원의 국립민속국악원이 역량을 선보이는 자리가 될것으로 기대된다.기념공연은 17·18일 제52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로 마무리된다. 예악당에서 대형무대가 꾸며지는동안 소극장격인 우면당에서는 ‘우리시대 명인의 무대’가 4월 한달동안 펼쳐진다. 매주 화·목요일 열리는 기존의 판소리 한마당을 ‘업그레이드’시켜 명인·명창의 축하무대로 구성한다. 한편 공식 기념행사에 앞서 14·15일 오후7시30분 진도군민속예술단이 삼별초 항쟁을 다룬 ‘진도에 또 하나의 고려있었네’를 예악당에서 공연한다. 국립남도국악원이 2004년까지 진도에 세워지게 된 것을 축하하는 뜻도 담고 있다. 서동철기자 dcsuh@
  • ‘草笛의 명인‘ 박찬범씨 “풀피리 한번 들으면 반해요”

    “나무 이파리 네 개면 하루 연주회가 너끈한데 5,000만원짜리 바이올린은 뭐고,1억원 짜리는 또 뭐에 쓴답니까.” 초적(草笛)의 명인 박찬범에게 “악기값 안들어 좋겠다”고 하자 이런 대답이 건너왔다.초적이란,쉽게 말해서 풀피리다.그는 오는 11일 오후2시 국립민속박물관 강당(02-734-1341)에서 초적 연주회를 갖는다. 박찬범은 풀피리로 지난해 서울시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됐다.풀피리도 어느새 당당한 전통 예능으로 대접받은 셈이다. 조선 성종24년(1493년)에 초적을 당당한 향(鄕)악기의 반열에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니 그 전통은 생각보다 깊은 것 같다. 그가 이번에 들려줄 곡은 자작곡 ‘강산풍월’과 ‘파장’,그리고 아쟁 임정화,가야금 신재희,장고 차봉환 등이 함께하는 시나위 등이다.‘강산풍월’과 시나위에는 이영옥의 살풀이도 곁들인다.가벼운 민요나 부는 것으로 알았던 풀피리로도 구색을 제대로 갖춘 연주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의 풀피리 솜씨는 대물림한 결과다.고향인 전남 영암에서 풀피리로 ‘한가닥’하는 부친에게서 8살 무렵부터 배웠다. 이후 피리로 연주할 수 있는 정통가락은 대부분 섭렵했다.실력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7년전.친구들과 찾은 술집에서 심심풀이로 선보인 ‘칠갑산’가락을 방송국 관계자가 듣고 KBS에 출연하면서 ‘뜨기’시작했다.98년 9월 정동극장에서 초적연주회를 가진 데 이어 99년 1월에는 국립극장에서 중앙국악관현악단과 연주했다.이 악단과는 다음달 고향 영암에서열리는 왕인박사 축제서 다시 한번 협연한다. 그가 연주회에 앞서 반드시 찾아가야 하는 곳은 단골 화원. 나무 이파리라면 무엇이든 ‘악기’가 되지만,귤과 유자나무가 으뜸.눈·비·바람을 겪을수록 깊은 소리를 낸다.윤기나는 이파리 몇개를 꺾어들면 연주회 준비는 끝난다. “옛날에는 풀피리한다고 멸시도 많이 받았다”는 그는 “그러나 연주할 때마다 사람들이 좋아하고,제자도 십여명이나 기르는 요즘은 정말 흐뭇하면서 어깨도 무겁다”고 말했다. 서동철기자 dcsuh@
  • “”신화를 역사속으로…”” 획기적 변화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놓아라.내어놓지 않으면 구워먹으리라.(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가야의 건국설화에 나오는 유명한 노래 ‘구지가(龜旨歌)’다.삼국유사에 전하는 가야 건국설화에 따르면 가야 땅을 다스리던 아홉 우두머리(九干)가 구지봉에 모여 제사를 지내는데,문득 하늘에서 알 여섯개가 담긴 금합이 자주색 끈에 매달려 내려왔다.그 알이 차례로 깨어지며 아이가 하나씩 나왔는데,맨 먼저 나온 이가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이라는 것이다. 가야의 아홉 우두머리가 새로운 왕을 염원하면서 ‘구지가’를 부르고,하늘에서 여섯개의 알이 내려왔다는 곳이 바로경남 김해시 구산동에 있는 구지봉(龜旨峰)이다.높이가 200m에 불과해 봉(峰)이라고 부르기에도 조금은 민망한 소나무동산이다. 문화재청이 지난 6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 구지봉을사적 제429호로 지정했다.신화(神話)를 당당히 역사에 편입시켜 보호하겠다는 뜻으로 문화재 정책의 획기적인 변화라할 만하다. 사적(史蹟)이라는 단어를 풀어보면 ‘역사’와 ‘흔적’으로 나눌 수 있다.그러나 구지봉에는 설화는 있지만 삼국유사기록 그대로가 역사적 사실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과거의 흔적’이라는 측면에서도 구지봉은 보잘 것 없다. 정상부에는 서기전 4세기쯤의 것으로 보이는 남방식 지석묘가 하나 있다.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수로왕이 탄강(誕降)한것이 서기 42년이라니,가야 건국설화와는 관계가 없다.상석에 ‘구지봉석(龜旨峰石)’이라고 새겨 있지만,한석봉 글씨로 전하는 만큼 후세에 남긴 것으로 보인다.정상에는 1908년세웠다는 ‘대가락국 태조왕 탄강지지(大駕洛國太祖王誕降之地)’비석도 있다.결국 가야시대 사람의 손에 닿은 흔적은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은 셈이다. 물론 설화적인 이야기를 근거로 사적을 지정한 사례가 전혀없는 것은 아니다. 1968년 사적 제163호로 지정된 경주 낭산(狼山)도 삼국유사에 기록을 남기고 있다.실성왕 12년(413년)에 ‘왕이 낭산에 상서로운 구름이 서린 것을 보고 신하들에게 신선의 영혼(仙靈)이 하늘에서 내려와 노니는 곳이니응당 복지다.이제부터 낭산의 나무 한그루도 베지 말라’고명령하여 ‘신유림(神遊林)’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낭산 일대는 선덕여왕릉과 문무왕 화장터,능지탑,왕실의 원찰인 황복사터와 삼층석탑 등이 있는 문화재 밀집지역이라는 점에서 구지봉과는 다르다.한영우 문화재위원(서울대 교수)은 “구지봉은 거북이가 엎드린 지형을 하고 있는등 설화를 뒷받침해 신비에 싸인 가락국의 실체를 규명할 수있는 중요한 유적”이라면서 “이웃한 김수로왕비 허황후의능 및 김해국립박물관과 연계하여 사적공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동철기자 dcsuh@
  • 파주서 첫연주회 테이프/ 문화부 ‘찾아가는 문화활동’시동

    ‘찾아가는 문화활동’이 시동을 걸었다.지난 1일 그린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경기도 파주 문화의 집에서 연주회를 갖는것으로 테이프를 끊었다.연말까지 모두 2,000여차례 문화예술을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역을 찾아간다. 문화관광부가 주관하는 ‘찾아가는…’의 올해 특징은 지역의 문화예술단체가 대거 투입된다는 것.1990년 출범한 뒤 한동안은 국립예술단체가 주류를 이루었고,이후에도 이른바 중앙의 문화예술단체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사실 ‘찾아가는…’이 의미있는 것은,문화예술 소외지역주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것은 물론 문화예술 단체에 활동무대를 제공하는 등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정책이라는 것.따라서 지역의 문화예술단체를 참여시키는것만으로도 지역문화 활성화에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보인다.그렇다고 기량이 떨어지는 지역단체가 ‘연습공연’정도의 수준을 보여준다면 가뜩이나 소외된 주민들에게 즐거움은 커녕 괴로움을 주기 십상.3월의 ‘찾아가는…’프로그램을 보면,그러나 크게 우려하지는 않아도 될 것같다. 경기 남양주의 극단 길라잡이(031-592-5993)와 대전의 민족예술단 우금치(042-273-2629)는 마당극 분야에서 최근 전국을 통털어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는 단체.길라잡이는 24일 남양주 생활협동조합 마당,31일 남양주 다산묘역에서 ‘밥’을 공연한다.우금치는 8일 고창 독립국악당,17일 정읍시민공원에서 농촌마당극 ‘호미풀이’를,16일 대전 인동시장에서는 ‘인동시장 만세운동’을 재현하며 ‘해야 해야’를 펼친다. 대구에서 활동하는 아동극단 하늘(053-424-9426)은 김천 임마누엘육아원과 경주 불국사성애원·성주 실로암보육원·상주보육원 등 경북지역 6군데 어린이 보호시설을 찾아 인형극 ‘햇님 달님’을 보여준다.이밖에 강원오페라단(02-2256-9900)은 23일 평창문예회관,28일 화성 장안대학에서 ‘해설이있는 음악회’를 열고,호남오페라단(063-288-6807)은 17일순창군민회관,24일 정읍사 문예회관,31일 무주군민회관에서각각 연주회를 갖는다. 서동철기자 dcsuh@
  • 관심모으는 최영도씨 기증품

    고려청자에서 분청사기로,다시 조선백자로….우리 그릇의역사는 누구나 알고 있듯 이렇게 이어진다.그러나 그릇의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현재까지,흔들림없는 위치를 차지하는 그릇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가끔 잊어버린다.바로 질그릇(土器)이다. 최영도 변호사(63)가 평생 모아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대한매일 3월1일자 19면 보도)한 질그릇은 모두 1,578점. 삼한시대에서 가야·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에이르는 각종 질그릇이 망라되어 있다.가야 뿔잔과 신라 굽다리목항아리,백제 세발토기와 통일신라 뼈단지 등 희귀한 유물이 적지 않다. ‘최영도 콜렉션’이 골동품 시장에 나왔다면 수십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박물관측은 추산한다.물론 “그렇게 값을 매기려면 오래전에 사둔 물건은 이자까지 계산해야지”라며 최변호사는 허허 웃었다지만…. 값이 나가는 것은 삼국시대 이전의 희귀하고 모양도 좋은이른바 이형토기들이다.그러나 박물관 관계자들은 “연구자료로서 귀중한 것은 오히려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질그릇들”이라고 입을 모은다.골동품가게 주인도 기껏 몇만원 밖에는 부르지 않을 이 그릇들이,화려하기는 하지만 언제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는 가야나 신라시대 것보다 훨씬 가치 있다는 것이다. 최변호사의 콜렉션에는 고려시대 질그릇 131점과 조선시대것 87점이 포함되어 있다.청자나 분청사기·백자에 가려 존재조차 희미했던 고려·조선시대 질그릇을 이 정도 분량으로 소장한 곳도 별로 없다.따라서 도자기 연구에 상당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리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사실 고려나 조선 질그릇은 무관심 속에 방치됐다고 해도지나치지 않다.질그릇은 도자기 역사에서도 거의 언급되지않았다.“박물관이 고려시대 문화를 보여준다면서 청자만 전시하고 질그릇은 보여주지 않는다면,이 시기에는 질그릇이없었고 청자로 생활용기로 삼은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잘못된 예”라는 윤용이 원광대 교수의 비판을 국립중앙박물관부터 수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고려시대 중국인 서긍(徐兢·1091∼1153)이 쓴 ‘고려도경’에는 “청자가 매우 귀했다”는 표현과 함께 질그릇이 아주 긴요하게,널리 쓰였다는 대목이 있다.또 18세기 유중림(柳重臨)이 쓴 ‘증보산림경제’에도 질그릇이 구체적으로 탕기나 자배기·대호·소호·단지·병·큰독·중독·술통·작은병·장군·다관·화로와 떡시루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다.고려·조선을 통해서 생활용기의 주류는 질그릇이었음을 일러주는 대목이다. 신광섭 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은 “최변호사가 방대한 분량의 토기를 기증함으로서 박물관은 새로운 연구과제를 안게 된 셈”이라면서 “이런 것들이 개인이 소장한 문화재를 박물관에 기증하는 운동이 가진 또 하나의 중요한 부수효과가아니겠는냐”고 반문했다. 서동철기자 dcsuh@
  • 한병삼 前 국립중앙박물관장 별세

    한병삼(韓炳三)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4일 오전 서울 강남삼성의료원에서 별세했다.향년 66세. 문화재위원회 부위원장이자 매장문화재를 담당하는 6분과위원장이던 한 전관장은 지난해 디스크 수술을 받고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최근 지병이 악화돼 입원치료를 받아왔다.1935년 평양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사학과 출신으로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과장,수석학예연구관,경주박물관장,학예실장등의 요직을 두루 거친 뒤 지난 85년부터 92년까지 중앙박물관장을 역임했다.98년 이후에는 동국대 석좌교수와 이 대학매장문화재연구소장을 겸했다.한국 고고학과 국립중앙박물관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홍조근정훈장,은관문화훈장,세계국제문화학술교류상,제1회 웅산각고고학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부인 김화선씨와의 사이에 봉근(MBC PD),봉진(여행사 대표),영아(리엔풍코리아 미주사업부 부장)씨를 두었다.발인은 8일 오전 9시.장지는 경기 일산 동화공원묘지.(02)3410-6914서동철기자 dcsuh@
  • 문화기관 강당활용 제각각

    문화기관을 운영하는 사람은 열린 사고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한다.국립민속박물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을 비교하면그 이유를 확실히 알 수 있다.민속박물관과 중앙도서관은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기관들이다.박물관과 도서관의 개념이 유물이나 정보를 구심으로 한 사회교육센터로 바뀐 것은 벌써오래전.민속박물관과 도서관이 각각 220석과 400석의 강당을갖고 있는 것도 이런 변화와 무관치 않다. 비슷한 여건이지만 두 기관이 강당을 활용하는 방법은 대조적이다.민속박물관 강당은 평일에는 각종 강좌에 쓰지만,주말에는 ‘토요상설무대’와 ‘일요열린무대’라는 이름의 전통연희 공간으로 탈바꿈한다.희망하는 예술인이나 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상설공연위원회에서 선정하면,무대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팸플릿을 만들어주고 적은 액수지만 공연비도지급한다.박물관 관람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한 데 대한 사례금 성격이다. 전통민속은 무대난이 심각한 분야.민속박물관의 상설공연이자리를 잡으면서 최근에는 비중 있는 예술인·단체들이 몰려든다.사물놀이의이광수,무용가 김진홍과 이명자, 퍼포먼스박찬수,나라굿의 유기복 등이 주요 면면이다.그만큼 관심도커지고 있다. 중앙도서관도 한달에 한차례 금난새가 지휘하는 유라시안필하모닉이 연주회를 갖기는 한다.이 강당을 연습장으로 이용하기 때문.지난달 23일 연주회에도 객석이 가득차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본격 공연공간으로 가능성을 입증한 대목이아닐 수 없다.그러나 이 공간은 사실상 닫혀 있다.도서관측은 ‘국유재산관리 규정’을 들어 외부단체는 대관료를 내야한다고 밝힌다.그러나 공연시설로 적합치 않은 강당이 무료일 때는 매력 있지만,대관료를 내라면 어울리지 않는 얘기가된다. 두 기관은 똑 같은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그런데 어떻게 한기관은 예산을 써가며 강당을 활용하고,한 기관은 그냥 비워놓는 것일까.별것 아닌 것으로 치부할 수도 있는 이런 마인드 차이가 민속박물관을 한해에 330만명의 관람객이 찾도록만드는 것은 아닌지,다른 문화기관 운영자들은 심각하게 고민해 보아야 할 일이다. 서동철기자 dcsuh@
  • 무대용품 공동보관소 짓는다

    무대예술가들은 공연 때마다 무대장치와 의상 등에 필요한비용을 어떻게 마련할까 고민한다.그러나 공연이 끝나면,쓰고 난 무대용품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가 적지 않게 걱정스럽다. 공연예술계의 이런 고민이 내년부터는 상당 부분 줄어든다. 문화관광부가 20억원을 들여 무대용품 공동보관시설을 짓기로 했기 때문이다.4월이전 수도권에 부지를 물색,연내에 건평 2,000여평의 보관시설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우리 공연예술계는 공연 때마다 재공연을 고려하지 않은 일회용 무대용품을 만들고 공연이 끝나면 폐기처분하곤 했다. 물자의 낭비도 그렇지만 무대 관련 노하우를 축적할 수 없던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일단 공연예술단체에는 두가지 이점을 준다.대형 공연단체들에게는 비품을 보관하는 창고 구실을 한다.‘명성황후’를 만든 에이콤이나 서울예술단·국립 오페라단·발레단 등이보관시설을 끊임없이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신생 단체나 대학에게는 제작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복음에 가깝다.한 대학이 오페라 ‘라 보엠’을공연키로 했다면,국립오페라단이나 혹은 다른 단체가 보관해 놓은‘라 보엠’의 공연비품을 고스란히 이용할 수 있다.물론 7명으로 구성될 자문위원회가 정할 얼마간의 임대료는 내야한다. 유기선 문화부 공연예술과장은 “기본적으로 무대용품의 재활용을 전제로 하는만큼 대여하지 않겠다면 아예 반입도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같은 차원에서 대여되지 않고 장기간 자리만 차지하는 무대용품엔 더 많은 보관료를 물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동철기자 dcsuh@
  • 기자출신 이중호씨 첫 시집 ‘우리는 정말‘

    시인이 너무 많은 세상이라고 한다.너나 없이 동네문예지에 시 한편을 발표하거나,친구들끼리 만든 ‘동인시집’에 몇편을 실어놓곤 ‘시인’이라는 호칭을 즐긴다. 그런데 번듯한 시집을 펴내놓고도 ‘시인도 아니다’라고주장하는 사람이 있다.‘우리는 정말 너무 모른다’(문학수첩 펴냄)를 낸 이중호다.그는 언론인,그것도 험한 사건기자로 뼈대가 굵어 사회부장과 정치부장을 역임한 신문기자 출신이다. 그런 이력에도 첫시집의 책머리 시에 ‘기자도 아니다’라고 외친 것을 보면,‘시인도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인 것도 더욱 더 시를 쓰고 싶다는 우회적인 표현은 아닌지 모르겠다. 내가 시를 쓰는 것은/…/가슴은 메어 터지고/시간은 너무안타깝다./타는 속을 다 풀어헤치기엔/세상이 너무 좁고/시간이 너무 모자란다.… ‘시를 쓰는 까닭’에선 그의 심경의 일단이 스쳐지나간다. 사실 그의 시는 전통적인 문학 교과서만 기웃거린 배운 사람에게서는 그닥 평가받지 못할 수도 있다.이 시집에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박호영(한성대교수)도 그것이 고민스러웠나보다.그는 이중호의 시를 가리켜 “참신한 비유나 이미지,함축적인 시어,깊이있는 상상력을 기준으로 할 때는 분명 부족한 점이 있다”고 지적한다.그러면서도 “전달하고자 하는메시지라든가 작가로서의 성실성,소격 효과 등을 고려하면또 다른 차원의 시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중호가 시에 대한 기존의 가치를 거부하는 것은 그러나의도적이다. 얄팍한 기교에 때묻지 않고/덜떨어진 이론이나 사상에 곪지않고/…/겉멋에 겨워 속뜻을 잃지 않고/세속의 굴레나 눈치에 얽매이지 않고/읊어지는 대로/누구나 쉽게 가슴으로 읽을 수 있는.…때묻지 않은 시를 쓰고 싶다. ‘때묻지 않은 시’는 나아가 ‘새로운 시학’을 정립하려한다. ‘우리는…’은 상당히 무게있는 주제를 다룬 시편들로 채워져 있다.때문에 그의 시를 철학적 사유의 산물로 보기도한다.그러나 시집을 읽다보면 담겨 있는 메시지는 너와 나의 인생,살아있는 동안 마주치는 모든 것에 대한 깊은 사랑이라고 할 만 하다.인간의 철없음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가득하지만 결국사랑으로 회귀한다.“…찌들고 지친 하늘이라/계수나무는 커녕 토끼도 희미하지만/그래도 아직 서울에 달이살아있다”는 ‘희망’으로 나타난다. 서동철기자 dcsuh@
  • 21세기 문화정책위 발족

    문화관광부는 중장기 문화예술정책 개발과 자문을 위해 정진홍(鄭鎭弘) 서울대 종교학과교수 등 각계 인사 15명으로 ‘21세기 문화정책위원회’를 발족시켰다. 21세기 문화정책위는 한달에 1∼2차례 전체회의를 열어 문화현장과 수요자 중심의 문화예술 정책개발과 문화정책 현안에대한 자문기능을 맡는다. 다음은 21세기 문화정책위원 명단. ▲강교자(康喬子) 대한YWCA연합회 사무총장 ▲강준혁(姜駿赫) 추계예술경영대학원장 ▲김정호(金井昊) 향토문화진흥원장▲김홍식(金鴻植) 명지대 교수 ▲박은주(朴恩珠) 김영사 대표 ▲성제환(成濟煥) 게임종합지원센터 소장 ▲송미숙(宋美淑) 성신여대 교수 ▲이상만(李相萬) 다움문화예술기획연구회 이사장 ▲임영웅(林英雄) 연출가·예술원 회원 ▲전명옥(全明玉) 코코엔터프라이즈 대표 ▲정무형(鄭茂亨) 한림대 교수 ▲정진홍 ▲주진숙(朱眞淑) 중앙대 교수 ▲주철환(朱哲煥) 이화여대 교수 ▲홍기삼(洪起三) 동국대 교수서동철기자 dcsuh@
  • 마한·백제 무덤 발굴

    전북 군산의 백제시대 굴모양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에서둥근 고리가 달린 큰칼(環頭大刀) 3점이 거의 완전한 모습으로 나왔다. 군산대박물관(관장 이용휘)은 지난해 11∼12월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고분군을 조사한 결과 마한 및 백제시대의 무덤 5기를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이 무덤들에서는 환두대도를비롯하여 토기 65점과 철기류 38점,방추차 2점,숫돌 1점,구슬류 190여점 등 300여점의 유물이 쏟아졌다. 큰 항아리(大壺)와 곧추선 넓은 아가리 모양 항아리(廣口直口壺),주둥이가 몸통 한가운데 있는 횡병(橫甁) 등은 서울풍납토성을 제외하면 다른 유적에서는 출토된 예가 없다. 특히 둥근고리가 달린 큰칼은 백제와 신라·가야를 통틀어삼국시대 무덤에서 상당수가 나왔으나,굴모양 돌방무덤에서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굴단은 “이 유적은 마한에서 백제까지 묘제의 변천과정과백제가 수도를 공주로 옮긴 이후 대내외적 관문지로 군산이맡았던 역할을 밝히는 데 값진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굴단은 무덤들의 축조연대에 대해서는 마한 관련 무덤은 4세기 무렵,백제무덤은 6세기 안팎으로 추정했다. 서동철기자 dcsuh@
  • 문화부 청소년국장 김두현씨

    문화관광부는 22일 민간인을 포함하여 공모한 첫 개방형 청소년국장에 김두현(金斗顯) 전 예술원 사무국 관리과장을 임용했다. 김국장은 성균관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행정고시 22회로 관계에 들어가 문화부 청소년수련과장과 청소년기획과장을 거쳤다. 서동철기자 dcsuh@
  • 서울대硏 ‘인문학진흥’ 심포지엄

    인문학이 죽어가고 있다고들 말한다.원인이 무엇인지 비교적 정확한 진단도 내려져 있다.그러나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기 보다는 걱정만 한 것도 사실이다.비로소 인문학자들이 팔을 걷어부치고 ‘환자살리기’에 뛰어들었다.‘인문학 진흥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심포지엄이 그것.인문학을어떻게 치료할 것인지 구체적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한다.서울대 인문학연구소가 마련한 심포지엄은 22일 오후2시 서울염창동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열린다. 제시될 ‘치료법’을 정부나 각 대학당국이 얼마나 수용할지는 미지수지만,상당한 문제의식은 안겨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개선방안의 주요내용. ◆학부제 및 교양 교육 제도(전수용 이화여대 영문과교수)학부제는 근간을 이루는 몇몇 학과를 존폐위기에 몰아넣는등 인문학 교육의 기반을 흔들고 있다.학부제 취지를 살리려면 전문대학원제를 빨리 확립하던가,여건에 따라 학부제를유보하여 학과제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학부제는 인문학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질높은 교양교양을 전제로 해야한다.대형강좌가 불가피하다면 전임교원 한 사람에게만 강의를 전담시킬 것이 아니라,한 시간은 전임교원이 강의하고 나머지는 보조강사가 조별로 토론식으로 수업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강사제도(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교수) 시간강사는 교원의 한 단계로 직업화했다.불안정한 신분구조와 열악한 처우에따른 교육 부실화라는 폐단은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전가된다.현재 6개월인 고용계약기간을 최소 1년으로 늘려야 한다.‘시간강사’라는 명칭을 ‘외래교수’나 ‘연구강사’‘단기교수’로 고쳐 적합한 처우와 연구여건을 제공해야 한다. 시간강사는 현재 1주일 6시간의 강의를 기준으로 한달에 50만원 정도를 받는다.최저생계비에 준하는 기본급을 보장하고,방학 기간의 연구비도 정례화해야 한다.각 대학이 강사의처우를 개선한 실태를 정부가 파악하여 대학지원에 반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연구 및 학문 후속세대 지원(장춘익 한림대 철학과교수)인문학 지원체계가 학문적 특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재원을 확대하고,다수 연구자들의 연구의욕을 고취해 각분야의 주제들이 소홀히 취급되지 않도록,기존의 소수 다액주의를 다수 중액주의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작은 규모의 세미나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한 학술재단이 연구모임에 장소와 매달 10만원만 지원했는데도 호응이 좋았다.연구비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다학문적 접근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연구소 및 연구원 제도(주경철 서울대 서양사학과교수) 국가 차원의 순수 인문학연구소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민간 차원에서도 사화과학 분야는 연구소가 인력을 흡수하는데 인문학은 그렇지 못하다.긴급한 분야는 국가가 직접 ‘한국윤리문제연구원’이나 ‘한국번역연구원’같은 국책 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국책 연구소와 대학연구소의 중간 형태로몇개 대학이 협력해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에 국가가 지원하는,대학간 연구소 설립도 추진해야 한다.가장 현실적인안은 대학 연구소를 활용하는 것이다.지원 대상이 되는 대학 연구소에는 반드시 유급 전임연구원을 두도록 해야 한다.우수한 소장 연구자들을 제도권으로 흡수하기위해서도 이는꼭 필요하다. 서동철기자 dcsuh@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