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메이커 “이젠 공연장 마케팅”
예술의전당에서 만드는 월간 공연정보지 10월호에는 3건의 자동차 광고가 실렸다.쌍용자동차의 체어맨와 르노삼성자동차의 SM3,미국 크라이슬러의 지프 체로키가 그것이다.
예술의전당은 명실상부한 한국 최고의 공연장이다.공연정보지 역시 최고의 공연을 즐기는 단골손님들이 독자다.
이른바 ‘해외 명품’의 광고가 많이 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4700㏄ 짜리 체로키도 같은 차원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자동차의 광고가 공연정보지에 실리는 것은 최근의 일이다.물론 과거에도 국산 자동차 광고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하지만 구매력있는 사람들이 보는 잡지에 광고를 낸다는 마케팅 개념이 아니라,주변 눈길을 의식한 ‘기부’의 차원이었다.그러나 체어맨과 SM3 광고를 보면 상황이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M3는 이른바 준중형급 승용차이다.한국시장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등급이다.현대와 대우,기아 등 경쟁사가 모두 같은 급을 생산한다.SM3는 사실 경쟁차종에 비하여 광고 처럼 크게 고급스럽지는 않다.
따라서 공연정보지에 SM3 광고는자연스럽지 않을 수도 있다.최고급 차종인 SM525가 좀 더 어울리는지도 모른다.그러나 르노삼성은 오히려 고급 예술에 편승하여 중급차의 이미지를 높이고자 했다.세계적 명품시계 광고 바로 옆에 SM3 광고를 배치한 것도 의식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SM3에 비하면 국산 최고급 대형승용차의 하나인 체어맨이 고급 공연정보지에 광고를 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그러나 이 당연한 일을 오랫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었다.
쌍용자동차가 ‘정신을 차린’것은 올 봄이다.체어맨과 최고급 레저용차 렉스턴의 경쟁상대인 렉서스를 만드는 일본 토요타자동차가 한국에서 3년째 음악회를 여는데 자극을 받았다.
쌍용자동차는 지난 5월 체어맨을 산 고객 가운데 50명을 추첨하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열린 베를린 도이치 오페라의 ‘피가로의 결혼’ 입장권을 2장씩 나누어 주었다.
당시 기대 이상의 호응에 놀란 쌍용자동차는 가을에도 고객 사은 음악회를 마련했다.
피아니스트 김대진과 소리꾼 장사익,소프라노 김은경,바리톤 고성진과 교향악단이 출연하는 ‘아름다운 친구 음악회’는 지난 25일 대전 엑스포홀에서 시작됐다.11월 2일에는 전주 소리의전당,4일에는 대구 문화예술회관,10일에는 부산 을숙도 문화예술회관에서 각각 열린다.이번에는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고객이 대상이다.
뒤늦은 자각이라고는 해도 쌍용자동차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그러나 이렇게 세상이 바뀌어가고 있음에도 아직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자동차회사들도 있다.
소비자의 안목과 취향은 고급스러워지는데 장차 어떤 이미지로,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질 시장에서 ‘물건’을 팔려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서동철기자 dc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