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향 부천엔 없다?
부천 필하모닉은 성공한 교향악단인가,실패한 교향악단인가.
이런 질문에 많은 음악애호가들은 매우 의아할지도 모른다.최근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 실력은 ‘한국 최고 수준’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특히 부천필이 의욕적으로 벌이는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시리즈는 유럽이나 미국의 어느 교향악단에 비해서도 크게 손색이 없다는 극찬을 받고 있기도 하다.
그 결과 부천필은 25일부터 10월1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제1회 아시안 오케스트라 페스티벌에 한국 대표로 초청돼 있다.부천필은 30일 도쿄의 오페라시티 콘서트홀에서 연주한다.한국 교향악단의 해외연주에서는 유례가 드물게 개런티도 받는다.1988년 창단된 짧은 역사의 교향악단으로는 가장 뚜렷한 성공을 거둔 사례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문제는 부천필이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교향악단이라는 점이다.부천필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예산은 부천시민들에게서 나온다.당연히 부천필은 부천시민들에게 우선 봉사하는 교향악단이 되어야 한다.그런데 이 대목에서 논란의여지가 생긴다.
올해 부천시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밝힌 부천필의 교향악 연주회는 일본 연주를 빼고 20차례.부천시민회관 대강당이 10차례,예술의 전당에서 치르는 연주회가 9차례이고,국립극장에서 오페라반주를 한 차례 한다.부천과 서울이 반반인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연주회의 ‘질’이다.3차례의 말러 교향곡 시리즈는 물론 한차례 정기연주회까지 예술의 전당에서 한다.
부천시민회관에서 하는 연주회는 1월의 신년음악회와 2·9월의 어린이음악회,3월의 신춘음악회,5월의 복사골축제 경축 오페라,6월의 청소년음악회,10월의 시민의 날 경축음악회,12월의 제야음악회 등이다.10월의 정기연주회를 빼면 모두 행사음악회다.
지난 89년부터 이 악단을 맡아 오늘날의 부천필로 키운 상임지휘자 임헌정이 나서는 연주회를 살펴보자.그는 1월의 신년음악회와 5월의 경축 오페라‘마술피리’,12월의 제야음악회 등 3차례만 부천에서 지휘한다.이 ‘스타’를 부천에서는 보기 힘들다.
부천필의 활동무대는 부천이 아니라 완전히 중앙무대로 옮겨져 있음을 알수 있다.부천시민들일지라도 부천필의 ‘제대로 된’연주는 서울 예술의 전당에 가야만 들을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 음악계에 뛰어난 실력을 가진 교향악단이 하나 추가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그러나 부천시민들에게 ‘좋은 음악’으로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훌륭한 교향악단을 가진 도시에 살고 있다.’는 자부심만으로 운영비를 내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언젠가 부천시민들이 ‘부천필을 들을 권리’찾기에 나섰을 때 이 악단은 큰 어려움에 부딪칠 가능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부천필의 성공은 절반의 성공일 수밖에 없으며,부천시민쪽에서 보면 시민에게 다가서기에 실패한 교향악단일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교향악단이 ‘예술적 수준향상’에 주력할 것인가,‘시민에 기쁨을 주는 활동’에 주력할 것인가는 교향악단을 갖고 있거나,앞으로 만들 계획을 가진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에게 교훈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서동철기자 dc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