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명 숨진 日살인 에어백…“전체 리콜·운행 금지” 발칵 뒤집혔다
프랑스에서 최근 에어백 폭발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일이 벌어진 가운데, 인명 사고의 원인이 된 일본제 에어백 장착 차량 전체에 대해 리콜과 운행 금지 조처가 내려졌다.
24일(현지시간) 일간 르몽드에 따르면 필리프 타바로 교통 장관은 일본 자동차 부품업체 다카타가 제조한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의 리콜·운행 금지 조치를 확대했다.
그동안은 특정 연도에 생산된 특정 모델들만 리콜했는데, 앞으로는 모델이나 제조사, 연식에 상관없이 전면 리콜을 실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리콜 대상 차량은 기존보다 60만대 더 추가된 총 250만대에 이른다.
정부는 아울러 해외 영토와 코르시카 지역에서 다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모든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라고 결정했다. 프랑스 본토에서는 2012년 이전에 제조된 차량에 한해 운행 금지 조처가 내려졌다.
운행 금지 조치 차량은 리콜 대상 250만대 중 총 170만대에 해당한다. 시트로엥, DS, BMW, 아우디, 쉐보레, 포드, 혼다, 렉서스 등 대상 차량의 세부 정보는 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부가 이처럼 확대 조치에 나선 건 지난 11일 동부 랭스에서 한 여성 운전자가 교통사고 뒤 에어백 폭발로 사망한 일이 계기가 됐다.
사망 여성의 부검 결과 에어백에서 터져 나온 금속 조각들이 후두부에서 발견됐다. 검찰은 에어백 폭발로 인한 얼굴과 턱부위의 부상을 사인으로 지목했다.
문제가 된 에어백은 다카타가 지난 2017년 파산 전까지 제조한 제품으로, 충돌 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 캡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캡슐이 폭발하면서 금속 파편이 튀어 차량 내 인명 사고를 낼 수 있다는 결함이 발견됐다.
이 때문에 다카타 에어백은 ‘살인 에어백’이란 오명을 쓰게 됐고 닛산, BMW, 시트로엥, 도요타 등 여러 제조사에서 대규모 리콜 조치가 이뤄졌다. 곳곳에서 집단 소송도 이어졌다.
이번 사고 차량인 시트로엥 C3 또한 리콜 대상이었으나 피해자는 리콜 관련 통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에서 다카타 에어백과 관련한 사망 사고는 이번이 19번째로, 17건은 해외령에서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시트로엥의 모회사인 스텔란티스는 지난 17일 문제의 에어백이 장착된 69만대 이상의 시트로엥 C3, DS3 차량 중 지금까지 약 69.7%에 달하는 48만 1000대가 수리됐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