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용변 후 손 씻으세요”…손잡이 잘못 만졌다가 ‘이 병’ 옮을 수도
겨울마다 환자가 늘어 ‘겨울 식중독’으로 불리는 로타바이러스 환자가 최근 서서히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11월 2~8일)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54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34명)보다 58.8% 많은 수준이다.
최근 3주간 로타바이러스 환자 수는 24명, 46명, 54명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했다.
사람이 감염되는 로타바이러스에는 그룹 A~C형이 있는데, 이 가운데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것은 그룹 A형이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위장관염이다. 오염된 음료수, 음식, 손, 입, 대변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호흡기를 통한 공기 전파의 가능성도 있다.
화장실에서 변을 본 후 또는 아이의 기저귀를 교환한 후 손을 씻지 않으면 그 손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
특히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에서 집단 감염되기도 한다.
로타바이러스는 11월부터 이듬해 3월 사이 동절기에 주로 유행한다. 생존력이 강해 저온에서도 살아남기 때문이다. 사람의 손에서는 수시간 동안, 상대습도가 50% 이하인 공기에서는 수일간, 물속에서는 수주간 생존하며 감염을 일으킨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24~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와 고열, 심한 설사 등의 증상이 4~6일 동안 이어진다. 대부분 회복되지만 드물게는 심한 탈수와 함께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소독제보다는 비누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 씻기, 음식물 익혀 먹기 등이 중요하다.
또 환자가 머문 공간이나 화장실은 시판용 락스 등을 이용해 닦아내는 게 좋다. 환자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도 마찬가지다. 화장실, 변기, 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염소 농도 1000ppm)해 소독하는 것을 권고한다. 환자 분비물을 제거할 땐 비말을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마스크(KF94)와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와 같은 겨울철 감염증의 유행 속도 증가는 때 이른 추위가 찾아온 날씨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보통 겨울철에 유행하는 편”이라며 “계절 변화에 따라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