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靑 ‘고위 정무회의’ 신설…주1회 개최
청와대와 열린우리당간에 ‘고위 정무회의’가 새로 구축된다.주 1회 정례화되는 기구다.열린우리당 초·재선 의원 30여명이 문희상 대통령 정치특보의 ‘당·청 가교역할론’에 제동을 걸자 내놓은 수습책이다.소장파들도 이를 수용하면서 당·청관계를 둘러싼 내홍은 일단 가라앉는 분위기다.하지만 앞으로 새 시스템이 제대로 운용될지,또 다시 갈등으로 불거질지는 미지수다.
문희상 의원은 31일 “당·청간 공식 채널을 구축하는 논의가 거의 다 됐다.”며 고위 정무회의 신설방침을 밝혔다.이로써 당·정·청간 채널은 3개로 늘어났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즉 ▲청와대 비서실장,정책실장,당 의장,원내대표,정치특보간의 주 1회 고위 정무회의 개최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고위 당정회의 월 1회 소집 ▲청와대 정책실장과 당 정책위원장간의 수시접촉 등이라고 했다.총리가 주재하는 고위 당정회의에는 각 부 장관,당 의장,원내대표,정조위원장,청와대 비서실장 및 정책실장 등이 참석하게 된다.
이와 관련,최근 신기남 당 의장과 천정배 원내대표,청와대 김우식 비서실장,문희상 의원 등이 만나 이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채널 다양화는 ‘당·청관계’가 청와대 중심의 일방통행식이라고 비판해온 당내 소장파들의 조직적인 반발을 조기에 차단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이에 따라 향후 소장파들의 목소리가 더 높아질 전망이다.하지만 노무현 대통령 복귀 이후 선언해온 ‘당·정 분리’ 원칙에 정면 배치돼 또다른 논란거리가 될 소지도 안고 있다.
일단 소장파들도 새 당·청 시스템을 긍정 평가했다.안영근 의원은 “환영한다.더 이상 요구사항은 없다.시스템이 정착되는 것이다.”고 환영했다.
이에 앞서 당내 소장파들은 이날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임(약칭 새로운 모색)’까지 발족시켰다.모임에는 안영근·김영춘·정장선·송영길 의원 등 29명이 참여하고 있다.이들은 문 의원의 당·청 가교역할론에 제동을 걸며 당·청관계 재정립을 요구했다.
일부 소장파 의원들은 김혁규 전 경남지사의 총리지명 문제와 관련,“우리가 거수기냐.”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정장선 의원은 “최근 청와대 만찬과 문 의원의 발언을 보면 여야 관계가 우려되고 당·청 관계가 일방적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한두 사람이 왔다갔다 하는 게 아니라 청와대와 사전에 충분히 논의해 의견을 공유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채널 다양화에 대해 “정무관계를 논의하는 회의에는 당에서 원할 경우,대통령도 참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또 “정무 관련 회의는 과거 제왕적 총재 시절의 주례보고처럼 대통령이 당 총재로서 보고받는 방식이 아니라,당에서 대화 창구를 원하고 필요한 경우,언제든지 참석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현갑 김준석기자
eagledu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