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평가 ‘유명무실’
대학교육 발전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대학평가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대학들이 평가받으려 하지 않는데다 제재수단도 없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6일 62개 대학에 대한 대학종합평가 결과와 8개 학문분야별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고려대가 최고
62개 대학을 상대로 한 2005년도 종합대학 평가결과, 모든 대학이 평가인정을 받았다.
특히 경희대, 고려대(서울), 성균관대, 숙명여대, 울산대, 중앙대(서울), 중앙대(안성), 한국외대 등 8개교는 최우수 대학으로 꼽혔다. 고대, 성대 순으로 1·2위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학문별 평가결과
국문학, 일문학, 중문학, 농학, 수의학, 약학, 체육학, 무용학 등 8개 분야에서 학부와 대학원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최우수 학부는 표 참고)
학문별 최우수 대학원의 경우 ▲일본어문학부는 고려대(서울)·동의대·한양대(안산) 등 3곳 ▲중국어문학부는 고려대(서울)·성균관대·숭실대 등 3곳 ▲농학분야는 서울대 ▲수의학분야는 서울대 ▲약학분야는 서울대·성균관대·이화여대 등 3곳 ▲체육학 분야는 한양대(안산) ▲무용학분야와 국어국문학부에서는 최우수 평가대학이 없다.
●절름발이 평가
하지만 이번 평가는 일부 대학들의 불참 등으로 절름발이 평가가 됐다는 지적이다.
특히 서울대는 종합평가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헌청 대교협 사무총장은 “서울대의 경우, 고등교육평가원이 생기면 평가받겠다고 불참사유를 밝혔으나 순위공개에 따른 두려움 때문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서울대는 또 국문학, 중문학 분야 평가에는 참여하지 않으면서 약학·농학·수의학 등의 평가에는 참여하는 이중성을 보였다. 서울대가 평가에 참여한 학문영역에서 최우수(농학 학부 및 대학원, 약학대학원)나 우수(수의학 학부과정, 약학부)평가가 나와 결과적으로 좋은 성적을 낼 만한 분야평가에만 골라 참여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는 지적이다. 대교협의 한 관계자는 “서울대는 2년 전 기계공학 분야에서 15위로 평가받으면서 큰 충격을 받았는데 이것이 계기가 된 같다.”고 진단했다.
대학들이 평가에 부정적인 이유는 사업불참에 따른 제재조치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사무총장은 “대교협 차원의 제재방안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교육부에 건의, 연구수주나 국책사업 심사 때 평가 참여여부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